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순원, "헌법상 공교육원칙에 따른 EBS 수능강의 정책의 정당성" 한국교육개발원 38 (38): 211-230, 2011
2 김기태, "한국 미디어리터러시교육 연구의 역사적 고찰" 47-51, 2010
3 김기태, "청소년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17, 2017
4 김유향,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화교육사업 실태 및 개선방안" 성지문화사 2018
5 폴 길스터, "인터넷 정보 활용을 위한 마인드 혁명 디지털리터러시" 해냄 1999
6 전윤경, "우리나라의 가짜정보 대응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 시민교육적 관점에 근거하여" 3-22, 2018
7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8 김양은, "미디어리터러시교육의 개념 및 학교미디어리터러시교육의 방향" 1-17, 2004
9 스가야 아키토, "미디어리터러시 –미국, 영국, 캐나다의 새로운 미디어 교육 현장 보고" 커뮤티케이션북스 2002
10 데이비드커팅엄, "미디어교육 –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4
1 정순원, "헌법상 공교육원칙에 따른 EBS 수능강의 정책의 정당성" 한국교육개발원 38 (38): 211-230, 2011
2 김기태, "한국 미디어리터러시교육 연구의 역사적 고찰" 47-51, 2010
3 김기태, "청소년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17, 2017
4 김유향,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화교육사업 실태 및 개선방안" 성지문화사 2018
5 폴 길스터, "인터넷 정보 활용을 위한 마인드 혁명 디지털리터러시" 해냄 1999
6 전윤경, "우리나라의 가짜정보 대응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 시민교육적 관점에 근거하여" 3-22, 2018
7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8 김양은, "미디어리터러시교육의 개념 및 학교미디어리터러시교육의 방향" 1-17, 2004
9 스가야 아키토, "미디어리터러시 –미국, 영국, 캐나다의 새로운 미디어 교육 현장 보고" 커뮤티케이션북스 2002
10 데이비드커팅엄, "미디어교육 –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4
11 김아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12 김양은,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27) : 425-448, 2005
13 김수환, "디지털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14 노영란, "기존 미디어리터러시교육지원법 평가 및 법제정 방안 모색" 38-48, 2017
15 정순원, "가짜정보에 대한 법적 대응과 교육적 대응에 대한 의견" 109-111, 2018
16 Douglas Kellner, "Critical Media Literacy is not an option" 1 : 2007
17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Core Prinicipl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18 임상수, "4차 산업혁명 시대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역량을 위한 학교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73-82, 2018
19 교육부, "(별책 10) 실과(기술ㆍ가정) 정보교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 교육부, "(별책 1) 초중등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2015-7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