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羅統一의 現代史的 意義 = Contemporary Views on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y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7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는 분열과 통일의 연속이며, 현재 제3차 분열의 상태이다. 분열기에는 국력과 문화가 쇠퇴하였으나, 통일기는 민족과 문화가 발전하였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오랜 기간 준비와 국력의 강화로 이루어졌다. 제1단계 (한강유역 차지, 553). 제2단계(백제 정벌, 660), 제3단계(고구려 정벌, 668), 제4단계(중국 당나라 군대 축출, 676)의 150여년 과정으로 거친 후 민족의 융합으로 이룩되었다. 특히 중국 당과의 외교에서 능동적 이용과 주체적 입장은 오늘날 큰 교훈이 된다.
      황룡사 조성(553)으로부터 시작된 민족문화의 개발은 9층탑(643)과 월지(안압지)건설(674)이 있었고, 불국사 건립(751)으로 이룩되면서 문화의 뒷받침으로 매듭짓게 되었다고 말하겠다.
      우리는 남북통일을 기다리면서, 한강유역이 지닌 중요성과, 국가 발전의 토대 위에서 미국·일본·중국·러시아 간의 갈등 속에서 능동적 외교라는 주체적 자각을 잊어서는 안 된다. 보다 유연한 남북의 교류와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통일의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번역하기

      한국사는 분열과 통일의 연속이며, 현재 제3차 분열의 상태이다. 분열기에는 국력과 문화가 쇠퇴하였으나, 통일기는 민족과 문화가 발전하였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오랜 기간 준비와 국력...

      한국사는 분열과 통일의 연속이며, 현재 제3차 분열의 상태이다. 분열기에는 국력과 문화가 쇠퇴하였으나, 통일기는 민족과 문화가 발전하였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오랜 기간 준비와 국력의 강화로 이루어졌다. 제1단계 (한강유역 차지, 553). 제2단계(백제 정벌, 660), 제3단계(고구려 정벌, 668), 제4단계(중국 당나라 군대 축출, 676)의 150여년 과정으로 거친 후 민족의 융합으로 이룩되었다. 특히 중국 당과의 외교에서 능동적 이용과 주체적 입장은 오늘날 큰 교훈이 된다.
      황룡사 조성(553)으로부터 시작된 민족문화의 개발은 9층탑(643)과 월지(안압지)건설(674)이 있었고, 불국사 건립(751)으로 이룩되면서 문화의 뒷받침으로 매듭짓게 되었다고 말하겠다.
      우리는 남북통일을 기다리면서, 한강유역이 지닌 중요성과, 국가 발전의 토대 위에서 미국·일본·중국·러시아 간의 갈등 속에서 능동적 외교라는 주체적 자각을 잊어서는 안 된다. 보다 유연한 남북의 교류와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통일의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story of Korea characterizes in subsequent periods of division and unification, at present Korea remains divided for the 3rd time. Historically national power and culture deteriorated during times of division and flourished during times of unification.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y Silla was achieved due to long preparations and resulted in enhancing national power. The unification was accomplished through 4 stages of political and territorial changes over the course of 150 years that are: Occupation of Hangang River basin(553), conquest of Baekje(660), conquest of Goguryo(668) and expulsion of Tang protectorate armies(676). The independent position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ese Tang dynasty is considered a particularly important lesson today.
      This article attempts to link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with the construction of Hwangryongsa Temple initiated in 553 and developed by adding 9-store pagoda in 643 as well as with the establishment of Wolji(Anabji) in 674 and Bulguksa Temple in 751. While waiting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e cannot forget the importance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active diplomacy in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U.S.A, Japan, China and Russia for sake of national development. Above that we should make thorough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based on mutual interchange and political safety.
      번역하기

      The history of Korea characterizes in subsequent periods of division and unification, at present Korea remains divided for the 3rd time. Historically national power and culture deteriorated during times of division and flourished during times of unifi...

      The history of Korea characterizes in subsequent periods of division and unification, at present Korea remains divided for the 3rd time. Historically national power and culture deteriorated during times of division and flourished during times of unification.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y Silla was achieved due to long preparations and resulted in enhancing national power. The unification was accomplished through 4 stages of political and territorial changes over the course of 150 years that are: Occupation of Hangang River basin(553), conquest of Baekje(660), conquest of Goguryo(668) and expulsion of Tang protectorate armies(676). The independent position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ese Tang dynasty is considered a particularly important lesson today.
      This article attempts to link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with the construction of Hwangryongsa Temple initiated in 553 and developed by adding 9-store pagoda in 643 as well as with the establishment of Wolji(Anabji) in 674 and Bulguksa Temple in 751. While waiting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e cannot forget the importance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active diplomacy in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U.S.A, Japan, China and Russia for sake of national development. Above that we should make thorough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based on mutual interchange and political saf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民族統一의 필요성
      • Ⅱ. 新羅統一의 過程
      • Ⅲ. 결론 : 신라통일이 주는 역사적 교훈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서론 : 民族統一의 필요성
      • Ⅱ. 新羅統一의 過程
      • Ⅲ. 결론 : 신라통일이 주는 역사적 교훈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형식, "한국의 고대사" 삼영사 1999

      2 김수태, "한국사시민강좌 13" 일조각 1993

      3 이기백, "한국고대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96

      4 신형식, "한국고대사의 새로운 이해" 주류성출판사 2009

      5 김영하, "한국고대사론" 1988

      6 신형식, "통일신라사연구" 삼지원 1990

      7 이호영, "통일신라 호칭 문제" 52 : 1999

      8 김상현, "통일기 신라사회연구" 1987

      9 문경현, "중보, 신라사연구" 참 2000

      10 신형식, "신라통일의 역사적 의미" 2 : 1992

      1 신형식, "한국의 고대사" 삼영사 1999

      2 김수태, "한국사시민강좌 13" 일조각 1993

      3 이기백, "한국고대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96

      4 신형식, "한국고대사의 새로운 이해" 주류성출판사 2009

      5 김영하, "한국고대사론" 1988

      6 신형식, "통일신라사연구" 삼지원 1990

      7 이호영, "통일신라 호칭 문제" 52 : 1999

      8 김상현, "통일기 신라사회연구" 1987

      9 문경현, "중보, 신라사연구" 참 2000

      10 신형식, "신라통일의 역사적 의미" 2 : 1992

      11 신형식, "신라통일의 역사적 성격" 61・62 : 1988

      12 신형식, "신라통사" 주류성 2004

      13 김영하, "신라중대사회연구" 일지사 2007

      14 김정배, "신라문화의 역사적 가치" 2014

      15 이종학, "신라 삼국통일의 군사사적 고찰" 8 : 1984

      16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 출판부 2008

      17 김수태, "삼국통일의 현재적 의의" 신라사학회 2014

      18 구대열, "삼국통일의 정치학" 까치 2010

      19 신형식, "북한이 본 우리 역사"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