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문 반주 기술은 민요에 장단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결국 반주 기술 자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만 민요에 적절한 장단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7414
-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요약문 반주 기술은 민요에 장단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결국 반주 기술 자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만 민요에 적절한 장단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
연구요약문
반주 기술은 민요에 장단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결국 반주 기술 자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만 민요에 적절한 장단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주 기술이란 무엇인가? 그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반주 기술이 민요 창자와 장구 반주자를 어떻게 연결시켜 주는가? 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이를 초등 음악 교과 민요 제재 곡에 반주 기술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상해 보고,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민요 반주를 할 때 반주자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실제 반주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어떤 것이 있으며 어디에 어떻게 활용되는가 하는 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반주기술이 초등학교 음악교과과정에서는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제7차 교육과정 음악교과에 제시된 민요 제재 곡을 중심으로 그 반주 실태를 분석하였다. 셋째, 민요 제재 곡에 따른 반주기술의 단계적 지도 방안은 장단 익히기 과정, 제재곡 파악하기 과정, 연주하기 과정으로 나누어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 지도 단계를 나누어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Korean traditional accompaniment technology is about the methods of applying rhythm to Korean traditional songs. To apply rhythm to the traditional songs properly the study of the accompaniment technology itself is necessary. In this stu...
Abstract
The Korean traditional accompaniment technology is about the methods of applying rhythm to Korean traditional songs.
To apply rhythm to the traditional songs properly the study of the accompaniment technology itself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ree fundamental questions of the accompaniment technology such as (1) what is the accompaniment technology; (2) what kinds of techniques are there in the accompaniment technology; (3) how the accompaniment relates the singer and the Janggu accompanist have been pursued. Then, an education program has been proposed based upon this fundamentals of the accompaniment technology for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to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 And an approach to apply this technology to the re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has been explored.
The main stream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detailed analysis of what are the tasks for the player when he or she practices the accompaniment; what are the techniques used in real situations; how and where these techniques are applied. Secondly, an analysis of the practices of the accompaniment for Korean traditional songs with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a to see how these accompaniment techniques are taught in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Lastly, a proposal of 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