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조선족 시의 문화적 위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09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조선족 시는 선택과 배제, 그리고 혼성성의 과정을 거쳐 오면서 특정 문화로서의 지 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국인으로서의 국적 취득, 반우파투쟁기, 문화혁명기, 개혁개방기 등 60...

      중국 조선족 시는 선택과 배제, 그리고 혼성성의 과정을 거쳐 오면서 특정 문화로서의 지 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국인으로서의 국적 취득, 반우파투쟁기, 문화혁명기, 개혁개방기 등 60여년의 질곡을 거치면서도 문화적 유산을 잃어버리지 않은 중국 조선족 시인들의 노고 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중국 조선족 시의 전개 과정은 말하자면 선택적 문화 전통의 계 승과 창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조선족 시의 특징은 문화적인 관점에서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중국 조선족의 시가 한글로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 한글 문학의 생산과 독자 수용의 연결 관계가 출판, 배급, 비판 활동 등의 문학 제도에 의해 견지되 고 있어 중국 조선족 문학계의 한글 문화가 견고한 생명성을 발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중 국 조선족의 시가 보여주는 문화는, 토착된 환경 속에서 한글 문화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특수성을 보여준다. 문학을 통해 중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중국 조선족의 한글 문화는 전 세계 를 염두에 두고 볼 때 거대한 문화 집단이 갖고 있는 문화적 공동체의 힘을 보여준다. 이때 우리는 근원적인 공유에서 출발한 문화의 연관성에 집착하기보다는 현재적 관점에서 다원적 으로 분포된 한글 문화끼리의 공시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Chinese poetry, after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exclusion and mix, has now become a specific culture. This was possible only by the effort of Korean Chinese poets who hadn't given up their cultural legacy, despite the 60 years of suffering i...

      Korean Chinese poetry, after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exclusion and mix, has now become a specific culture. This was possible only by the effort of Korean Chinese poets who hadn't given up their cultural legacy, despite the 60 years of suffering in becoming Chinese, anti-right wing struggles,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periods of opening to other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nese poetry can be described as a process of keeping the selective cultural tradition and creativity. Korean Chinese poetry can be characterized by 3 aspects. First aspect is that Korean Chinese poems are written in Hangeul. Second, Hangeul culture in Korean Chinese literary world has a firm ground and vitality, being supported by publishing, distribution and critique which connect the producers with the readers of Hangeul literature. In addition, the culture presented in Korean Chinese poetry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Hangeul culture within a settled environment. In a broader perspective of the world, Hangeul culture among Korean Chinese people developed in China through literature indicates the power of a cultural community within a large cultural group. Therefore, we should focus more on general association among different types of Hangeul cultures in a contemporary aspect, instead of cultural association based on a shared grou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문화로서의 중국 조선족 시
      • 2. 선택적 계승을 통한 독자적 한글 문화의 창조
      • 1) 중국 조선족 시의 기원과 한글 문화의 계승
      • 2) 지속적 계승을 위한 선택과 배제의 과정
      • 국문요약
      • 1. 문화로서의 중국 조선족 시
      • 2. 선택적 계승을 통한 독자적 한글 문화의 창조
      • 1) 중국 조선족 시의 기원과 한글 문화의 계승
      • 2) 지속적 계승을 위한 선택과 배제의 과정
      • 3) 독자적 한글 문화의 발전
      • 3. 중국 조선족 시의 특징과 문화적 위상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의섭, "해방기 재중 조선인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 한중인문학회 (19) : 167-190, 2006

      2 張錫興, "해방 후 귀환문제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9-26, 2003

      3 김순기, "해란강" 연변교욱출판사 1954

      4 천청송, "태풍" 연길한글연구회 1947

      5 임수경, "탈영토화적 관점에서 본 "세계한민족문학" 형성 가능성 고찰 - 조선족 시문학 연구사 검토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29) : 149-173, 2009

      6 윤의섭, "탈식민주의적 관점에 의한 중국 조선족 시의 전개 양상 연구 ―문화혁명기와 개혁개방기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30) : 53-88, 2007

      7 Williams, R, "키워드" 민음사 2010

      8 김덕천, "창작선집" 연변교육출판사 1956

      9 박윤우,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 조선족 시에 나타난 사회주의 리얼리즘 창작방법의 인식" 한중인문학회 (31) : 23-46, 2010

      10 조성일, "중국조선족문학통사" 연변인민출판사 1990

      1 윤의섭, "해방기 재중 조선인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 한중인문학회 (19) : 167-190, 2006

      2 張錫興, "해방 후 귀환문제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9-26, 2003

      3 김순기, "해란강" 연변교욱출판사 1954

      4 천청송, "태풍" 연길한글연구회 1947

      5 임수경, "탈영토화적 관점에서 본 "세계한민족문학" 형성 가능성 고찰 - 조선족 시문학 연구사 검토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29) : 149-173, 2009

      6 윤의섭, "탈식민주의적 관점에 의한 중국 조선족 시의 전개 양상 연구 ―문화혁명기와 개혁개방기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30) : 53-88, 2007

      7 Williams, R, "키워드" 민음사 2010

      8 김덕천, "창작선집" 연변교육출판사 1956

      9 박윤우,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 조선족 시에 나타난 사회주의 리얼리즘 창작방법의 인식" 한중인문학회 (31) : 23-46, 2010

      10 조성일, "중국조선족문학통사" 연변인민출판사 1990

      11 임범송, "중국조선족문학"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9

      12 김월성, "중국조선족 시문학 상황" 시와시학사 186-194, 1993

      13 김태국, "중국 조선족 역사 上限線 문제" 전주대학교역사문화연구소 6 : 193-203, 1998

      14 윤영천, "중국 조선족 시문학의 형성과 전개 - 1940년대〜960년대 전반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17 : 198-240, 2000

      15 정덕준, "중국 조선족 시문학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0) : 13-368, 2003

      16 윤의섭, "중국 조선족 시 형성 과정의 탈식민주의적 의미" 한중인문학회 (18) : 2006

      17 송현호, "중국 조선족 문학의 탈식민주의 연구Ⅰ" 국학자료원 2008

      18 이상갑, "재외한인작가연구" 고려대한국학연구소 2001

      19 윤의섭, "재외 이주민 정체성의 불확정성과 이중성의 의미 -재일동포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27 (27): 253-277, 2009

      20 김응준, "장백에 울리는 노래" 연변인민출판사 1972

      21 남영전, "장백산" 장백산잡지사 2005

      22 김응준, "별찌"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8

      23 강호혁, "변강의 아침" 연변인민출판사 1964

      24 김파, "변강의 무지개" 연변인민출판사 1979

      25 남영전, "백학" 민족출판사 1992

      26 이영철, "문화와 가치" 책세상 2006

      27 金春善, "광복후 중국 동북지역 한인들의 정착과 국내귀환" 한국근현대사학회 (28) : 181-218, 2004

      28 박화, "격전의 노래" 연변인민출판사 1975

      29 Williams, R, "The Long Revolution" Penguin 19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1 0.80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