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복숭아 유과 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8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씨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tyrosinase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과 총 항산화력 과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씨의 추출수율을 관찰한 결과, 몽부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20~6.16%의 수율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33~27.08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천중도의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용택골드, 천중도백도에서 높은 tyrosinase 저해능을 보였으나, e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마도카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elastase 저해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항산화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 또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복숭아 유과 씨는 항노화, 미백, 주름방지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씨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tyrosinase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과 총 항산화력 과의 상관관계를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씨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tyrosinase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과 총 항산화력 과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씨의 추출수율을 관찰한 결과, 몽부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20~6.16%의 수율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33~27.08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천중도의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용택골드, 천중도백도에서 높은 tyrosinase 저해능을 보였으나, e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마도카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elastase 저해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항산화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 또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복숭아 유과 씨는 항노화, 미백, 주름방지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unripe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seeds, which were picked on late May, were subjected to 80% methanol extract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whitening effects, and anti-wrinkle activities. The yield of 6 cultivars (Takinosawa Gold, Kawanakawase Hakuto, Madoka, Yumefuji, Nagasawa Hakuho, and Hong Bak) from unripe peaches were the highest on Yumefuji, followed by Madoka, Kawanakawase Hakuto, Takinosawa Gold, Hong Bak, and Nagasawa Hakuho (6.16%, 6.08%, 5.65%, 5.25%, 5.23%, and 5.20%). The content of the total polyphenol of seed extracts ranged from 18.33 to 27.08 mg/g. The antioxidant in vitro assays including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with Hong Bak and Kawanakawase Hakuto.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greatly affected the Takinosawa Gold and Kawanakawase Hakuto. Compared to the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6 cultivars, Madoka was higher than others, while the lowest was Hong Bak. The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were determined (more than p=0.05) between the yield,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ies, tyrosinase inhibition,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has a high positive value on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lso,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r=+0.594). The ABTS inhibition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that is the most suitable character represen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846). This data suggested that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se unripe peaches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atural cosmetics.
      번역하기

      Various unripe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seeds, which were picked on late May, were subjected to 80% methanol extract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whitening effects, and anti-wrinkle activities. The yield of 6 cultivars (Takinosa...

      Various unripe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seeds, which were picked on late May, were subjected to 80% methanol extract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whitening effects, and anti-wrinkle activities. The yield of 6 cultivars (Takinosawa Gold, Kawanakawase Hakuto, Madoka, Yumefuji, Nagasawa Hakuho, and Hong Bak) from unripe peaches were the highest on Yumefuji, followed by Madoka, Kawanakawase Hakuto, Takinosawa Gold, Hong Bak, and Nagasawa Hakuho (6.16%, 6.08%, 5.65%, 5.25%, 5.23%, and 5.20%). The content of the total polyphenol of seed extracts ranged from 18.33 to 27.08 mg/g. The antioxidant in vitro assays including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with Hong Bak and Kawanakawase Hakuto.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greatly affected the Takinosawa Gold and Kawanakawase Hakuto. Compared to the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6 cultivars, Madoka was higher than others, while the lowest was Hong Bak. The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were determined (more than p=0.05) between the yield,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ies, tyrosinase inhibition,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has a high positive value on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lso,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r=+0.594). The ABTS inhibition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that is the most suitable character represen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846). This data suggested that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se unripe peaches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atural cosme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신정, "흑삼을 함유한 한방소재 화장품의 주름개선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3325-3329, 2010

      2 하배진, "한방 원료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통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치 평가" 한국생명과학회 17 (17): 1147-1151, 2007

      3 하배진, "한방 원료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통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치 평가" 한국생명과학회 17 (17): 1147-1151, 2007

      4 하유미,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법제유황수의 항균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 (19): 94-100, 2009

      5 김수화, "피부의 노화와 주름 억제, 미백효과를 가지는 전통 한약재의 탐색" 대한동의병리학회 22 (22): 691-698, 2008

      6 이현순, "피부 주름개선 소재개발을 위한 식용작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86-192, 2010

      7 김진명, "피부 노화 및 피부 주름 관리에 대한 고찰" 대한동의병리학회 24 (24): 533-542, 2010

      8 황인욱, "포도씨의 proanthocyanidi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859-863, 2008

      9 한지영, "포도씨 추출물과 분획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679-1683, 2008

      10 조영호, "파래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한국생약학회 39 (39): 174-178, 2008

      1 강신정, "흑삼을 함유한 한방소재 화장품의 주름개선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3325-3329, 2010

      2 하배진, "한방 원료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통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치 평가" 한국생명과학회 17 (17): 1147-1151, 2007

      3 하배진, "한방 원료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통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치 평가" 한국생명과학회 17 (17): 1147-1151, 2007

      4 하유미,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법제유황수의 항균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 (19): 94-100, 2009

      5 김수화, "피부의 노화와 주름 억제, 미백효과를 가지는 전통 한약재의 탐색" 대한동의병리학회 22 (22): 691-698, 2008

      6 이현순, "피부 주름개선 소재개발을 위한 식용작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86-192, 2010

      7 김진명, "피부 노화 및 피부 주름 관리에 대한 고찰" 대한동의병리학회 24 (24): 533-542, 2010

      8 황인욱, "포도씨의 proanthocyanidi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859-863, 2008

      9 한지영, "포도씨 추출물과 분획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679-1683, 2008

      10 조영호, "파래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한국생약학회 39 (39): 174-178, 2008

      11 양은순, "제니스테인에 의한 노화된 피부세포 활성화와 콜라겐 생성 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5 (35): 316-324, 2007

      12 김유근, "재조합 대장균 유래 베타카로틴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 제조 및 이의 임상실험을 통한 주름개선 효능 평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7 (37): 399-404, 2009

      13 지은정, "유자피를 이용한 단일 침출차의 항산화성 및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460-465, 2008

      14 조지은, "우렁쉥이와 붉은멍게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481-1486, 2010

      15 이양숙, "완숙된 탱자(Poncirus trifoliata Ripe Fruit)의 부위별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98-705, 2010

      16 이양숙, "완숙된 탱자(Poncirus trifoliata Ripe Fruit)의 부위별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98-705, 2010

      17 박진미, "오배자의 항 주름 효과 및 미백 효과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3 (23): 135-148, 2010

      18 차배천, "야생복숭아 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289-294, 2004

      19 김영언, "송이(Tricholoma matsutake Sing.)의 ABTS Radical 소거능과 암세포 생장 억제효능의 검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55-560, 2009

      20 유미희, "생대추(풋대추) 과육 및 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과학회 38 (38): 128-134, 2006

      21 함승시, "살구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220-225, 2007

      22 심기환,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97-101, 2002

      23 이주백, "미숙 복숭아의 성분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79-83, 2008

      24 김다미, "감마선 조사가 미역귀 조다당의 추출수율 및 미백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12-716, 2011

      25 정석문, "감귤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580-1583, 2004

      26 정재훈, "數種의 한약재의 Tyrosinase와 Elastase 활성 억제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2 (22): 82-91, 2009

      27 Yokota T, "The inhibitory effect of glabridin from licorice extracts on melanogenesis and inflammation" 11 : 355-361, 1998

      28 Shin JY,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14 : 568-572, 2001

      29 Yang B, "Optimization of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ultrasonic-extracted polysaccharides from longan fruit pericarp" 110 : 294-300, 2008

      30 Folin O,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12 : 239-243, 1912

      31 Lee KT, "Inhibitory effects of Ramulus mori extracts on melanogenesis" 54 : 133-142, 2003

      32 Flurkey WH, "Identification of tyrosinase in mushrooms by isoelectric focusing" 55 : 93-95, 1991

      33 Wang MF,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46 : 4869-4873, 1998

      34 Pyo YH,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swiss chard (Beta vulgris subspecies cycla) extracts" 85 : 19-26, 2004

      35 Hearing VJ, "Analysis of mammalian pigmentation at the molecular level" 2 : 75-85,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