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으로 북한의 토양학 교재와 토양비료 분야 연구논문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북한이 토양교재는 토양학 외에 다른 관련분야와 연관을 맺어 토양개량 및 보호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48098
2008
Korean
학술저널
45-5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상으로 북한의 토양학 교재와 토양비료 분야 연구논문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북한이 토양교재는 토양학 외에 다른 관련분야와 연관을 맺어 토양개량 및 보호학,...
이상으로 북한의 토양학 교재와 토양비료 분야 연구논문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북한이 토양교재는 토양학 외에 다른 관련분야와 연관을 맺어 토양개량 및 보호학, 토양생물지리(사범대학용), 토양 지리학 등의 교재명칭을 가진 것들이 발간되어왔다. 토양비료 사전은 1985년, 토양사전은 1994년에 출판되어 남한보다 빨랐다.
○ 연구내용의 변화에 있어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토양조사 및 토양생성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토양도는 일반토양도, 농업토양도 및 토양표식도의 세 가지가 발간되어 활용되었다.
○1980년대에는 기초연구를 강화하여 주로 논토양에 대한 토양화학적 연구에 비중을 두었으나 1990년대부터 시비개선연구로 전환하여 밭에서는 강냉이에 대한 시비연구가 중점을 이루었고 논토양에서는 시비진단 방법 연구가 진행되었다.
○ 남북한 학술용어의 이질화가 깊어지고 있으며 북한에는 어색한 용어도 있으나 남한에서는 옛 부터 농가에 전래되어 온 토착용어의 발굴 노력이 부족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