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미디어교육지원법」 입법에 관한 논의 = Discussion on Media Literacy Education Legislation for Coping with Fake New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legisl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oping with fake new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is article discussed the concept of fake news and the basic elements of media literacy. Specifically, article discussed three variables of the concept of fake news for legistlation discussion. Second, this article discussed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a education. Media center and school media education were specifically discussed separately. With this, article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legislation related to media literacy. In detail, social media education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a education of the public institutions, and school media education analyzed that of today’s schools with curriculum. Thir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article presented a discussion point for legislative legislation. The conclusion of discussion emphasized the need for attention to The Digital Civic Education Act in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related to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oping with fake new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legisl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oping with fake new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is article discussed the concept of fake news and the basic elements of m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legisl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oping with fake new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is article discussed the concept of fake news and the basic elements of media literacy. Specifically, article discussed three variables of the concept of fake news for legistlation discussion. Second, this article discussed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a education. Media center and school media education were specifically discussed separately. With this, article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legislation related to media literacy. In detail, social media education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a education of the public institutions, and school media education analyzed that of today’s schools with curriculum. Thir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article presented a discussion point for legislative legislation. The conclusion of discussion emphasized the need for attention to The Digital Civic Education Act in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related to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oping with fake new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미디어교육지원법 입법에 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짜뉴스 개념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본요소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법안 입법 논의를 위하여 가짜뉴스 개념의 세 가지 변수를 논의하였으며, 미디어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둘째, 미디어교육 현황을 사회 미디어교육과 학교 미디어교육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사회 미디어교육은 현재 미디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미디어교육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학교 미디어교육은 교육과정을 통해 현행 학교 미디어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디어교육지원법 관련 입법에 관한 논의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셋째,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법안 입법을 위한 논의거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 논의의 결론으로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미디어교육 관련 법제의 방향으로 디지털 시민교육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미디어교육지원법 입법에 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짜뉴스 개념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본요소에 관하여 ...

      본 논문은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미디어교육지원법 입법에 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짜뉴스 개념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본요소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법안 입법 논의를 위하여 가짜뉴스 개념의 세 가지 변수를 논의하였으며, 미디어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둘째, 미디어교육 현황을 사회 미디어교육과 학교 미디어교육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사회 미디어교육은 현재 미디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미디어교육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학교 미디어교육은 교육과정을 통해 현행 학교 미디어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디어교육지원법 관련 입법에 관한 논의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셋째,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법안 입법을 위한 논의거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 논의의 결론으로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미디어교육 관련 법제의 방향으로 디지털 시민교육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선, "현장 교ㆍ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2 정현선,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3 황용석,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2017

      4 김기태, "청소년 미디어교육이 현황과 문제점" 5 : 2017

      5 백흥진, "지역에서의 미디어 교육과 퍼블릭 액세스 실천 사례 연구 : 제천영상미디어센터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6 정현선, "인터뷰 : 미디어교육 전문가 데이비드 버킹엄 교수"

      7 김광재, "의견진술「미디어교육지원법안」에 대한 공청회 자료집"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2015

      8 김여라, "시청자미디어센터의 운영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7

      9 황치성,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10 임재주, "미디어교육지원법안 검토보고서(신경민의원 대표발의)"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2018

      1 정현선, "현장 교ㆍ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2 정현선,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3 황용석,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2017

      4 김기태, "청소년 미디어교육이 현황과 문제점" 5 : 2017

      5 백흥진, "지역에서의 미디어 교육과 퍼블릭 액세스 실천 사례 연구 : 제천영상미디어센터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6 정현선, "인터뷰 : 미디어교육 전문가 데이비드 버킹엄 교수"

      7 김광재, "의견진술「미디어교육지원법안」에 대한 공청회 자료집"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2015

      8 김여라, "시청자미디어센터의 운영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7

      9 황치성,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10 임재주, "미디어교육지원법안 검토보고서(신경민의원 대표발의)"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2018

      11 김양은, "미디어교육의 필요성과 현황" 2017

      12 김양은, "미디어교육 교사의 인식 및 교육실태 조사" 2005

      13 황치성,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교육과학사 2018

      14 김아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스북스 2017

      15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도덕과 교육과정"

      16 한국콘텐츠진흥원, "공공기관 국민의 곁으로"

      17 디지털타임스, "고삐 풀린 ‘가짜뉴스’ 급속 전파… 콘텐츠 규제 나서나"

      18 윤성옥, "가짜뉴스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논의" (사)한국언론법학회 17 (17): 51-84, 2018

      19 김아미, "가짜뉴스와 청소년: 청소년은 뉴스를 어떻게 경험하는가"

      20 박아란, "가짜뉴스에 대한 법률적 쟁점과 대책" 2017

      21 박지원, "가짜뉴스에 관한 미국 입법례"

      22 최원석, "가짜뉴스, 기술적 대응만으로 부족 사회적 협업이 필수"

      23 미디어 오늘, "‘홍준표 막말과 가짜뉴스’를 키운 건 언론"

      24 양정애, "‘미디어교육’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25 David Buckingham, "Where Are We Going and How Can We Get There?-General findings from the UNESCO Youth Media Education Survey 2001" Institute of Education, London University, England, Centre for Language in Education 2002

      26 "Washington State Legislature"

      27 European Audiovisual Observatory, "Mapping of media literacy practices and actions in EU-28"

      28 "Center for Media Literacy"

      29 시청자미디어재단, "2017년 시청자미디어재단 기본 운영계획" 시청자미디어재단 2017

      30 신문과 방송, "2017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소셜미디어 통한 뉴스 이용의 일상화 확인"

      3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32 쿠키뉴스, "10-20대 가장 많이 쓰는 앱은 ‘유튜브’…50대는 ‘카카오톡’"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Law of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2 1.29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