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표흐름 기반의 침수 위험성 전망 = Projection of Inundation Hazard in Based on Land Surface Flow Simulation Considering Climate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36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국적으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침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침수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 발생 횟수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침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강우강도, 지속시간 등)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침수 규모를 산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천댐 중권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SSP2-4.5, SSP5-8.5)를 활용하여 미래 일 단위 강우량을 전망하였다. 이후 GRM 모형을 활용하여 미래 강우 패턴에 따른 홍수 발생 횟수(SSP2-4.5 : 총 3회, SSP5-8.5 : 총 5회)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G2D 모형을 통해 극치수문사상(8개)에 대한 침수 규모를 비교하였으며, 첨두유출량이 비교적 낮은 극치사상에서 더 많은 침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창군의 침수피해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국적으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침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침수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국적으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침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침수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 발생 횟수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침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강우강도, 지속시간 등)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침수 규모를 산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천댐 중권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SSP2-4.5, SSP5-8.5)를 활용하여 미래 일 단위 강우량을 전망하였다. 이후 GRM 모형을 활용하여 미래 강우 패턴에 따른 홍수 발생 횟수(SSP2-4.5 : 총 3회, SSP5-8.5 : 총 5회)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G2D 모형을 통해 극치수문사상(8개)에 대한 침수 규모를 비교하였으며, 첨두유출량이 비교적 낮은 극치사상에서 더 많은 침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창군의 침수피해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of localized heavy rainfall has increased, leading to a higher risk of inundation in Korea.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undation risks in the long term, it is essential to quantitatively project the frequency of future flood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addition, factors(rainfall intensity and duration) influencing inunda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accurately assess the scale of inund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jected daily future rainfall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SSP2-4.5 and SSP5-8.5) for the Hapcheon Dam watershed. Subsequently, GRM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flood occurrences under future rainfall patterns, revealing a total of three occurrences under the SSP2-4.5 scenario and five occurrences under the SSP5-8.5 scenario. Finally, G2D model was used to compare the volume of inundation of eight extreme hydrologic events. It was confirmed that greater inundation occurred in an extreme event with a relatively lower peak dischar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foundational research data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easures to reduce inundation damage in Hapcheon Dam watershed.
      번역하기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of localized heavy rainfall has increased, leading to a higher risk of inundation in Korea.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undation risks in the long term, it is essential to quantitatively project the frequen...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of localized heavy rainfall has increased, leading to a higher risk of inundation in Korea.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undation risks in the long term, it is essential to quantitatively project the frequency of future flood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addition, factors(rainfall intensity and duration) influencing inunda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accurately assess the scale of inund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jected daily future rainfall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SSP2-4.5 and SSP5-8.5) for the Hapcheon Dam watershed. Subsequently, GRM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flood occurrences under future rainfall patterns, revealing a total of three occurrences under the SSP2-4.5 scenario and five occurrences under the SSP5-8.5 scenario. Finally, G2D model was used to compare the volume of inundation of eight extreme hydrologic events. It was confirmed that greater inundation occurred in an extreme event with a relatively lower peak dischar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foundational research data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easures to reduce inundation damage in Hapcheon Dam watersh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