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雪峯 姜栢年의 表를 통해 본 조선시대 月課 창작의 일단면 = Aspect of the Wŏlgwa in Chosŏn through the Pyo of Sŏlbong Kangbaeknyŏ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87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月課란 홍문관 및 예문관 관료나 문장이 뛰어난 신진 관료를 대상으로 한 정기 시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고려시대 성종대부터 그 기원이 시작된다. 이후 조선 태종대부터 영조대까지 시험 대상과 방법이 바뀌었지만, 당하관 이하 신진 관료 중 문장이 뛰어난 이를 선발하여 승진 및 권학하려는 목적에서 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월과는 인재를 발탁하고 교육하려는 두 가지 목적에서 시행된 것이다.
      월과는 조선시대 문신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시험이자 교육 제도였음에도 科試 및 課試에 비해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월과의 변천을 살펴보고, 강백년이 월과로 제출한 表 5편을 대상으로 17세기 중반 월과 창작의 일단면을 파악해보기로 한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문집에 과문을 싣는 경우가 드물었고, 싣더라도 그것이 ‘月課’라고 표기되지 않는 경우도 많아서 월과 작품의 특징과 경향을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강백년의 󰡔雪峯遺稿󰡕에서는 월과 작품을 시기별, 문체별로 분류하고 장원의 여부까지 기재하여 당대 월과의 시행 여부와 작품 경향을 살펴보기에 적합하다. 월과로 제출한 작품을 시기별로 자세히 기재하였다는 것은, 강백년이 월과에 자부심이 있었다는 것이며, 월과로 제출한 72편 중에서 36편이 장원을 차지하였다는 것은, 강백년의 작품이 당대 월과의 모범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강백년이 월과로 제출한 표 5편은 모두 의작으로 지어졌고, 평측이나 장단구의 구성, 발어사의 사용 등은 일반 科表의 특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꾀꼬리가 신하로서 왕에게 사은하면서 이백의 시를 평하고, 본문의 내용과 연관된 이미지와 전고를 사용하여 글의 목적에 도달하려고 한 점은 강백년의 表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강백년은 내용과 관련된 전고를 동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글을 올리는 목적에 맞게 전고를 배치함으로써 表의 본령을 잊지 않으려고 했다. 이러한 특징들은 강백년이 월과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月課란 홍문관 및 예문관 관료나 문장이 뛰어난 신진 관료를 대상으로 한 정기 시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고려시대 성종대부터 그 기원이 시작된다. 이후 조선 태종대부터 영조대까지 시...

      月課란 홍문관 및 예문관 관료나 문장이 뛰어난 신진 관료를 대상으로 한 정기 시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고려시대 성종대부터 그 기원이 시작된다. 이후 조선 태종대부터 영조대까지 시험 대상과 방법이 바뀌었지만, 당하관 이하 신진 관료 중 문장이 뛰어난 이를 선발하여 승진 및 권학하려는 목적에서 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월과는 인재를 발탁하고 교육하려는 두 가지 목적에서 시행된 것이다.
      월과는 조선시대 문신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시험이자 교육 제도였음에도 科試 및 課試에 비해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월과의 변천을 살펴보고, 강백년이 월과로 제출한 表 5편을 대상으로 17세기 중반 월과 창작의 일단면을 파악해보기로 한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문집에 과문을 싣는 경우가 드물었고, 싣더라도 그것이 ‘月課’라고 표기되지 않는 경우도 많아서 월과 작품의 특징과 경향을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강백년의 󰡔雪峯遺稿󰡕에서는 월과 작품을 시기별, 문체별로 분류하고 장원의 여부까지 기재하여 당대 월과의 시행 여부와 작품 경향을 살펴보기에 적합하다. 월과로 제출한 작품을 시기별로 자세히 기재하였다는 것은, 강백년이 월과에 자부심이 있었다는 것이며, 월과로 제출한 72편 중에서 36편이 장원을 차지하였다는 것은, 강백년의 작품이 당대 월과의 모범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강백년이 월과로 제출한 표 5편은 모두 의작으로 지어졌고, 평측이나 장단구의 구성, 발어사의 사용 등은 일반 科表의 특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꾀꼬리가 신하로서 왕에게 사은하면서 이백의 시를 평하고, 본문의 내용과 연관된 이미지와 전고를 사용하여 글의 목적에 도달하려고 한 점은 강백년의 表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강백년은 내용과 관련된 전고를 동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글을 올리는 목적에 맞게 전고를 배치함으로써 表의 본령을 잊지 않으려고 했다. 이러한 특징들은 강백년이 월과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Wŏlgwa is a regular exam for Office of Special Advisers and Office of Royal Decrees’ officials, as well as new officials with excellent writing skills. In the case of Korea, its origins begin from the Korea Dynasty, the reign of King Sŏngjong. From the reign of King Taejong to Yŏngjo in Chosŏn, the subject and method of Wŏlgwa changed, but the necessity was raised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and promoting those with outstanding sentences among the new officials. In other words, Wŏlgwa was implemented for two purposes: to recruit and educate talented people. Although Wŏlgwa was a representative test and educational system for civil officials in the Chosŏn, the research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Gwashi(科試) and Gwashi(課試).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and limitations of Wŏlgwa in the Chosŏn, and tries to identify aspect of the Wŏlgwa in the mid-17th century by looking at the Pyos that Kangbaeknyŏn submitted as Wŏlgwa.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Wŏlgwa works as it was rare to include examination prose in the collection of literature toward the late Chosŏn, and even if it was often not marked as ‘月課’. However, Kangbaeknyŏn’s Sŏlbongyugo is suitable for examining whether Wŏlgwa were implemented and the trends of the works by writing the period, style, and grades as well. All five Pyos submitted by Kangbaeknyŏn as Wŏlgwa were written in ŭijak, and the composition of level and deflected, long and short lines did not ver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Gwapyo. However, in Kangbaeknyŏn’s Pyos, the oriole is personified, and it gave thanks to the king, criticized Lee Baek’s poems. Kangbaeknyŏn tried to reach the purpose of the writing by using images and an allusion(典故)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text. In addition, Kangbaeknyŏn tried not to forget the essence of the Pyo by arranging an allus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yo.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een as the reason why Kangbaeknyŏn was able to achieve excellent grades in Wŏlgwa.
      번역하기

      A Wŏlgwa is a regular exam for Office of Special Advisers and Office of Royal Decrees’ officials, as well as new officials with excellent writing skills. In the case of Korea, its origins begin from the Korea Dynasty, the reign of King Sŏngjong. F...

      A Wŏlgwa is a regular exam for Office of Special Advisers and Office of Royal Decrees’ officials, as well as new officials with excellent writing skills. In the case of Korea, its origins begin from the Korea Dynasty, the reign of King Sŏngjong. From the reign of King Taejong to Yŏngjo in Chosŏn, the subject and method of Wŏlgwa changed, but the necessity was raised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and promoting those with outstanding sentences among the new officials. In other words, Wŏlgwa was implemented for two purposes: to recruit and educate talented people. Although Wŏlgwa was a representative test and educational system for civil officials in the Chosŏn, the research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Gwashi(科試) and Gwashi(課試).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and limitations of Wŏlgwa in the Chosŏn, and tries to identify aspect of the Wŏlgwa in the mid-17th century by looking at the Pyos that Kangbaeknyŏn submitted as Wŏlgwa.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Wŏlgwa works as it was rare to include examination prose in the collection of literature toward the late Chosŏn, and even if it was often not marked as ‘月課’. However, Kangbaeknyŏn’s Sŏlbongyugo is suitable for examining whether Wŏlgwa were implemented and the trends of the works by writing the period, style, and grades as well. All five Pyos submitted by Kangbaeknyŏn as Wŏlgwa were written in ŭijak, and the composition of level and deflected, long and short lines did not ver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Gwapyo. However, in Kangbaeknyŏn’s Pyos, the oriole is personified, and it gave thanks to the king, criticized Lee Baek’s poems. Kangbaeknyŏn tried to reach the purpose of the writing by using images and an allusion(典故)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text. In addition, Kangbaeknyŏn tried not to forget the essence of the Pyo by arranging an allus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yo.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een as the reason why Kangbaeknyŏn was able to achieve excellent grades in Wŏlgw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 한국학술정보 1-374, 2004

      2 "한국문집총간" 한국고전번역원

      3 강석중, "한국 과부의 전개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4 조좌호, "한국 과거제도사 연구" 범우사 1-432, 1996

      5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 소명출판 1-396, 2014

      6 김경, "조선후기 향촌사회 科詩 창작 一考 - 科賦抄』 所在 「醉翁亭記」 대상 작품을 중심으로 -" 동방한문학회 (88) : 149-180, 2021

      7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8 이연진, "조선시대 월과문신(月課文臣) 관련 규정 변화 연구" 교육연구소 41 (41): 211-232, 2020

      9 김동석, "조선시대 선비의 과거와 시권"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363, 2021

      10 최광만, "조선 후기 사학 과시 우등 출신의 관직 이력" 한국교육사학회 41 (41): 77-106, 2019

      1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 한국학술정보 1-374, 2004

      2 "한국문집총간" 한국고전번역원

      3 강석중, "한국 과부의 전개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4 조좌호, "한국 과거제도사 연구" 범우사 1-432, 1996

      5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 소명출판 1-396, 2014

      6 김경, "조선후기 향촌사회 科詩 창작 一考 - 科賦抄』 所在 「醉翁亭記」 대상 작품을 중심으로 -" 동방한문학회 (88) : 149-180, 2021

      7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8 이연진, "조선시대 월과문신(月課文臣) 관련 규정 변화 연구" 교육연구소 41 (41): 211-232, 2020

      9 김동석, "조선시대 선비의 과거와 시권"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363, 2021

      10 최광만, "조선 후기 사학 과시 우등 출신의 관직 이력" 한국교육사학회 41 (41): 77-106, 2019

      11 박선이, "조선 후기 策題와 출제 경향에 관한 일고찰- 肅宗∼正祖 시기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93) : 361-394, 2021

      12 이상욱, "조선 후기 科表의 문체적 특징과 글쓰기-科表 작성을 위한 참고서를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3 (53): 159-193, 2017

      13 박선이, "조선 후기 科文의 실제에 관한 일고찰− 『東儷文』과 『儷林』에 수록된 科表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80) : 99-127, 2020

      14 서범종, "조선 초기 문신권학정책" 한국교육개발원 31 (31): 137-157, 2004

      15 윤선영, "조선 시대 科試의 四書疑연구" 고려대 2019

      16 이상욱, "조선 과문 연구" 연세대 2015

      17 최광만, "정조 대 유생 응제의 시행 양상과 정책 추이" 교육사학회 29 (29): 115-146, 2019

      18 "승정원일기" 국사편찬위원회

      19 강백년, "국역 설봉유고 6" 문진 39-64, 2021

      20 허흥식, "고려의 과거제도" 일조각 1-621, 1981

      21 "경국대전·속대전·대전통편" 국사편찬위원회

      22 安獻徵, "鷗浦集" 민족문화추진회 526-,

      23 姜栢年, "雪峯遺稿" 민족문화추진회 213-342, 1993

      24 정경주, "科文 表箋의 형식과 문체의 특성"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9 (39): 83-125, 2013

      25 李光胤, "瀼西集" 민족문화추진회 271-,

      26 김광년, "正祖-高宗 年間의 科文集 『臨軒功令』 硏究" 동양고전학회 (80) : 129-159, 2020

      27 김경, "朝鮮後期 南人系 科體詩集 『近藝雋選』 硏究" 한국고전번역원 57 : 161-191, 2021

      28 蘇斗山, "月洲集" 민족문화추진회 289-,

      29 姜碩期, "月塘集" 민족문화추진회 367-,

      30 鄭昌胄, "晩洲集" 민족문화추진회 274-,

      31 沈之源, "晩沙稿" 민족문화추진회 260-,

      32 李民宬, "敬亭集" 민족문화추진회 374-,

      33 우지영, "擬作의 창작 동기와 창작 양상에 대한 一考 -韓信 소재 擬作 작품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41) : 341-362, 2009

      34 朴泰輔, "定齋後集" 민족문화추진회 319-,

      35 申混, "初菴集" 민족문화추진회 69-,

      36 鄭必達, "八松集" 민족문화추진회 2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1.2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