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문명 연구의 일환으로 독일 인문학 전통에 대한 고찰을 마무리짓는 본 연구에서 먼저 쉴러의 미철학적 논문인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과 쉴러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84326
-
-
Korean
해석학 ; Hermeneutik ; 인문주의 ; Humanismus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문명 연구의 일환으로 독일 인문학 전통에 대한 고찰을 마무리짓는 본 연구에서 먼저 쉴러의 미철학적 논문인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과 쉴러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은 ...
20세기 문명 연구의 일환으로 독일 인문학 전통에 대한 고찰을 마무리짓는 본 연구에서 먼저 쉴러의 미철학적 논문인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과 쉴러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은 횔덜린의 역사철학이 해석학적 맥락에서, 즉 ‘작용사’와 ‘대화’라는 원칙과 응용범주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다음, 근대 해석학의 태두라 할 수 있는 술라이어마허의 언어해석학을 집중 조명하고, 또한 그것이 현대 철학에 미친 영향을 개관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독일 인문학 전통의 두 측면, 즉 철학과 (역사적 삶의) 경험을 어떻게 연관짓는가 하는 과제를 떠맡게 된 딜타이의 ‘삶의 해석학’을 조명하며 아울러 ‘인식의 담론’이 점차 ‘문화의 담론’으로 이행되어 감을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되돌아보면, 20세기 문명 연구의 일환으로 추진된 독일 인문학 전통에 대한 본 탐구는 철학, 문학, 역사를 아우르는 해석학적 맥락에서 그 의미심장한 추진 방향을 찾고 있다.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인문학 전통"은 3개의 논문으로 이루어진 공동연구과제임. 1. 독일인문학 전통에서의 쉴러의 미철학과 횔더린의 역사철학 : 해석학적 접근 - 염승섭 2. 슐라이어마허의 언어해석...
"독일 인문학 전통"은 3개의 논문으로 이루어진 공동연구과제임.
1. 독일인문학 전통에서의 쉴러의 미철학과 횔더린의 역사철학 : 해석학적 접근 - 염승섭
2. 슐라이어마허의 언어해석학 - 김용일
3. 인식의 담론에서 문화의 담론으로: 딜타이의 인문과학 - 변학수
결과등록시초록은 연구책임자인 염승섭의 논문 초록으로 대표함.
부초록 역시 연구책임자인 염승섭의 저자협조초록으로 대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