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Digestive Physiology and Feeding of Sika Deer = 꽃사슴의 소화생리와 사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836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꽃사슴(Cervus nippon centralis)의 소화기능은 보통 사슴과에서 보여지는 대로 계절적으로 변하며, 이는 체중의 주기적 변동에서도 나타난다. 본 평론에서는 꽃사슴의 소화관을 통한 사료이동속...

      꽃사슴(Cervus nippon centralis)의 소화기능은 보통 사슴과에서 보여지는 대로 계절적으로 변하며, 이는 체중의 주기적 변동에서도 나타난다. 본 평론에서는 꽃사슴의 소화관을 통한 사료이동속도의 생물학적 특성과 계절적 변화 그리고 사료 소화율을 주고 비교생리학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겨울(12월에서 2월까지)을 제외하고 수사슴은 10월에, 임신한 암사슴은 6월에 체중이 각각 감소하는데 이는 번식행위에 기인된다. 6월 출생시 약 4kg인 송아지 체중은 15개월령이면 암사슴의 경우 거의 50kg에 도달한다.
      이들 꽃사슴은 야생초지에서 사육될 때 난쟁이 대나무(dwarf bamboo, Sasa nipponica) 종류를 년중 우선적으로 채식한다. 대나무와 알팔파(Medicago sativa) 건초의 소화율은 각각 50%와 60%였다. 또한 알팔파 건초의 소화율과 전체소화관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은 착색한 건초 또는 비소화성 플라스틱 입자를 이용하여 측정되어졌으며 그 결과는 꽃사슴과 면양 상호간에 비교되어졌다. 꽃사슴의 평균 체류시간은 면양 보다 짧았으며 그 결과 건초 성분의 소화율은 낮았다.
      알팔파 건초를 체중의 2% 수준으로 급여시, 그 건초의 소화율과 통과속도의 계절적 변화를 여름(7월)과 겨율(2월)로 나뉘어 비교하였다. 소화율은 여름보다 겨울에 더 낮았고, 꽃사슴의 소화율은 면양의 소화율 보다 낮았다. 연이은 실험에서 꽃사슴에게 알팔파 건초를 무제한 급여하여 년중 네 번( 5, 8, 11, 2월)에 걸쳐 소화율과 평균 체류시간을 측정 비교하였다. 계절적으로 볼 때 봄에 평균 체류시간은 가장 길었고 소화율은 가장 낮았으며, 가을에는 상대적으로 평균 체류시간은 짧았고 소화율은 가장 높았다.
      더욱이 비중이 각기 다른 비소화성 플라스틱 입자들을 이용하는 방법은 반추동물의 반추활동과 사료통과속도에 있어서의 차이를 구별하는데는 유익하였으나 계절적 변화를 평가하는데는 적합치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ika deer (Cervus nippon centralis), the digestive function shows seasonal changes as commonly seen in the Cervidae, reflecting the cyclic fluctuation in the body weight. In this review,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changes in the passa...

      In sika deer (Cervus nippon centralis), the digestive function shows seasonal changes as commonly seen in the Cervidae, reflecting the cyclic fluctuation in the body weight. In this review,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changes in the passage of food through the digestive tract and food digestibility in sika deer were discussed mainly from the point of comparative physiology.
      The body weight of stags and pregnant hinds is decreased due to the reproductive behaviour in October and June, respectively, except in the winter season (December to February). The body weight of calves, around 4 kg at birth (June), almost reaches that of hinds (50 kg) at 15 months of age.
      They preferably eat a type of dwarf bamboo (Sasa nipponica) all through the year when fed on a wild grassland. The digestibility of Sasa and lucerne (Medicago sativa) hay, which were fed through the experiments, was 50 and 60 %, respectively. In addition, digestibility of lucerne hay and MRT (mean retention time through the whole digestive tract) were measured using stained hay and indigestible plastic particles, and compared in sika deer and domesticated sheep. The results suggested that sika deer have a shorter MRT than sheep, resulting in lower digestibility of hay components.
      Seasonal changes in digestibility and passage of lucerne hay were compared between summer (July) and winter (February) at a feeding level of 2 % of body weight. Digestibility in both animal species was lower in winter than in summer, and digestibility in sika deer was lower than that in sheep. In the next experiment, sika deer were fed lucerne hay ad libitum, and digestibility and MRT were compared at four times in the year (May, August, November and February). They showed the greatest MRT and the lowest digestibility in spring, but relatively small MRT and the greatest digestibility in autumn.
      Furthermore, it was also shown that indigestible plastic particles with various specific gravities were profitable for descriminating the difference in passage pattern as well as rumination activity in the ruminant animals, but were not suitable for assessing a seasonal chan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