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피부 상재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피부 유익균의 생육 증진과 유해균의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약용식물 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74806
2024
Korean
594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1065-107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피부 상재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피부 유익균의 생육 증진과 유해균의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약용식물 추...
본 연구는 피부 상재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피부 유익균의 생육 증진과 유해균의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pH는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4.39~6.65 및 5.45~7.28 범위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목단피가 19.02 mg GAE/sample g,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자작나무 추출물이 48.61 mg GAE/sample g으로 가장 높았다. 피부 유익균의 생육 증진 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병풀 추출물이 24.9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구절초가 높았다. 생육저해능은 마름 70% 에탄올추출물이 S. aureus 및 C. acnes균에 대하여 각각 0.75 및 1.07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을 유지하고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소재 개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that affect the skin commensal bacteria and confirmed their effects on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skin bacteria while inhibiting the growth of detrimental bac...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that affect the skin commensal bacteria and confirmed their effects on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skin bacteria while inhibiting the growth of detrimental bacteria. The pH of the medicinal plant extracts ranged from 4.39 to 6.65 and 5.45 to 7.28 for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water extract was the highest value of 19.02 mg GAE/sample g in Paeonia suffruticosa, and 70% ethanol extract was the highest value of 48.61 mg GAE/sample g in Betula platyphylla. The growth-promoting effect of beneficial skin bacteria in water extracts showed the highest value of 24.90% in Centella asiatica extract, followed by the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s.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log reduction) of skin detrimental bacteria was the highest value of 0.75 and 1.07 for Trapa japonica 70% ethanol extra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Cutibacterium acn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developing medicinal materials that can maintain the balance of the skin microbiome and prevent skin diseases.
HepG2 인체 간암 세포에서 식물성 플라보노이드인 7,8-Dihydroxyflavone에 의한 세포사멸 유도
크리핑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prostratus)의 미용 활성 분석 및 예측
식품산업에의 활용을 위한 콩과 녹두의 일차 가공적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