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디어교육법제 현황과 입법 방향 = The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Media Education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kind, media such as letters, newspapers, broadcasting, communications, and the Internet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lso leads to the mental and physical expansion of the human being. Media literacy is not simply a means or a tool, but a culture and a social action capability, with the emphasis on the ability to create, analyze, critical thinking.
      The purpose of media education is to educate media literacy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on media.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more than ever before, due to the emergence of fake news, internet addiction, cyber bullying etc.
      However, current Media Education Acts focus mainly on information media, and various ministries and public institutions are promoted variously, so it is limited at the national level to manage them or to achieve comprehensive results. With this background, in 2018, two legislative initiatives have been proposed.
      In this paper, I review the current state of media education, analyz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media education acts and trends, and propose the directions and contents of the legislation for the maximum effect of the media education act. In other words, I mentioned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in government level for media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system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parts, and to separate into school media education and social media education. Media education act should be included that education-counseling-therapy should be linked beyond education level.
      번역하기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kind, media such as letters, newspapers, broadcasting, communications, and the Internet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lso leads to the mental and physical expansion of the human being. Med...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kind, media such as letters, newspapers, broadcasting, communications, and the Internet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lso leads to the mental and physical expansion of the human being. Media literacy is not simply a means or a tool, but a culture and a social action capability, with the emphasis on the ability to create, analyze, critical thinking.
      The purpose of media education is to educate media literacy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on media.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more than ever before, due to the emergence of fake news, internet addiction, cyber bullying etc.
      However, current Media Education Acts focus mainly on information media, and various ministries and public institutions are promoted variously, so it is limited at the national level to manage them or to achieve comprehensive results. With this background, in 2018, two legislative initiatives have been proposed.
      In this paper, I review the current state of media education, analyz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media education acts and trends, and propose the directions and contents of the legislation for the maximum effect of the media education act. In other words, I mentioned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in government level for media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system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parts, and to separate into school media education and social media education. Media education act should be included that education-counseling-therapy should be linked beyond education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류의 역사와 함께 문자, 신문, 방송, 통신, 인터넷 등 미디어는 지속적으로 발전되었다. 미디어의 발전은 또한 인간의 정신적 물질적 확장으로 이어진다. 단순히 미디어를 해득하고,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던 전통적인 미디어교육에서 창조하는 능력, 타인과의 소통하는 능력이 강조되면서 미디어교육은 단순히 특정 수단이나 도구가 아니라 하나의 문화이며, 사회적 행동 능력이다.
      그런데 최근 가짜뉴스, 인터넷중독, 사이버따돌림, 정보문화격차 등 정보화 역기능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면서 미디어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우리의 미디어교육은 3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미디어교육에 관한 법제도적 기반은 1996년 「정보화촉진기본법」,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있다. 그런데 미디어교육의 법제도적 기반인 현행 법령들은 주로 정보미디어에 초점을 두고 있고, 여러 부처와 공공기관에서 다양하게 추진되다보니 오히려 국가차원에서 이를 총괄하거나 종합적인 성과를 거두는데 한계를 가진다. 현행 법령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2018년에만 2개의 입법안도 발의된 바 있다.
      이글은 우리나라 미디어교육의 현황을 특히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미디어교육법제들의 문제점들과 시사점을 분석하여, 미디어교육법의 법적 성격, 추진체제, 내용적 측면, 공공과 민간의 협력 방안 등 향후 입법내용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즉, 무엇보다 미디어교육에 대한 현행 추진체계를 정비하고, 학교미디어교육과 사회미디어교육으로 분리하여 공공과 민간의 상호협력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미디어교육은 단순히 교육적 차원을 넘어서 교육-상담-치료 등이 연계되어야 진정한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 포함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인류의 역사와 함께 문자, 신문, 방송, 통신, 인터넷 등 미디어는 지속적으로 발전되었다. 미디어의 발전은 또한 인간의 정신적 물질적 확장으로 이어진다. 단순히 미디어를 해득하고, 분석...

      인류의 역사와 함께 문자, 신문, 방송, 통신, 인터넷 등 미디어는 지속적으로 발전되었다. 미디어의 발전은 또한 인간의 정신적 물질적 확장으로 이어진다. 단순히 미디어를 해득하고,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던 전통적인 미디어교육에서 창조하는 능력, 타인과의 소통하는 능력이 강조되면서 미디어교육은 단순히 특정 수단이나 도구가 아니라 하나의 문화이며, 사회적 행동 능력이다.
      그런데 최근 가짜뉴스, 인터넷중독, 사이버따돌림, 정보문화격차 등 정보화 역기능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면서 미디어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우리의 미디어교육은 3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미디어교육에 관한 법제도적 기반은 1996년 「정보화촉진기본법」,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있다. 그런데 미디어교육의 법제도적 기반인 현행 법령들은 주로 정보미디어에 초점을 두고 있고, 여러 부처와 공공기관에서 다양하게 추진되다보니 오히려 국가차원에서 이를 총괄하거나 종합적인 성과를 거두는데 한계를 가진다. 현행 법령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2018년에만 2개의 입법안도 발의된 바 있다.
      이글은 우리나라 미디어교육의 현황을 특히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미디어교육법제들의 문제점들과 시사점을 분석하여, 미디어교육법의 법적 성격, 추진체제, 내용적 측면, 공공과 민간의 협력 방안 등 향후 입법내용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즉, 무엇보다 미디어교육에 대한 현행 추진체계를 정비하고, 학교미디어교육과 사회미디어교육으로 분리하여 공공과 민간의 상호협력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미디어교육은 단순히 교육적 차원을 넘어서 교육-상담-치료 등이 연계되어야 진정한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 포함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순원, "헌법상 공교육원칙에 따른 EBS 수능강의 정책의 정당성" 한국교육개발원 38 (38): 211-230, 2011

      2 김기태, "한국 미디어리터러시교육 연구의 역사적 고찰" 47-51, 2010

      3 김기태, "청소년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17, 2017

      4 김유향,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화교육사업 실태 및 개선방안" 성지문화사 2018

      5 폴 길스터, "인터넷 정보 활용을 위한 마인드 혁명 디지털리터러시" 해냄 1999

      6 전윤경, "우리나라의 가짜정보 대응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 시민교육적 관점에 근거하여" 3-22, 2018

      7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8 김양은, "미디어리터러시교육의 개념 및 학교미디어리터러시교육의 방향" 1-17, 2004

      9 스가야 아키토, "미디어리터러시 –미국, 영국, 캐나다의 새로운 미디어 교육 현장 보고" 커뮤티케이션북스 2002

      10 데이비드커팅엄, "미디어교육 –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4

      1 정순원, "헌법상 공교육원칙에 따른 EBS 수능강의 정책의 정당성" 한국교육개발원 38 (38): 211-230, 2011

      2 김기태, "한국 미디어리터러시교육 연구의 역사적 고찰" 47-51, 2010

      3 김기태, "청소년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17, 2017

      4 김유향,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화교육사업 실태 및 개선방안" 성지문화사 2018

      5 폴 길스터, "인터넷 정보 활용을 위한 마인드 혁명 디지털리터러시" 해냄 1999

      6 전윤경, "우리나라의 가짜정보 대응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 시민교육적 관점에 근거하여" 3-22, 2018

      7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8 김양은, "미디어리터러시교육의 개념 및 학교미디어리터러시교육의 방향" 1-17, 2004

      9 스가야 아키토, "미디어리터러시 –미국, 영국, 캐나다의 새로운 미디어 교육 현장 보고" 커뮤티케이션북스 2002

      10 데이비드커팅엄, "미디어교육 –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4

      11 김아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12 김양은,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27) : 425-448, 2005

      13 김수환, "디지털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14 노영란, "기존 미디어리터러시교육지원법 평가 및 법제정 방안 모색" 38-48, 2017

      15 정순원, "가짜정보에 대한 법적 대응과 교육적 대응에 대한 의견" 109-111, 2018

      16 Douglas Kellner, "Critical Media Literacy is not an option" 1 : 2007

      17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Core Prinicipl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18 임상수, "4차 산업혁명 시대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역량을 위한 학교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73-82, 2018

      19 교육부, "(별책 10) 실과(기술ㆍ가정) 정보교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 교육부, "(별책 1) 초중등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2015-74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Law of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2 1.29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