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5
2 임형택, "해방전후" 창작과비평사 1993
3 송태욱, "포스트콜로니얼 -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 삼인 출판사 2002
4 조용만, "차고 자존심 강한 소설가" 상허학회 1 : 409-415, 1993
5 장석주, "장소의 기억을 꺼내다" 사회평론 2007
6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8
7 민족문학연구소, "일제말기 문인들의 만주체험" 역락 2007
8 이상경, "이태준의 <농군>과 장혁주의 ≪개간≫을 통해서 본 일제 말기 작품의 독법과 검열" 한국현대소설학회 (43) : 173-202, 2010
9 장영우, "이태준소설연구" 태학사 1996
10 허경진, "안수길, In 중국조선민족문학대계 10" 보고사 2006
1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5
2 임형택, "해방전후" 창작과비평사 1993
3 송태욱, "포스트콜로니얼 -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 삼인 출판사 2002
4 조용만, "차고 자존심 강한 소설가" 상허학회 1 : 409-415, 1993
5 장석주, "장소의 기억을 꺼내다" 사회평론 2007
6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8
7 민족문학연구소, "일제말기 문인들의 만주체험" 역락 2007
8 이상경, "이태준의 <농군>과 장혁주의 ≪개간≫을 통해서 본 일제 말기 작품의 독법과 검열" 한국현대소설학회 (43) : 173-202, 2010
9 장영우, "이태준소설연구" 태학사 1996
10 허경진, "안수길, In 중국조선민족문학대계 10" 보고사 2006
11 김윤식, "안수길 연구" 정음사 1986
12 이태준, "무서록" 깊은샘 1994
13 김철, "몰락하는 신생: '만주'의 꿈과 [농군]의 오독" 상허학회 9 : 123-159, 2002
14 안수길, "명아주 한포기" 문예창작사 1977
15 한수영, "만주의 문학사적 표상과 안수길의 『북간도』에 나타난 ‘이산’의 문제, In 친일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109-135, 2006
16 이경훈, "만주와 친일 로맨티시즘" 한국근대문학회 4 : 92-119, 2003
17 서은주, "만주국 재현 서사의 딜레마, 혹은 해석의 난경 -현경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2) : 231-263, 2010
18 김재용, "내선일체의 연장으로서의 만주국 인식-장혁주의 행복한 백성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1) : 308-325, 2005
19 정종현, "근대문학에 나타난 ‘만주’ 표상-‘만주국’ 건국 이후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28) : 229-260, 2005
20 구동회,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21 한수영, "'재만(在滿)'이라는 경험의 특수성 -정치적 아이덴티티와 이민족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동남어문학회 1 (1): 305-330, 2010
22 하재연, "'신체제(新體制)' 성립 전후의 한국근대문학 연구방법론 고찰' -이태준의 <농군>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5) : 283-31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