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독도편입과 한국의 항의 부존재에 대한 역사적 검토 = Historical Review on Japan's Annexation of Dokdo and Korea's Protest Abs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6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gashima Hiroki believed that when the period of the residency-general would come, the diplomacy between Korea and Japan should be handled by domestic administration. The residency-general is described as a core organization of this domestic administ...

      Nagashima Hiroki believed that when the period of the residency-general would come, the diplomacy between Korea and Japan should be handled by domestic administration. The residency-general is described as a core organization of this domestic administration system. In other words, it was considered that in terms of any of the diplomatic matter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residency-general should be in charge as a channel of peaceful communication. He, consequently, got to predicate that regarding Japan's Dokdo incorporation, Korea hadn't tried to protest even when Korea still had a chance to protest without hesitation. He, after all, is arguing that Korea's protest absence is equivalent to acquiescence. In order to support his own argument, he has been offering correspondences between these departments as evidence which had been working as negotiation opposit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looked into such arguments of Nagashima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as a result, confirmed that the residency-general was the encroachment organization that had gradually 'interfered', 'manipulated', and 'dominated' Korean domestic administration. It was learned tha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sidency-general, the both nations, Korea and Japan, had not been equal in their relations while Korea was put under the control of Japanese domestic administration. Taking that into account, there is only a slim chance for the both nations' negotiation opposites to be approved equally. That was what has been also confirmed in the contents of Korea-Japan correspondences. In the correspondences of those times, rather private, trivial matters than official ones were mentioned, and to top it off, it was not two-way communication but merely unilateral requests or demands. Add to that, as for 'the imperial family diplomacy' by King Gojong as well, it ended up being nominal by 'the palace prohibition' after it had existed for a while in the midst of Japan's vigilance and interruption. As described so far, Korea was unable to protest in any way against the residency-general's unlawful, unjust domination over Korean domestic administration. Not only that, Japan didn't provide Korea with any official notification of Dokdo incorporation. It is only believed to be lack of logic when you want to blame others for their not having protested against something which you hadn't notified of in the first pl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나가시마 히로키(永島広紀)는 통감부 시기를 한일 사이의 외교가 내정이 되는 시기로 판단하였다. 통감부는 내정화의 핵심 기구인 것이다. 즉 통감부를 통해 한일간 모든 외교문제는 원활하...

      나가시마 히로키(永島広紀)는 통감부 시기를 한일 사이의 외교가 내정이 되는 시기로 판단하였다. 통감부는 내정화의 핵심 기구인 것이다. 즉 통감부를 통해 한일간 모든 외교문제는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구조가 되었다고 본 것이다. 이에 따라 일본의 독도 편입에 대해 한국은 손쉽게 항의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의하지 않았다고 단정지었다. 나아가 항의하지 않은 것은 곧 묵인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한 근거로 한일 사이의 교섭 상대가 되는 부서의 왕복 문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나가시마의 주장을 역사적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통감부는 일본이 한국의 내정에 대해 점진적으로 ‘간섭’, ‘주도’, ‘장악’해 간 침탈기구였음을 확인하였다. 통감부 설치 이후 한일 양국은 대등한 관계를 유지한 것이 아니라 한국이 일본의 내정에 예속되어 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국의 교섭 상대가 대등하게 성립했을 가능성은 없다. 이는 한일간 왕복문서의 내용에서도 확인되었다. 당시 왕복문서에는 공무에 관한 내용보다는 사적이고 사소한 문제만 거론되었고 양방향 소통이 아니라 일방적인 부탁 혹은 요청이 전부였다. 또 고종에 의한 ‘황실외교’ 역시 일본의 감시와 방해 속에서 잠시 존재했었지만 이마저도 ‘궁금령’에 의해 유명무실해졌다. 이처럼 한국은 불법 부당한 통감부의 한국 내정 장악에 의해 어떠한 저항도 할 수 없었다. 또 일본은 한국에게 독도 편입 사실조차 공식적으로 고시하지 않았다. 고시하지 않은 사실에 대해 항의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일 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동북아역사재단, "한일 조약 자료집(1876~1910)" 동북아역사재단 2020

      3 송병기, "한말근대법령자료집" 국회도서관 1970

      4 김현숙, "한말 조선 정부의 고문관정책" 33 : 1999

      5 "통감부문서"

      6 남은정, "통감부 시기(1906~1910) ‘시정개선협의회(施政改善協議會)’의 구성과 기능" 서울시립대 2020

      7 강창석, "조선통감부연구II" 국학자료원 2004

      8 강창석, "조선통감부연구" 국학자료원 1995

      9 김영수, "제국의 이중성" 동북아역사재단 2019

      10 "일한외교자료집성"

      1 "황성신문"

      2 동북아역사재단, "한일 조약 자료집(1876~1910)" 동북아역사재단 2020

      3 송병기, "한말근대법령자료집" 국회도서관 1970

      4 김현숙, "한말 조선 정부의 고문관정책" 33 : 1999

      5 "통감부문서"

      6 남은정, "통감부 시기(1906~1910) ‘시정개선협의회(施政改善協議會)’의 구성과 기능" 서울시립대 2020

      7 강창석, "조선통감부연구II" 국학자료원 2004

      8 강창석, "조선통감부연구" 국학자료원 1995

      9 김영수, "제국의 이중성" 동북아역사재단 2019

      10 "일한외교자료집성"

      11 이성환, "일본의 독도편입과 한국의 항의 부존재에 관한 검토-나가시마 히로키(長島広紀)「‘내정’화하는 한일의 ‘외교’」 에 대한 반론-" 독도연구소 (29) : 7-41, 2020

      12 "일본외교문서"

      13 윤병석, "을사오조약의 신고찰" 23 : 1991

      14 "대한매일신보"

      15 "고종실록"

      16 류재곤, "日帝統監 伊藤博文의 對韓侵略政策(1906~1909)" 10 : 1993

      17 "官報"

      18 永島広紀, "内政化する日韓の外交ー公文書の往来状況に見る統監府 「保護」 下の大韓帝国ー" 竹島問題研究会 93-106, 2020

      19 권태억, "1904~1910년 일제의 한국 침략 구상과 ‘시정개선’" 31 :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10-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도 · 평화연구소 -> 독도연구소
      영문명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 Dokdo Research Institute
      2007-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도연구소 -> 독도 · 평화연구소
      영문명 : Dokdo Research Institute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