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성인 남성에서 5년간의 골밀도 변화 관찰 =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the BMD for 5-years in older 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1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decrease of BMD by age and the risk factor of osteoporosis in Korean men. We describe the study of a five-year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ith male patients. Eighty Korean men who visited hospital for health screening were assessed for this study from 2002 to 2006. We evaluated the BMD of the femoral neck and L-spine, and the preferences and habits in the life. The data were collected for 5 years, and we analysed the five-years change of BMD and the relations between BMD and other factors.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 by 1st assessment of femoral neck BMD, and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age of subjects was 43.15 ± 4.82 and BMD of femoral neck was -0.61 ± 0.97 and BMD of L-spine was -0.67 ±1.10 in the first year assessment. The femoral neck BMD of 4th and 5th assess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1st assessment. The L-spine BMD of 2nd assess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1st assess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BMD and preferences or habits-drinking, smoking, eating habit, exercise. The femoral neck BMD of 5th assess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1st assessment in the high femoral neck BMD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femoral BMD and L-spine BMD in other groups. Low BMD group in the 1st assessment showed lowest BMD in the 5th assessment and high BMD group in the 1st assessment showed highest BMD in the 5th assessment. We can guess that the young men who has low BMD could have high risk of osteoporosis when he became older. And the femoral BMD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anticipating the changes of BMD in middle aged men.
      번역하기

      To investigate the decrease of BMD by age and the risk factor of osteoporosis in Korean men. We describe the study of a five-year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ith male patients. Eighty Korean men who visited hospital for health screening were a...

      To investigate the decrease of BMD by age and the risk factor of osteoporosis in Korean men. We describe the study of a five-year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ith male patients. Eighty Korean men who visited hospital for health screening were assessed for this study from 2002 to 2006. We evaluated the BMD of the femoral neck and L-spine, and the preferences and habits in the life. The data were collected for 5 years, and we analysed the five-years change of BMD and the relations between BMD and other factors.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 by 1st assessment of femoral neck BMD, and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age of subjects was 43.15 ± 4.82 and BMD of femoral neck was -0.61 ± 0.97 and BMD of L-spine was -0.67 ±1.10 in the first year assessment. The femoral neck BMD of 4th and 5th assess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1st assessment. The L-spine BMD of 2nd assess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1st assess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BMD and preferences or habits-drinking, smoking, eating habit, exercise. The femoral neck BMD of 5th assess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1st assessment in the high femoral neck BMD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femoral BMD and L-spine BMD in other groups. Low BMD group in the 1st assessment showed lowest BMD in the 5th assessment and high BMD group in the 1st assessment showed highest BMD in the 5th assessment. We can guess that the young men who has low BMD could have high risk of osteoporosis when he became older. And the femoral BMD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anticipating the changes of BMD in middle aged 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성인 남성들이 2002년부터 2006년 까지 건강검진을 받기위해 대학병원을 내원한 성인 남성 80명을 개인별 골밀도를 5년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성인 남성 80명의 평균연령은 43.15 ± 4.82세였다. 대퇴경부의 골밀도는 1차 측정에서 -0.61에 비하여 4차 및 5차 측정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척추 골밀도는 1차 측정 -0.67에서 2차 측정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지만 3∼5차 측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활습관에 따른 음주, 흡연, 운동, 식습관에 따른 군 간의 대퇴경부 및 척추 골밀도 변화 값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차 측정에서의 대퇴경부 골밀도를 기준으로 골밀도 상(0 ≦ BMD ), 중(-1.0 ≦ BMD <0), 하(BMD < -1.0) 집단에서 1차 측정과 5차 측정 골밀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상 집단에서 대퇴경부 골밀도가 1차 0.67 ± 0.76에서 0.42 ± 0.9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른 집단에서는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들의 나이에 관계없이 젊어서부터 골밀도가 낮은 사람들은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가 낮아 있었으며, 골밀도가 높은 사람들은 1차 측정 때부터 5차 측정 때까지 높았다. 대퇴경의 골밀도는 1차 측정에 비해 5차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어 척추보다는 대퇴경부의 골밀도에 주의하도록 한다.
      번역하기

      성인 남성들이 2002년부터 2006년 까지 건강검진을 받기위해 대학병원을 내원한 성인 남성 80명을 개인별 골밀도를 5년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성인 남성 80명의 평균연령은 43.15 �...

      성인 남성들이 2002년부터 2006년 까지 건강검진을 받기위해 대학병원을 내원한 성인 남성 80명을 개인별 골밀도를 5년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성인 남성 80명의 평균연령은 43.15 ± 4.82세였다. 대퇴경부의 골밀도는 1차 측정에서 -0.61에 비하여 4차 및 5차 측정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척추 골밀도는 1차 측정 -0.67에서 2차 측정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지만 3∼5차 측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활습관에 따른 음주, 흡연, 운동, 식습관에 따른 군 간의 대퇴경부 및 척추 골밀도 변화 값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차 측정에서의 대퇴경부 골밀도를 기준으로 골밀도 상(0 ≦ BMD ), 중(-1.0 ≦ BMD <0), 하(BMD < -1.0) 집단에서 1차 측정과 5차 측정 골밀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상 집단에서 대퇴경부 골밀도가 1차 0.67 ± 0.76에서 0.42 ± 0.9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른 집단에서는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들의 나이에 관계없이 젊어서부터 골밀도가 낮은 사람들은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가 낮아 있었으며, 골밀도가 높은 사람들은 1차 측정 때부터 5차 측정 때까지 높았다. 대퇴경의 골밀도는 1차 측정에 비해 5차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어 척추보다는 대퇴경부의 골밀도에 주의하도록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자, "한국여성의 연령별 골밀도와 그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대구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5

      2 고석봉, "폐경기 증상과 양측 난소제거술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37 (37): 2037-2046, 1994

      3 이규철, "폐경기 여성들의 골다공증 예측인자로서 체중과 체질량지수의 비교" 대한가정의학회 26 (26): 15-19, 2005

      4 장준섭,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요추부의 골밀도 측정" 25 (25): 262-269, 1990

      5 민용기,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로 측정한 한국인 여성의 측면 요추 골밀도" 1 (1): 70-76, 1994

      6 정윤석, "올바른 골밀도 측정(기술) 및 해석. 연세의대 골다공증크리닉" 최신의학사 23-30, 1995

      7 장수진, "성인남녀 480명에서의 골밀도와 비만의 상관관계에 관한 임상적 연구" 15 (15): 383-392, 1998

      8 김현경, "남원지역 성인여성의 골밀도. 연령 및 폐경전후, 체중에 따른 비교" 22 (22): 171-177, 2001

      9 변영순,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정담 15-20, 1997

      10 주명숙, "골다공증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6 (6): 37-50, 1990

      1 이희자, "한국여성의 연령별 골밀도와 그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대구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5

      2 고석봉, "폐경기 증상과 양측 난소제거술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37 (37): 2037-2046, 1994

      3 이규철, "폐경기 여성들의 골다공증 예측인자로서 체중과 체질량지수의 비교" 대한가정의학회 26 (26): 15-19, 2005

      4 장준섭,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요추부의 골밀도 측정" 25 (25): 262-269, 1990

      5 민용기,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로 측정한 한국인 여성의 측면 요추 골밀도" 1 (1): 70-76, 1994

      6 정윤석, "올바른 골밀도 측정(기술) 및 해석. 연세의대 골다공증크리닉" 최신의학사 23-30, 1995

      7 장수진, "성인남녀 480명에서의 골밀도와 비만의 상관관계에 관한 임상적 연구" 15 (15): 383-392, 1998

      8 김현경, "남원지역 성인여성의 골밀도. 연령 및 폐경전후, 체중에 따른 비교" 22 (22): 171-177, 2001

      9 변영순,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정담 15-20, 1997

      10 주명숙, "골다공증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6 (6): 37-50, 1990

      11 임창훈, "XR-36을 이용한 한국인 여성의 골밀도 측정" 2 (2): 50-54, 1995

      12 J.A. Kanis,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9 : 1137-1140, 1994

      13 J.M. Grodin, "Source of estrogen produ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36 : 207-214, 1973

      14 M.A. Hansen, "Potential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examined over a 12-year period" 1 (1): 95-102, 1991

      15 H. Daniell, "Osteoporosis of the slender smoker" 136 : 298-304, 1976

      16 N. Pocock, "Muscle strength, physical fitness, and weight but not age predict femoral neck bone mass" 4 : 441-448, 1989

      17 J.R. Cameron, "Measurement of bone mineral in vivo, an improved method science" 142 : 230-232, 1963

      18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diagnosis,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94 : 646-650, 1993

      19 D.M. Smith, "Age and activity effects or rate bone mineral loss" 58 : 716-721,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Radiology ->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45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