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소아 청소년의 치과 치료 시 진정법 경향 = Trends in Dental Sedation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74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in dental sedation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under 20 years of age who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sedation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Database from 2002 to 2015. Based on the 1 million standard data, there were 436 cases of dental treatment under sedation in 2002, but 4002 cases in 2015, showing a trend increasing every year. The 3 - 5 year old group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54.2%), while the 6 - 8 year old group increased recently. Nitrous oxide inhalation sedation is the most commonly used, accounting for 45.9% in 2002, but increased to 89.5% in 2015. Combination of nitrous oxide inhalation sedation, chloralhydrate and hydroxyzine was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5.7% in 2002, but decreased to 2.9% in 2015. There is a trend to use the sedation method more safely and in a way that reduces side effec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in dental sedation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under 20 years of age who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sedation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in dental sedation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under 20 years of age who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sedation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Database from 2002 to 2015. Based on the 1 million standard data, there were 436 cases of dental treatment under sedation in 2002, but 4002 cases in 2015, showing a trend increasing every year. The 3 - 5 year old group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54.2%), while the 6 - 8 year old group increased recently. Nitrous oxide inhalation sedation is the most commonly used, accounting for 45.9% in 2002, but increased to 89.5% in 2015. Combination of nitrous oxide inhalation sedation, chloralhydrate and hydroxyzine was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5.7% in 2002, but decreased to 2.9% in 2015. There is a trend to use the sedation method more safely and in a way that reduces side eff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현수, "행동유도법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도 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 44 (44): 427-436, 2017

      2 채종균, "한국에서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지역분포 및 진료패턴" 대한소아치과학회 47 (47): 44-52, 2020

      3 배치훈, "치과 치료 시 진정법 시행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대한치과마취과학회 14 (14): 29-39, 2014

      4 강정민, "최근 5년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환자 분포 및 치료 경향" 대한소아치과학회 41 (41): 134-144, 2014

      5 김혜원, "최근 10년간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의 진료 경향" 대한소아치과학회 46 (46): 328-336, 2019

      6 한미란, "진정법에서 클로랄 하이드레이트의 대안은 무엇일까?" 대한소아치과학회 47 (47): 218-234, 2020

      7 이고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진정법의 변화 양상" 대한소아치과학회 45 (45): 154-161, 2018

      8 안소연, "어린이의 치과치료시 약물에 의한 진정요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 32 (32): 444-453, 2005

      9 김현태, "소아환자에서 midazolam 정주 및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 하 치과치료의 특성" 대한소아치과학회 47 (47): 53-61, 2020

      10 양연미, "소아치과의사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 41 (41): 257-265, 2014

      1 임현수, "행동유도법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도 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 44 (44): 427-436, 2017

      2 채종균, "한국에서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지역분포 및 진료패턴" 대한소아치과학회 47 (47): 44-52, 2020

      3 배치훈, "치과 치료 시 진정법 시행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대한치과마취과학회 14 (14): 29-39, 2014

      4 강정민, "최근 5년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환자 분포 및 치료 경향" 대한소아치과학회 41 (41): 134-144, 2014

      5 김혜원, "최근 10년간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의 진료 경향" 대한소아치과학회 46 (46): 328-336, 2019

      6 한미란, "진정법에서 클로랄 하이드레이트의 대안은 무엇일까?" 대한소아치과학회 47 (47): 218-234, 2020

      7 이고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진정법의 변화 양상" 대한소아치과학회 45 (45): 154-161, 2018

      8 안소연, "어린이의 치과치료시 약물에 의한 진정요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 32 (32): 444-453, 2005

      9 김현태, "소아환자에서 midazolam 정주 및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 하 치과치료의 특성" 대한소아치과학회 47 (47): 53-61, 2020

      10 양연미, "소아치과의사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 41 (41): 257-265, 2014

      11 김지연, "소아치과 진정법에 사용되는 약제" 대한소아치과학회 43 (43): 109-116, 2016

      12 김선미, "비외과적 근관치료의 개별치아 누적 생존율"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41 (41): 201-207, 2017

      13 박창현,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서 5년간 시행된 진정법에 대한 후향적 통계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 45 (45): 75-81, 2018

      14 유승학,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한 빅데이터 자료분석 방법: 부비동염수술과 천식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과 분석을 위한 방법론" 대한비과학회 22 (22): 28-33, 2015

      15 정현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한 임상 연구: 실제와 전망" 대한내과학회 94 (94): 463-470, 2019

      16 김지훈, "강릉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진정치료환아와 보호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 31 (31): 459-473, 2004

      17 김혜성, "가계 소득수준과 치과의료서비스 지출 경향"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8 (38): 17-24, 2014

      18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Use of nitrous oxide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The reference manual of pediatric dentistry"

      19 Weinbroum AA, "The midazolam-induced paradox phenomenon is reversible by flumazenil. Epidemiology, patient characteristic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8 : 789-797, 2001

      20 Meadows M, "The FDA takes action against unapproved drugs" 41 : 34-35, 2007

      21 Wilson S, "Survey on sedation in paediatric dentistry : a global perspective" 21 : 321-332, 2011

      22 Choi YS, "Sedation practices in dental office : a survey of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6 : 579-588, 1999

      23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Sedation guideline for pediatric patients" Daehan Narae Publishing 2-14, 2017

      24 Malamed SF, "Sedation : A guide to patient management" Mosby 202-207, 2018

      25 Wilson S, "Project USAP 2010 : use of sedative agents in pediatric dentistry-a 25-year follow-up survey" 38 : 127-133, 2016

      2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opulation trend survey -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2019"

      27 Nordt SP, "Pediatric chloral hydrate poisonings and death following outpatient proce dural sedation" 10 : 219-222, 2014

      28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Pediatric adolescent dentistry" Yenang 225-230, 2014

      29 Wilson S, "Oral sedation for dental procedures in children" Springer-Verlag 1-26, 2015

      30 Coté CJ, "Guidelines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pediatric patients before, during, and after sedation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41 : E26-E52, 2019

      31 Millar WJ, "Dental insurance and use of dental service" 11 : 55-67, 1999

      32 Eid H, "Conscious sedation in the 21st century" 26 : 179-180, 2002

      33 Chowdhury J, "Comparison of chloral hydrate, meperidine, and hydroxyzine to midazolam regimens for oral sedation of pediatric dental patients" 27 : 191-197, 2005

      34 Wright GZ, "Behavior management in dentistry for children" John Wiley & Sons Inc 147-161, 2014

      35 Coté CJ, "Adverse sedation events in pediatrics : analysis of medications used for sedtion" 106 : 633-644, 2000

      36 Coté CJ, "Adverse sedation events in pediatrics : a critical incident analysis of contributing factors" 105 : 805-814, 2000

      37 Foley J, "A prospective study of the use of nitrous oxide inhalation sedation for dental treatment in anxious children" 6 : 121-128,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5 0.39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