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언어(Natural Language) 중 한국어와 같이 형태론이 발달된 언어에서의 격(Case) 및 초점(Focus)등의 표지(Marker)들의 문제는 여전히 체계적인 설명이 요망되는 분야이다. 환언하면 변형문법 초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4522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연언어(Natural Language) 중 한국어와 같이 형태론이 발달된 언어에서의 격(Case) 및 초점(Focus)등의 표지(Marker)들의 문제는 여전히 체계적인 설명이 요망되는 분야이다. 환언하면 변형문법 초기...
자연언어(Natural Language) 중 한국어와 같이 형태론이 발달된 언어에서의 격(Case) 및 초점(Focus)등의 표지(Marker)들의 문제는 여전히 체계적인 설명이 요망되는 분야이다. 환언하면 변형문법 초기부터 현존하는 다양한 문법이론들의 분석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어의 명사표지(Nominal Marker)인 '가’, '에게’, 또는 '를’ 등은 여전히 많은 논란의 대상이다.
영어의 경우처럼 비교적 단순한 격 체계를 갖고 있는 언어에서는 기껏해야 2개의 격을 설정함으로써 설명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러나 상대적으로 훨씬 복잡한 형태소 체계를 가지고 있는 한국어의 경우에서는 격의 문제가 상기한 영어의 경우와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한국어의 격에 관련한 기존 이론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구문별로 그 분석법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간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존재동사(Existential Predicates)구문 등에서 발생하는 격의 현상은 학자마다 또는 이론마다 너무도 다양한 제안들을 제시해 온 바 있다. 이러한 기존 제안들의 대부분의 관심사는 대체로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Chae & No 1998, Kim 1990, Lee 1992, Yoon 2002, Youn 1998 등 외 다수)
가)격 교체 현상 - 첫째는 '철수가 영희에게/를 돈을 주었다.' 에서처럼 명사 '영희' 에 다양한 명사 표지들의 실현 가능성에 관한 현상을 다루는 격 교체(Case Alternations)문제의 경우이다.
나) 격 중첩현상 - 둘째는 '철수게에가 돈이 많다.' 에서처럼 해당 명사인 '철수'에 격 표지가 ‘에게가’와 같이 마치 두개의 격이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현상에 관한 문제이다.
이러한 격 중첩(Case Stacking)의 경우에 관한 한 Schütze(1996, 2001)는 해당 표지인 ‘에게가’가 여격 표지(Dative Case Marker)인 ‘에게’와 초점표지(Focus Marker)인 ‘가’의 결합으로서 격의 중첩이 아니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반하여 Yoon(2001)을 위시한 다수의 학자들은 Schütze(1996,2001)의 이론이 경험적 타당성을 인정받는 경우, 한국어의 격 문제조차 보편성 있게 다룰 수 있음에는 동의하지만 이론적 및 경험적 타당성의 결여를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고 여격과 주격의 중첩 현상으로 간주한다.
대체로 한국어의 격에 관한 위의 두 가지의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기존의 접근법들은 두 부류의 비명시적 가설을 근간으로 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아니 된다.
이러한 기존 가설은 소위 ‘Cleft Copula Construction' 테스트에서 재미있는 차이를 보인다. 우선 ’이-‘를 포함하는 긍정계사구문의 바로 앞의 보어는 구조격인 ’가‘의 표지를 허용하지 않고, ’아니-‘를 포함하는 부정계사구문은 이러한 제약이 없다. 이에 준하면, Schütze(1996,2001)의 가설은 왜 '돈이 많은 것은 철수(*에게가)이다.' 가 불가능한지 설명이 어려우나, Yoon (2001)의 가설은 ’-가‘ 표지가 모두 [+nom]자질을 갖기에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Yoon (2001)의 가설은 '내가 시리얼을 부은 것은 우유에다가가 아니고 물에다가 이다' 와 같은 다양한 표지들을 설명하는 데는 역시 난관에 부딪힌다.
[상기한 격 현상에 관한 새로운 제안]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의 틀을 깨고 상기한 두 현상에 대하여 새로운 가설을 바탕으로 격의 종류를 세분화함으로써 해당현상들에 관한 어휘적 그리고 제약기반 분석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저생성 접근법하의 새로운 제안 (가설)
a. 형태소 ‘가’는 [+nom, -foc], [+nom, +foc], [-nom, +foc] 등 세 가지 기능을 한다.
b. 형태소 ‘를’은 [+acc, -foc], [+acc, +foc], [-acc, +foc] 등 세 가지 기능을 한다.
c. 형태소 ‘에게’는 여격 또는 처소격 등의 의미격 표지이다.
만약 우리가 위에서 제시한 가설을 받아들인다면 상기한 격 현상들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도출할 수 있다. 우선, 기존의 격 교체 현상이란 주격과 여격처럼 구조격간의 교체를 뜻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의미격의 한 종류인 ‘에게’가 구조격인 주격 ‘가’ 대신 나타나는 것을 허락하는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본 연구의 분석에서는 격 교체란 구조격 (문법격)과 의미격 (내재격)간의 교체만을 허용할 뿐이지 구조격간의 격 교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격 중첩의 경우에서도 Yoon(2003) 등에서 주장하는 이론이나 Schütze(1996, 2001)와는 달리 해당 구문들의 격 현상들을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제시한 기존의 분석법들과 새로이 제안한 기저생성 분석법이 아래와 같은 격과 관련된 각종 현상들에 관하여 어떻게 답변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 어느 분석이 가장 타당한 설명법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격과 관련된 현상들과 가능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