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同文同軌”라는 역사적 맥락과 공용문자로서의 漢字
- 3. “同文同軌”의 정치학 그리고 “文字”와 “本國俚語”의 사이
- 4. 유교적 통치권력의 敎化와 刑政 그리고 문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93758
2023
Korean
훈민정음 ; 최만리 ; 세종 ; 언문 ; 동문동궤 ; 이두 ; 한자 ; 집현전 ; 이숭녕 ; 모리아리노리 ; Hunmin ch?ng?m ; ?nmun ; Choe Malli ; Sejong ; Hall of Worthies ; Sinographic Cosmopolis ; Vernacular Korean ; Korean Vernacular Alphabet ; Hang?l
911
KCI등재
학술저널
221-261(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2022년 검정통과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
2022년 검정 통과 고등학교 교과서 『일본사탐구』의 한국 고대사 관련 서술 분석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 드러난 조선 식민지 지배 관련 서술과 그 특징 -‘역사종합’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