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두 품종의 과실발육기간 동안의 주요 과실 특성 변이 = Variation of Major Fruit Characteristics During Fruit Development Period in Plum Cultiv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9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로 다른 숙기를 가진 여섯 개의 자두 품종을 이용하여 과실 발육 단계에 따른 주요 과실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두 과실의 산도는 유과기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가 과실의 발육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를 기점으로 감소되고 이후 수확기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산도와 거의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숙기가 빠른 품종 일수록 보다 빠른 시기에 변화가 나타났다. 수확기에 측정 된 산도와 가용성 당함량의 축적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품종 특이적인 변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실의 발육동안 유리당과 유기산의 조성변화와 수확기에 조사된 총 유리당과유기산 함량의 검정 결과에서도 품종에 따른 변이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실의 발육과정 중 일어나는 품종 특이적 과실특성의 다양한 변화 양상이 결과적으로 수확기 품종 간 과실품질에 있어서 변이를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과실의 특성과 관련된 형질들의값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실험에 이용된 여섯 개의 품종을 대조적인 과실 특성을가진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과실발육 기간 동안과 수확기에 대조적인 과실특성을 가진 품종들을 이용한 추가적인 생리 및 육종 연구들은 고품질 자두의 육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서로 다른 숙기를 가진 여섯 개의 자두 품종을 이용하여 과실 발육 단계에 따른 주요 과실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두 과실의 산도는 유과기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가 과실의 발육...

      서로 다른 숙기를 가진 여섯 개의 자두 품종을 이용하여 과실 발육 단계에 따른 주요 과실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두 과실의 산도는 유과기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가 과실의 발육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를 기점으로 감소되고 이후 수확기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산도와 거의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숙기가 빠른 품종 일수록 보다 빠른 시기에 변화가 나타났다. 수확기에 측정 된 산도와 가용성 당함량의 축적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품종 특이적인 변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실의 발육동안 유리당과 유기산의 조성변화와 수확기에 조사된 총 유리당과유기산 함량의 검정 결과에서도 품종에 따른 변이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실의 발육과정 중 일어나는 품종 특이적 과실특성의 다양한 변화 양상이 결과적으로 수확기 품종 간 과실품질에 있어서 변이를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과실의 특성과 관련된 형질들의값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실험에 이용된 여섯 개의 품종을 대조적인 과실 특성을가진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과실발육 기간 동안과 수확기에 대조적인 과실특성을 가진 품종들을 이용한 추가적인 생리 및 육종 연구들은 고품질 자두의 육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nges in major fruit characteristics in the fruits of six plum cultivars differing in maturitywere investigated during their fruit development. Acidity of the plum fruits showed the highestlevels at the earliest stage of fruit development and gradually declined with the full developmentof the fruit. Soluble solid sugars in the fruits increased in patterns opposite to those observedfor acidity. The changes of these contents began earlier in plum cultivars with early maturity,and a significant variation among cultivars was found in soluble solid and acidity contentinvestigated at harvest time. Similarly, cultivar-specific variations in change patterns and in thecontent of individual and total organic acids and sugars were observed during fruit developmentand at harvest time. These results indirectly indicated that cultivar-specific change patterns inmajor fruit characteristics during fruit development result in differences in fruit quality at harvesttime and are the major reasons driving genetic variations of fruit quality. Cultivar segregation according to fruit characteristics was also attempted through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f sixplum cultivars, and plum cultivars were segregated into three groups with different fruitproperties. Further physiological and breeding studies using cultivars with comparative changingpatterns of fruit characteristics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fruit properties at harvest time willhelp to develop a high quality of plum.
      번역하기

      Changes in major fruit characteristics in the fruits of six plum cultivars differing in maturitywere investigated during their fruit development. Acidity of the plum fruits showed the highestlevels at the earliest stage of fruit development and gradua...

      Changes in major fruit characteristics in the fruits of six plum cultivars differing in maturitywere investigated during their fruit development. Acidity of the plum fruits showed the highestlevels at the earliest stage of fruit development and gradually declined with the full developmentof the fruit. Soluble solid sugars in the fruits increased in patterns opposite to those observedfor acidity. The changes of these contents began earlier in plum cultivars with early maturity,and a significant variation among cultivars was found in soluble solid and acidity contentinvestigated at harvest time. Similarly, cultivar-specific variations in change patterns and in thecontent of individual and total organic acids and sugars were observed during fruit developmentand at harvest time. These results indirectly indicated that cultivar-specific change patterns inmajor fruit characteristics during fruit development result in differences in fruit quality at harvesttime and are the major reasons driving genetic variations of fruit quality. Cultivar segregation according to fruit characteristics was also attempted through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f sixplum cultivars, and plum cultivars were segregated into three groups with different fruitproperties. Further physiological and breeding studies using cultivars with comparative changingpatterns of fruit characteristics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fruit properties at harvest time willhelp to develop a high quality of p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기태, "자두의 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816-821, 2005

      2 송관정, "사과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과실의 당 및 전분 농도의 변화" 한국원예학회 44 (44): 207-210, 2003

      3 김성종, "복숭아 발육과정 중 품종별 당조성과 관련효소 활성의 변화" 한국원예학회 25 (25): 204-211, 2007

      4 성윤정, "국내산 자두 주요 품종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성분 특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5 (45): 134-137, 2002

      5 Hooshmand S, "Viewpoint: dried plum, an emerging food that may effectively improve bone health" 8 : 122-127, 2009

      6 Dinar M,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ch accumulation and soluble solids content of tomato fruits" 106 : 415-418, 1981

      7 Crisosto CH, "Segregation of plum and pluot cultivars according to their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44 : 271-276, 2007

      8 Pangborn RM, "Relative taste intensities of selected sugars and organic acids" 28 : 726-733, 1963

      9 McCleary BV, "Measurement of total stach in cereal products by amyloglucosidase, α-amylase method: Collaborative study" 80 : 571-579, 1997

      10 Muir JG, "Measurement of short-chain carbohydrates in common Australian vegetables and fruit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57 : 554-565, 2009

      1 정기태, "자두의 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816-821, 2005

      2 송관정, "사과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과실의 당 및 전분 농도의 변화" 한국원예학회 44 (44): 207-210, 2003

      3 김성종, "복숭아 발육과정 중 품종별 당조성과 관련효소 활성의 변화" 한국원예학회 25 (25): 204-211, 2007

      4 성윤정, "국내산 자두 주요 품종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성분 특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5 (45): 134-137, 2002

      5 Hooshmand S, "Viewpoint: dried plum, an emerging food that may effectively improve bone health" 8 : 122-127, 2009

      6 Dinar M,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ch accumulation and soluble solids content of tomato fruits" 106 : 415-418, 1981

      7 Crisosto CH, "Segregation of plum and pluot cultivars according to their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44 : 271-276, 2007

      8 Pangborn RM, "Relative taste intensities of selected sugars and organic acids" 28 : 726-733, 1963

      9 McCleary BV, "Measurement of total stach in cereal products by amyloglucosidase, α-amylase method: Collaborative study" 80 : 571-579, 1997

      10 Muir JG, "Measurement of short-chain carbohydrates in common Australian vegetables and fruit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57 : 554-565, 2009

      11 Seo SB,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wines and liquors by using plum (Prunus Salicina)." 16 : 153-157, 2001

      12 Crisosto CH, "Increasing ‘Blackamber’ plum (Prunus salicina Lindell) consumer acceptance" 34 : 237-244, 2004

      13 Klee HJ, "Improving the flavor of fresh fruits: genomics,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187 : 44-56, 2010

      14 Kenis K, "Identification and stability of QTLs for fruit quality traits in apple" 4 : 647-661, 2008

      15 Stacewicz-Sapuntzakis M, "Chemical composition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of prunes: a functional food?" 41 : 251-286, 2001

      16 Cho MD, "Changes of fruit structure and sugar contents during the fruit growth and development in 'Yumyeong'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18 : 353-359, 2000

      17 Jung Hyun Kwon, "Changes in Sugar Composition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during Fruit Development in ‘Kansuke Hakuto’and ‘Kurakatawase’ Peach (Prunus persica)" 한국원예학회 48 (48): 235-240, 2007

      18 Etienne C, "Candidate genes and QTLs for sugar and organic acid content in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105 : 145-159, 2002

      19 Seymour G, "Biochemistry of Fruit Ripening" Chapman and Hall 1993

      20 Janick J, "Advances in fruit breeding" Purdue University Press 1975

      21 Kim DC, "A Study on farmer's selling behavior and consumer's buying behavior to plu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