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체 디자인 요인 및 동향 연구 = An Observation on Body Design Factors and Trend of Purpose-Built Mo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42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ega-City, traff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e becoming serious as the floating population increases. To improve this, the concept of a smart city was introduced around the world, and as the base of smart mobility has been expanded, the vehicle gradually shifted to the service direction, and the vehicle has been serviced as a design concept that meets the user's purpose as much as possible.
      In the future mobility service system, purpose-built mobility, one of the major ground transportation means, is drawing the attention of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sign implications of purpose-based mobility in the future urban environment through a review of purpose-based mobility that provides mobility services. The research method summarizes the design changes in the three aspects of form, structure, and purpose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purpose-based mobility and the recent market, and predicts the complex design trend of purpose-based mobility body design. In terms of shape, the shape of the vehicle body is expected to change in detail, such as edge angle, front, and rear, etc., but the cuboid-like shape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by maximizing the freedom of interior arrangement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exterior area. In terms of structure, it maintains an integral structure that combines the body and platform in the future, but it is expected that vehicle parts can be modularized to be produced and replaced faster and cheaper. In terms of use, purpose-built mobility is expected to change its use according to the demanded grade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demand for various uses in the future.
      Purpose-built mobility is mainly used in commercial fields, but the essence of purpose-built mobility is to activate third-party functions through mobility or to satisfy individual movement needs.
      번역하기

      In Mega-City, traff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e becoming serious as the floating population increases. To improve this, the concept of a smart city was introduced around the world, and as the base of smart mobility has been expanded, the vehicle ...

      In Mega-City, traff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e becoming serious as the floating population increases. To improve this, the concept of a smart city was introduced around the world, and as the base of smart mobility has been expanded, the vehicle gradually shifted to the service direction, and the vehicle has been serviced as a design concept that meets the user's purpose as much as possible.
      In the future mobility service system, purpose-built mobility, one of the major ground transportation means, is drawing the attention of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sign implications of purpose-based mobility in the future urban environment through a review of purpose-based mobility that provides mobility services. The research method summarizes the design changes in the three aspects of form, structure, and purpose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purpose-based mobility and the recent market, and predicts the complex design trend of purpose-based mobility body design. In terms of shape, the shape of the vehicle body is expected to change in detail, such as edge angle, front, and rear, etc., but the cuboid-like shape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by maximizing the freedom of interior arrangement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exterior area. In terms of structure, it maintains an integral structure that combines the body and platform in the future, but it is expected that vehicle parts can be modularized to be produced and replaced faster and cheaper. In terms of use, purpose-built mobility is expected to change its use according to the demanded grade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demand for various uses in the future.
      Purpose-built mobility is mainly used in commercial fields, but the essence of purpose-built mobility is to activate third-party functions through mobility or to satisfy individual movement nee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메가시티에서는 유동인구의 증가함에 따라 교통과환경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시티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스마트 모빌리티의 저변을 확대하면서 점차 서비스 방향으로 전환하여 차량은 단순히 이동수단의 차원을넘어 사용자의 목적을 최대한 충족시키는 디자인 개념으로 서비스화되고 있다. 미래 도심 모빌리티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주요 육상 운송수단의 하나인 목적기반 모빌리티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에 대한 고찰을 통해 미래 도시 환경에서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디자인 시사점을 찾는것이다. 연구방법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발전사와최근 시중의 목적 기반 모빌리티 사례를 고찰 및 분석하여 형태, 구조, 용도의 3가지 측면을 접점으로 디자인의 변화를 요약하고 발전현황과 결합하여 향후목적 기반 모빌리티 차체 디자인의 복합적인 디자인추세를 예측하였다. 형태 면에서 향후 차체의 형태는모서리 각도, 앞뒷면 등의 세부적인 변화가 예상되지만, 전체적으로 외부 면적을 증대하지 않고 실내 배치의 자유도를 극대화하여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있는 절충적 곡면 형태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구조면에서 향후 차체와 플랫폼을 결합한 일체형 구조를유지하지만, 차량 부품들을 모듈화하여 더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 및 교체할 수 있도록 예상된다.
      용도 면에서 향후 목적 기반 모빌리티는 다양한 용도에 대한 수요의 높이를 고려하여 수요 등급에 따라용도를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본질은 모빌리티를 통해 제3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개별적 이동 수요의 만족시키는 것이다.
      번역하기

      메가시티에서는 유동인구의 증가함에 따라 교통과환경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시티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스마트 모빌리티의 저변을 확대하면...

      메가시티에서는 유동인구의 증가함에 따라 교통과환경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시티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스마트 모빌리티의 저변을 확대하면서 점차 서비스 방향으로 전환하여 차량은 단순히 이동수단의 차원을넘어 사용자의 목적을 최대한 충족시키는 디자인 개념으로 서비스화되고 있다. 미래 도심 모빌리티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주요 육상 운송수단의 하나인 목적기반 모빌리티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에 대한 고찰을 통해 미래 도시 환경에서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디자인 시사점을 찾는것이다. 연구방법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발전사와최근 시중의 목적 기반 모빌리티 사례를 고찰 및 분석하여 형태, 구조, 용도의 3가지 측면을 접점으로 디자인의 변화를 요약하고 발전현황과 결합하여 향후목적 기반 모빌리티 차체 디자인의 복합적인 디자인추세를 예측하였다. 형태 면에서 향후 차체의 형태는모서리 각도, 앞뒷면 등의 세부적인 변화가 예상되지만, 전체적으로 외부 면적을 증대하지 않고 실내 배치의 자유도를 극대화하여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있는 절충적 곡면 형태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구조면에서 향후 차체와 플랫폼을 결합한 일체형 구조를유지하지만, 차량 부품들을 모듈화하여 더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 및 교체할 수 있도록 예상된다.
      용도 면에서 향후 목적 기반 모빌리티는 다양한 용도에 대한 수요의 높이를 고려하여 수요 등급에 따라용도를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본질은 모빌리티를 통해 제3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개별적 이동 수요의 만족시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상, "모빌리티 서비스 체계에서 목적 기반 차량(PBV)의 디자인 요인 고찰" 한국자동차공학회 28 (28): 865-874, 2020

      2 윤정채 ; 곽정환 ; 이근,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모듈러 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395-406, 2017

      3 "https://www.toyota-europe.com"

      4 "https://www.rolandberger.com"

      5 "https://www.rinspeed.com/"

      6 "https://www.parkers.co.uk/vans"

      7 "https://www.motortrend.com/news"

      8 "https://www.mercedes-benz.com"

      9 "https://www.media.stellantis.com"

      10 "https://www.hyundai.news/eu"

      1 구상, "모빌리티 서비스 체계에서 목적 기반 차량(PBV)의 디자인 요인 고찰" 한국자동차공학회 28 (28): 865-874, 2020

      2 윤정채 ; 곽정환 ; 이근,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모듈러 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395-406, 2017

      3 "https://www.toyota-europe.com"

      4 "https://www.rolandberger.com"

      5 "https://www.rinspeed.com/"

      6 "https://www.parkers.co.uk/vans"

      7 "https://www.motortrend.com/news"

      8 "https://www.mercedes-benz.com"

      9 "https://www.media.stellantis.com"

      10 "https://www.hyundai.news/eu"

      11 "https://www.fritsch-durisotti.com"

      12 "https://www.electrive.com"

      13 "https://www.electrive.com"

      14 "https://www.designboom.com"

      15 "https://www.conceptcarz.com"

      16 "https://www.chicagotribune.com"

      17 "https://www.canoo.com/platform"

      18 "https://www.autoexpress.co.uk/news"

      19 "https://tech.hyundaimotorgroup.com"

      20 "https://ree.auto/press-release"

      21 "https://m.sohu.com/n/496768700/"

      22 "https://evtol.news/pop-up-next/"

      23 "https://europe.autonews.com"

      24 "https://europe.autonews.com"

      25 "https://electricbrands.de/myxbus/"

      26 "https://chargedevs.com/newswire"

      27 "https://autonode.cn"

      28 "http://www.polaris.com"

      29 Lauer, Norman, "Urban mobility 2030 - flee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urban shared demand responsive transport with purpose-built vehicles -a business model perspective in a MaaS environment" Continuing Education Center 2019

      30 James, F., "Traces of a Mobile Field" 11 (11): 1-14, 2016

      31 Roland Berger, "PURPOSE-BUILT VEHICLES FOR MOBILITY SERVICES" Roland Berger 2018

      32 China Academy of Transportation Science, "Future Urban Transport 3.0: Reshaping transport in an Age of Disruption and creativity" China Communications Press 2020

      33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Fast on Developing Mobility for Small Electric Vehicles"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