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도시’ 부산의 탄생과 극장의 장소성 연구의 대상 시기는 한국전쟁 이후부터 1960년대 전반까지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년의 기간을 필요로 하는데, 1년차는 도시 부산 내부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0837
2018년
Korean
극장 ; Movie Theater ; Daegu ; Cultural Center ; USIS ; Pusan ; Sang-nam Movie Studio ; City of Movie ; Place-ness ; Korean War ; 대구 ; 문화원 ; 미공보원 ; 부산 ; 상남영화제작소 ; 영화 도시 ; 장소성 ; 한국전쟁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영화 도시’ 부산의 탄생과 극장의 장소성 연구의 대상 시기는 한국전쟁 이후부터 1960년대 전반까지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년의 기간을 필요로 하는데, 1년차는 도시 부산 내부에...
‘영화 도시’ 부산의 탄생과 극장의 장소성 연구의 대상 시기는 한국전쟁 이후부터 1960년대 전반까지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년의 기간을 필요로 하는데, 1년차는 도시 부산 내부에 집중하여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으로 변화된 도시 공간과 극장의 지각 변동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1년차 연구는 전후 등장한 대형 극장의 장소성과 영화로 재현된 부산의 이미지에 대한 지역민/관객의 반응과 해석 등을 포함한다. 2년차는 ‘영화 도시’로서 부산의 정체성에 영향을 끼친 대구와 창원군 등 인근 도시의 문화냉전의 형성과 관련된 극장 문화를 살핀다. 2년차 연구는 미공보원이 설립한 상남 영화제작소의 활동을 부산 미공보원과 연계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 자료 분석과 구술사(oral history) 방법론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