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적 환경에서의 조직의 물리보안 통제요소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Organizational Physical Security Control Elements under Normal Circumsta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37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new paradigm of convergence of virtual and physical spaces took place, the importance of physical security was emphasized. However, many organizations do not have overall physical security control measures due to some misconceptions, such as seeing physical security as part of IT security control. Studies related to physical security in Korea are rarely dealt with, and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basic data are insufficient, it is time to study the control elements that constitute physical security control measures.
      This study used the 'Delphi method', which can expect effective search for uncertain targets for the purpose of deriving the organization's physical security control elements.
      Through three steps of Delphi surveys, the overall physical security control elements were derived. Three elements such as architectural structure and environmental elements, electronic system elements, and human elements were organized into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ncluded 13 elements, and the third layer consisted of 37 elements.
      In the results, all elements of the electronic system and elements that are related to access control or perform direct control functions showed high Content Validity Ratio(CVR), while the ratio was low in the factors that have the inhibitory effect of indirect action and the management factor that promotes security improvement
      번역하기

      As the new paradigm of convergence of virtual and physical spaces took place, the importance of physical security was emphasized. However, many organizations do not have overall physical security control measures due to some misconceptions, such as se...

      As the new paradigm of convergence of virtual and physical spaces took place, the importance of physical security was emphasized. However, many organizations do not have overall physical security control measures due to some misconceptions, such as seeing physical security as part of IT security control. Studies related to physical security in Korea are rarely dealt with, and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basic data are insufficient, it is time to study the control elements that constitute physical security control measures.
      This study used the 'Delphi method', which can expect effective search for uncertain targets for the purpose of deriving the organization's physical security control elements.
      Through three steps of Delphi surveys, the overall physical security control elements were derived. Three elements such as architectural structure and environmental elements, electronic system elements, and human elements were organized into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ncluded 13 elements, and the third layer consisted of 37 elements.
      In the results, all elements of the electronic system and elements that are related to access control or perform direct control functions showed high Content Validity Ratio(CVR), while the ratio was low in the factors that have the inhibitory effect of indirect action and the management factor that promotes security impr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물리보안에 대한 중요성은 한층 강조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물리보안을 IT보안의 일부 통제수단으로 보는 등 잘못된 견해로 인해 많은 조직에서 전반적인 물리보안 통제대책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물리보안과관련한 연구는 좀처럼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기초자료가 부족한 현재의 상황에서 물리보안 통제대책을 구성하는 통제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물리보안을 정보보안 영역의일부로 국한하는 오해에서 비롯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고, 이로써 조직 전반에 걸친 물리보안구성항목의 보완을 시도하였다. 불확실한 대상에 대해 효과적인 탐색을 기대할 수 있는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기업 등 조직의 일반적 환경에서의 물리보안 통제요소의 도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건축 구조 및 환경적 요소, 전자적 시스템 요소, 인적 요소 등 3 개의 요소를 1계층으로 구성하고 13개의 2계층 요소, 37개의 3계층 요소로 구성되는 전반적인 물리보안 통제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전자적 시스템의 모든 요소와 출입통제와 연관되거나직접적인 통제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에서 높은 내용타당도(CVR)를 보였으며 이와 반대로 간접적인작용의 억제효과를 가지는 요소와 보안성 향상을 촉진하는 관리적 요소에서 낮은 내용타당도를 나타냈다.
      번역하기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물리보안에 대한 중요성은 한층 강조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물리보안을 IT보안의 일부 통제수단으로 보는 ...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물리보안에 대한 중요성은 한층 강조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물리보안을 IT보안의 일부 통제수단으로 보는 등 잘못된 견해로 인해 많은 조직에서 전반적인 물리보안 통제대책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물리보안과관련한 연구는 좀처럼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기초자료가 부족한 현재의 상황에서 물리보안 통제대책을 구성하는 통제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물리보안을 정보보안 영역의일부로 국한하는 오해에서 비롯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고, 이로써 조직 전반에 걸친 물리보안구성항목의 보완을 시도하였다. 불확실한 대상에 대해 효과적인 탐색을 기대할 수 있는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기업 등 조직의 일반적 환경에서의 물리보안 통제요소의 도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건축 구조 및 환경적 요소, 전자적 시스템 요소, 인적 요소 등 3 개의 요소를 1계층으로 구성하고 13개의 2계층 요소, 37개의 3계층 요소로 구성되는 전반적인 물리보안 통제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전자적 시스템의 모든 요소와 출입통제와 연관되거나직접적인 통제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에서 높은 내용타당도(CVR)를 보였으며 이와 반대로 간접적인작용의 억제효과를 가지는 요소와 보안성 향상을 촉진하는 관리적 요소에서 낮은 내용타당도를 나타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일, "생활체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정책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2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산업보안학" 박영사 2011

      3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산업보안론" 박영사 2019

      4 국토교통부, "범죄예방건축기준고시"

      5 이상희, "물리보안의 정의에 관한 연구- 위험평가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7 (7): 33-52, 2017

      6 국토교통부, "건축물 테러예방 설계가이드라인" 국토교통부 2010

      7 DOD, "UFC 4-010-01, UFC 4-022-03, UFC 4-020-01, UFC 4-022-02, UFC 4-022-01"

      8 Gracht, H. A., "The Future of Logistics: Scenario for 2025: Gabler. IEC(2013). IEC60839-11-1" 2008

      9 Garcia, M. L.,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Physical Protection System" Butterworth-Heinemann 2007

      10 Linstone HA, "The Delphi Method: Techniques And Applications" Addison-Wesley Pub. 1975

      1 강성일, "생활체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정책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2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산업보안학" 박영사 2011

      3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산업보안론" 박영사 2019

      4 국토교통부, "범죄예방건축기준고시"

      5 이상희, "물리보안의 정의에 관한 연구- 위험평가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7 (7): 33-52, 2017

      6 국토교통부, "건축물 테러예방 설계가이드라인" 국토교통부 2010

      7 DOD, "UFC 4-010-01, UFC 4-022-03, UFC 4-020-01, UFC 4-022-02, UFC 4-022-01"

      8 Gracht, H. A., "The Future of Logistics: Scenario for 2025: Gabler. IEC(2013). IEC60839-11-1" 2008

      9 Garcia, M. L.,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Physical Protection System" Butterworth-Heinemann 2007

      10 Linstone HA, "The Delphi Method: Techniques And Applications" Addison-Wesley Pub. 1975

      11 ASIS, "Protection of Assets"

      12 ASIS, "Physical Security Principles"

      13 Markets and Markets, "Physical Security Market by Component"

      14 한국산업표준, "KS S1005-1 경비서비스 프로세스" 국가기술표준원 1998

      15 한국산업표준, "KS A 8800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16 한국산업표준, "KS A 3011 조도"

      17 Department of Army, "FM(Field Manual)3-19.30: Physical Security"

      18 FEMA, "FEMA 426"

      19 이미화, "DHP를 활용한산업보안기술 유출 대책방안: 전직(轉職)에 의한기술유출 중심으로이"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7 (7): 159-189, 2017

      20 강만성, "DHP를 활용한 기업보안수준 평가지표 개발"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8

      21 Woudenberg, F., "An evaluation of delphi" 40 (40): 131-150, 1991

      22 ASTM., "ASTM F2656/F2656M-18a"

      23 ASIS, "ASIS GDL FPSM-2009"

      24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78 0.882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