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속가능 HCI 측면에서 한국 HCI 학회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를 분석한다. 지속가능발전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필요를 모두 충족하는 개발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United Nat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속가능 HCI 측면에서 한국 HCI 학회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를 분석한다. 지속가능발전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필요를 모두 충족하는 개발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United Nati...
본 연구는 지속가능 HCI 측면에서 한국 HCI 학회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를 분석한다. 지속가능발전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필요를 모두 충족하는 개발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United Nations (UN) 은 지속가능발전 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만들어 우리가 지속가능발전에 구체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17 개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기계학습 분류기를 만들어 한국 HCI 학술대회 논문의 지속가능발전 기여 정도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한국 HCI 학회가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에 고르게 기여하고 있는지,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한국 HCI 학회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그 결과, 한국 HCI 학회는 그동안 지속가능발전에 기여를 하고 있었지만, UN SDGs 측면에서 고르지 못한 기여를 하고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동작인식 기반 전통 사자탈 아바타 매핑 및 애니메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컴퓨터비전 AI 모델을 활용한 감정반응형 명상공간 메타버스 개발
Illumination Augmentation for Single-source Domain Generalization in Polyp Image Seg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