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연구에서 가장 큰 문제는 사료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고조선사 연구의 깊이를 더하고자 당나라 이전의 중국의 옛 문헌, 국내 문헌, 고조선 관련 출토 문자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2304
-
2018년
Korean
고조선 ; 사료 ; Old Chosun ; Tangun ; Kija ; Wiman ; Pre-Sin and Han Period ; Wei-Qin and Southern-Northern Dynasty Period ; Sui and Dang Period ; Koryo Period ; Chosun Period ; Open-port Period ; Japanese Colony Period ; Excavated textual sources ; 집성 ; 해제 ; 당 이전의 중국 고문헌 ; 선진 문헌 ; 중국 정사 ; 고조선 관련 출토 문자 자료 ; 고조선 관련 국내 문헌 ; 고려 시대 문헌 ; 조선 시대 문헌 ; 근대 자료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조선 연구에서 가장 큰 문제는 사료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고조선사 연구의 깊이를 더하고자 당나라 이전의 중국의 옛 문헌, 국내 문헌, 고조선 관련 출토 문자 자...
고조선 연구에서 가장 큰 문제는 사료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고조선사 연구의 깊이를 더하고자 당나라 이전의 중국의 옛 문헌, 국내 문헌, 고조선 관련 출토 문자 자료 등을 집성하고 해제를 하였다. 당나라 이전의 중국 옛 문헌은 진(秦)나라 이전의 선진 문헌, 중국 정사(正史), 기타 중국 고문헌으로 구분하였으며, 국내 문헌은 고려, 조선, 근대 문헌으로 구분하였다. 출토 문자 자료는 전한 이전 시기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조선 관련 자료를 담고 있는 문헌에 대해서도 간단한 해제를 덧붙였다.
진나라 이전의 선진 문헌으로는 시경, 상서, 주역, 일주서, 주례, 춘추전, 관자, 안자춘추, 논어, 묵자, 맹자, 순자, 죽서기년, 여씨춘추, 한비자, 산해경, 전국책 등을 집성․해제하였다. 중국 정사(正史)로는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진서(晉書), 양서, 진서(陳書), 위서 주서, 남사, 북사, 수서 등을 다루었다. 고조선 관련 기록이 없는 송서, 남제서, 북제서는 제외하였다. 기타 중국 고문헌으로는 상서대전, 회남자, 염철론, 대대례기, 설원, 역림, 법언, 방언, 논형, 설문해자, 풍속통의, 잠부론, 전한기, 고금주, 박물지, 수경주, 북당서초, 예문유취, 한원, 초학기, 당개원점경, 장단경, 안노공집, 통전, 원화성찬, 소씨연의 등을 다루었다.
고조선 관련 출토 문자 자료는 기원전 3세기〜기원후 1세기에 해당하는 문자 자료를 집성 및 해제 대상으로 하였다. 다만 몇 되지 않는 해당 자료의 최초 출토 상황에 대한 보고서의 서술 내용이 거의 없어, 출토 정황에 대한 파악이 여의치 않았다. 기존에 학계에 소개되었던 진 25년명 동과, 점선현 신사비, 낙랑군 초원 4년 현별 호구부 등과 함께 5년 계씨명 동모, ‘황조용(皇朝用)’명 세형동검 등에 대해 가능한 한 최대한의 해제와 설명에 집중하였다.
고려 시대 문헌은 사서, 문집, 묘지명에 있는 자료를 집성․해제하였다. 사서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제왕운기 등을 다루었다. 문집으로는 동국이상국집, 동안거사집, 익재집, 졸고천백, 가정집, 홍애유고, 담암일집, 목은고, 도은집, 운곡행록, 원재문고, 척약재학음집, 포은집, 복재집, 쌍매당협장집, 송당집, 호정집, 양촌집, 용헌집 등을 다루었다. 비명(碑銘)으로는 채인범 묘지명,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권적 묘지명, 임익돈 묘지명, 조연수 묘지명 등을 다루었다.
조선 시대 문헌은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의 문헌을 검토하여 집성․해제하였다. 15~16세기경에 편찬된 자료로는 동국세년가, 응제시주, 삼국사절요, 동국통감, 박상의 동국사략, 신증동국여지승람, 표제음주동국사략,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Old-Joseon research is the lack of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Old-Joseon.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deepen the study of Old-Joseon history, we compiled and annotated t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Old-Joseon i...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Old-Joseon research is the lack of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Old-Joseon.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deepen the study of Old-Joseon history, we compiled and annotated t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Old-Joseon in ancient chinese literatures written before the Tang period, domestic literatures, excavated character materials, etc. We divided and then worked ancient chinese literatures written before the Tang period into literatures of Pre-Qin period, chinese official history books, other ancient chinese literatures, and domestic literatures related to Old-Joseon into literatures of the Koryo period, literatures of the Joseon period, modern data and then worked. We used the excavated character materials related to Old-Joseon for pre-Former Han period. We also added a brief annotation on the literatures with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Old-Joseon. Songshu, Nanqishu, and Beiqishu without records related to Old-Joseon were excluded. We compiled and annotated Shijing, Shangshu, Zhouyi, Yizhoushu, Zhouli, Chunqiuchuan, Guanzi, Yanzichunqiu, Lunyu, Mozi, Mengzi, Xunzi, Zhushujinian, Lu shichunqiu, Hanfeizi, Shanhaijing, Zhanguoce among the literatures of Pre-Qin period. We dealt with Shiji, Hanshu, Houhanshu, Sanguozhi, Jinshu, Liangshu, Chens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