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체 없는 근대, 장지연론 =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the Theory of Jang Ji Y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4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10년 이전 우국언론인(憂國言論人)이었던 장지연은 한일합방 이후 일제(日帝)의 통치에 협력한다. 그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였던 매일신보에 약 7백 회 이상의 시와 산문을 기고했으며, 그것의 주된 내용은 조선총독부의 조선 통치를 긍정하고 그것에 협력하는 것이었다. 장지연이 일제의 조선 통치에 협력했던 것은, 일제의 통치에 의해 조선이 근대화하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통치에 의한 조선(한국)의 근대화는, 조선인(곧 한국인)이 주체가 되어 한국인과 한국사회를 근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제가 주체가 되어 한국인과 한국사회를 근대화하는 것이었다. 즉 그 근대화는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주체 없는 근대화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 근대화는 한국인이 근대화의 타자였던 것으로, 자신이 자신을 스스로 근대화하는 것과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즉 근대화의 속성이 달랐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지연은 주체 없는 근대화를 조선의 진정한 근대화로 믿고, 일제의 식민통치에 협력했던 것이다. '주체 없는 근대'의 논리는 물론 일제가 만들어 유포한 것이며, 거기에 장지연을 위시한 지식인들이 포섭되었던 것이다. 식민지 시기 일제에 협력했던 인사들은 거의 예외 없이 주체 없는 근대화를 신념했다고 말할 수 있다. 식민지 시기의 주체 없는 근대화는 해방 이후에도 여전히 위력을 발휘했다. 독재정치가 민중을 오직 근대화의 대상으로 본 것과 근대화를 위해서는 어떤 희생도 가능하다는 논리(인간의 인간에 대한 착취, 죽음 요구)가 횡행하였던 것 역시 '주체 없는 근대'의 연장이며, 주체가 없기에 '민족'을 외치면서도 민족의 운명을 외세(국가의 운명을 외세에 맡기는 것)에 맡기자는 논리는 여전히 지배세력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번역하기

      1910년 이전 우국언론인(憂國言論人)이었던 장지연은 한일합방 이후 일제(日帝)의 통치에 협력한다. 그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였던 매일신보에 약 7백 회 이상의 시와 산문을 기고했으며, 그...

      1910년 이전 우국언론인(憂國言論人)이었던 장지연은 한일합방 이후 일제(日帝)의 통치에 협력한다. 그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였던 매일신보에 약 7백 회 이상의 시와 산문을 기고했으며, 그것의 주된 내용은 조선총독부의 조선 통치를 긍정하고 그것에 협력하는 것이었다. 장지연이 일제의 조선 통치에 협력했던 것은, 일제의 통치에 의해 조선이 근대화하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통치에 의한 조선(한국)의 근대화는, 조선인(곧 한국인)이 주체가 되어 한국인과 한국사회를 근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제가 주체가 되어 한국인과 한국사회를 근대화하는 것이었다. 즉 그 근대화는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주체 없는 근대화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 근대화는 한국인이 근대화의 타자였던 것으로, 자신이 자신을 스스로 근대화하는 것과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즉 근대화의 속성이 달랐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지연은 주체 없는 근대화를 조선의 진정한 근대화로 믿고, 일제의 식민통치에 협력했던 것이다. '주체 없는 근대'의 논리는 물론 일제가 만들어 유포한 것이며, 거기에 장지연을 위시한 지식인들이 포섭되었던 것이다. 식민지 시기 일제에 협력했던 인사들은 거의 예외 없이 주체 없는 근대화를 신념했다고 말할 수 있다. 식민지 시기의 주체 없는 근대화는 해방 이후에도 여전히 위력을 발휘했다. 독재정치가 민중을 오직 근대화의 대상으로 본 것과 근대화를 위해서는 어떤 희생도 가능하다는 논리(인간의 인간에 대한 착취, 죽음 요구)가 횡행하였던 것 역시 '주체 없는 근대'의 연장이며, 주체가 없기에 '민족'을 외치면서도 민족의 운명을 외세(국가의 운명을 외세에 맡기는 것)에 맡기자는 논리는 여전히 지배세력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ng Ji Yeon was a patriotic journalist before 1910. But he began to cooperate with the Japanese imperial control of Joseon since the Korea-Japan annexation. More than 700 poets and proses written by him were contributed to Maeil Shinbo , a paper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Joseon. Most of the contributions were positive about the colonial government's rule of Joseon, ultimately showing cooperation in the rule. The reason why Jang Ji Yeon cooperated in Japanese colonial rule is because he was convinced that the colonial governance of Joseon was contributing to the modernization of his country. But in fact, modernizing the Koreans 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driven not by people of Joseon(the Koreans), but by Japanese imperialists. For the Koreans, it was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In the modernization by Japanese imperialists, the Koreans were not more than the objects of the proces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modernization by Korean people themselves. In other words, there wa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nature of modernization. Nevertheless, Jang Ji Yeon believed that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would be truly effective to Joseon, so he cooper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course,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was a logic that was devised and spreaded by Japanese imperialists, which captivated intellects including Jang Ji Yeon. With little or no exception, those intellects who supported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had their own confidence in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This sort of modernization was kept strongly powerful even after the national independence. Situations developed after the independence were on the continuum of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for example, the prosperity of dictatorship that treated the public only as what to be modernized and the dominance of logics that approved any sacrifice for modernization(man's exploitation of man, request of death). Even now, especially, ruling powers of this country are sharing a logic that allows outside powers to decide the fate of this nation(making the fate of this country dependent on foreign powers).
      번역하기

      Jang Ji Yeon was a patriotic journalist before 1910. But he began to cooperate with the Japanese imperial control of Joseon since the Korea-Japan annexation. More than 700 poets and proses written by him were contributed to Maeil Shinbo , a paper of t...

      Jang Ji Yeon was a patriotic journalist before 1910. But he began to cooperate with the Japanese imperial control of Joseon since the Korea-Japan annexation. More than 700 poets and proses written by him were contributed to Maeil Shinbo , a paper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Joseon. Most of the contributions were positive about the colonial government's rule of Joseon, ultimately showing cooperation in the rule. The reason why Jang Ji Yeon cooperated in Japanese colonial rule is because he was convinced that the colonial governance of Joseon was contributing to the modernization of his country. But in fact, modernizing the Koreans 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driven not by people of Joseon(the Koreans), but by Japanese imperialists. For the Koreans, it was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In the modernization by Japanese imperialists, the Koreans were not more than the objects of the proces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modernization by Korean people themselves. In other words, there wa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nature of modernization. Nevertheless, Jang Ji Yeon believed that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would be truly effective to Joseon, so he cooper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course,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was a logic that was devised and spreaded by Japanese imperialists, which captivated intellects including Jang Ji Yeon. With little or no exception, those intellects who supported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had their own confidence in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This sort of modernization was kept strongly powerful even after the national independence. Situations developed after the independence were on the continuum of modernization without subjectivity, for example, the prosperity of dictatorship that treated the public only as what to be modernized and the dominance of logics that approved any sacrifice for modernization(man's exploitation of man, request of death). Even now, especially, ruling powers of this country are sharing a logic that allows outside powers to decide the fate of this nation(making the fate of this country dependent on foreign pow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의 소재
      • 2. 장지연의 전향과 협력
      • 3. 주체 없는 근대
      • 4. 맺음
      • 1. 문제의 소재
      • 2. 장지연의 전향과 협력
      • 3. 주체 없는 근대
      • 4. 맺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반민족연구소, "친일파 99인 (3)" 돌베개 207-208, 1999

      2 강명관, "장지연 시세계의 변모와 사상" 한국한문학회 9 : 1987

      3 "韓國漢文學硏究 9・10집"

      4 장지연, "韋菴文稿" 국사편찬위원회 1956

      5 장지연, "每日申報 , 1914∼1915, 1918"

      6 장지연, "張志淵全書 10" 1986

      7 김태웅, "1915년 京城府 物産共進會와 日帝의 政治宣傳" 서울학연구소 (18) : 139-168, 2002

      1 반민족연구소, "친일파 99인 (3)" 돌베개 207-208, 1999

      2 강명관, "장지연 시세계의 변모와 사상" 한국한문학회 9 : 1987

      3 "韓國漢文學硏究 9・10집"

      4 장지연, "韋菴文稿" 국사편찬위원회 1956

      5 장지연, "每日申報 , 1914∼1915, 1918"

      6 장지연, "張志淵全書 10" 1986

      7 김태웅, "1915년 京城府 物産共進會와 日帝의 政治宣傳" 서울학연구소 (18) : 139-168,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