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험론”, 김동훈, 학헌사, , 2012
2. “퇴직연금론”, 이봉주, 박영사, 박영사, , 2006
3. 세계의 사회보장, 신중섭, 유풍출판사,
4. “퇴직연금 용어해설서”, 성주호, 한국투자증권, , 2011
5. 인구고령화와 노후소득보장, 김원식, 방하남, 한국개발연구원, , 2005
6. “사회과학 데이터 분석법”, 오택섭, , 1998
7. 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Esping-Andersen, Gøsta,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출판부, , 2007
8. 은퇴자가구의 적정소득대체율, 안종범 ( Chong Bum An ), 전승훈(Seung-Hoon Jeon), 한국경제연구학회, 한국경제연구 15, , 2005
9. 남미의 연금개혁 : 성공과 실패, 원석조, 노인복지연구,Vol.56,,pp.325~352, , 2012
10. “정부지원 개인연금 효과분석”, 조재훈, 양성문,한국보험학회, , 2013
1. “보험론”, 김동훈, 학헌사, , 2012
2. “퇴직연금론”, 이봉주, 박영사, 박영사, , 2006
3. 세계의 사회보장, 신중섭, 유풍출판사,
4. “퇴직연금 용어해설서”, 성주호, 한국투자증권, , 2011
5. 인구고령화와 노후소득보장, 김원식, 방하남, 한국개발연구원, , 2005
6. “사회과학 데이터 분석법”, 오택섭, , 1998
7. 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Esping-Andersen, Gøsta,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출판부, , 2007
8. 은퇴자가구의 적정소득대체율, 안종범 ( Chong Bum An ), 전승훈(Seung-Hoon Jeon), 한국경제연구학회, 한국경제연구 15, , 2005
9. 남미의 연금개혁 : 성공과 실패, 원석조, 노인복지연구,Vol.56,,pp.325~352, , 2012
10. “정부지원 개인연금 효과분석”, 조재훈, 양성문,한국보험학회, , 2013
11. “퇴직연금의 재무건전성 규제”, 최현우, 하나금융경영연구소, , 2014
12. 국민연금의 적정소득대체율 분석, 원종욱, 보건복지포럼 45, , 2000
13. 대한민국 복지 7가지 거짓과 진실, 이정우, 두리미디어,
14. 고령화에 따른 장수위험 대응방안, 원종현, 국회입법조사처, , 2010
15. 패널자료로추정한소득대체율분석, 석상훈, 보건사회연구,30(2), , 2010
16. “퇴직연금 선호분석과 운용방안”, 김대환, 류건식, 보험연구원, , 2011
17. 공적연금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1
18. 스웨덴 연금제도의 이해와 쟁점 분석, 양재진, 사회과학논집 제 42집 1호, , 2011
19. “민간연금제도의 평가와 정책과제”, 문형표, 한국개발연구원, , 2010
20. “국민연금 미가입자 문제와 역선택”, 이윤호, , 2008
21. 특수직역연금의 현황과 제도개선 방향,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사적연금의 노후소득보장 기능제고 방안, 류건식, 보험연구원, , 2009
23. 한국의 복지정책 결정과정 : 역사와 자료, 양재진, 나남, , 2008
24. 목표 소득대체율을 통한 은퇴소비의 추정, 여윤경, 대한가정학회지 40, , 2002
25. “퇴직연금 적립금의 연금전환 유도방안”, 이경희, 보험연구원, , 2012
26. 개인연금 가입 결정 및 가입상태 변화 분석, 강성호, 전승훈, 임병인, 보험개발연구 제17권 제1호, , 2006
27. 인구고령화와 소비,인구고령화와 거시경제, 안종범, 한국개발연구원,
28. “노동소득 불확실성 하의 위험자산 수요”, 김시원, 한국은행,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제15권 제4호, , 2009
29. “장수리스크 측정방식에 관한 비교 연구”, 김세중, 보험연구원, 보험연구원, , 2013
30. 공.사 사회안전망의 효율적인 역할제고방안, 강성호, 이태열, 김유미, 보험연구원, 보험연구원, , 2014
31. “사적연금 취약계층을 위한 연금정책방향”, 류건식, 보험연구원, , 2014
32. “OECD 주요 국가들의 연금개혁의 효과성 연구”, 김평강, 권혁창, 국민연금연구원, , 2012
33. 의원 대표발의,“국민연금법 일부개정 법률안”, 김성주, 국회, , 2012
34. “OECD노후소득보장체계 변화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류건식, 보험연구원, , 2012
35. “공무원연금 개정안의 문제점과 개편안 비교분석”, 김성희, 백운광, 공저, , 2014
36. 3인,“국민연금 재정추계를 위한 거시경제변수 전망”, 신석하, 한국개발연구원, , 2012
37. “노인가구의 자산(소득)및 지출현황 분석방안 검토”, 최필근, 통계개발원,연구기획실, , 2008
38. “한국에서 정당경쟁의 변화와 복지개혁의 두 가지길”, 임유진, 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문), , 2012
39. 적정 노후소득수준에 대응한 공․사적 연금소득원 추정, 강성호, 응용경제 제 14권제 2호, , 2012
40. 유신체제하 복지연금제도의 형성과 시행유보에 관한 재고찰, 양재진, , 2007
41. “미국의 년 연금보호법(ThePensionProtectionActof2006)에 대한소개“, 박찬호, 한국법제연구원,2006, , 2006
42. “경영통계분석”,국민연금관리공단,“2011년 10월 국민연금기금 운용현황(잠정)”, 곽기영, 2011.11, , 2012
43. “알기 쉬운 재무관리”,학현사김상호,“독일 국민연금제도의 개혁과 시사점:연금산식을 중심으로”, 김동훈, 홍순구, 박경욱, 한국사회보장학회,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