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 환기성능 평가에서 기존 사용된 환기 지표 (ACH: Air Change per Hour)는 유체가 거동하는 구조물 내 유량의 흡·배기량과 전체 볼륨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구조물 내 유체 유동 중 국부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83588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3-8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구조물 환기성능 평가에서 기존 사용된 환기 지표 (ACH: Air Change per Hour)는 유체가 거동하는 구조물 내 유량의 흡·배기량과 전체 볼륨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구조물 내 유체 유동 중 국부적으...
구조물 환기성능 평가에서 기존 사용된 환기 지표 (ACH: Air Change per Hour)는 유체가 거동하는 구조물 내 유량의 흡·배기량과 전체 볼륨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구조물 내 유체 유동 중 국부적으로 정체된 흐름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에서 국부적으로 정체된 흐름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역류량을 이용하여 새로운 지표 (κ: 역류량 지수)를 제안 하고, 구조형상 변수에 의해 국부적으로 정체된 유체 흐름을 평가한다. 유체 흐름 영향인자로 구조형상 변수는 공극비 (ρ), 공극 개수 (N)로 선정한다. 전산 유체 역학 (CFD)에 의한 해석 결과, 구조형상 변수에 의한 자연 환기 성능은 유사하지만, 공극의 유무에 의한 국부 정체 기류의 크기에는 차이가 발생함이 나타난다. 또한, 역류량 지수는 구조형상 변수 각각 감소함에 따라 값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공극비과 공극 개수 변수에 의한 역류량과 역류량 지수의 근사값이 제시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traditional ventilation index (ACH: Air Change per Hour) is determined by the total volume and supply/exhaust flow rate. However, this index is not suitable to evaluate the local stagnant air flow. In this paper, a new index (κ: Reverse-flow rate i...
A traditional ventilation index (ACH: Air Change per Hour) is determined by the total volume and supply/exhaust flow rate. However, this index is not suitable to evaluate the local stagnant air flow. In this paper, a new index (κ: Reverse-flow rate index) is proposed by using a reverse-flow rate in order to indicate the local stagnant air flow quantitatively. In addition, the amount of local stagnant air flow is evaluated by the change of structural shape variables. The structural shape variables which induced an influence on the fluid flow are considered by the porosity (ρ) and the number of gaps (N ). As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the performance of natural ventilation by the structural shape variables is similar, but there is a disparity for size of a local stagnant air flow by presence or absence of gaps. In addition, it is showed that the reverse-flow rate index has a tendency to increase the value with decreasing the value of porosity and the number of gaps each. Based on these performances, the approximated values of reverse-flow rate and the reverse-flow rate index are presented by a function of the porosity and the number of gaps through the regression of surface fitt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수, "밀폐 선실 공간의 공기질에 미치는 환기 영향 전산해석" 한국풍공학회 9 (9): 97-102, 2005
2 손현아, "다종물질이송 전산해석기법을 이용한 양돈사 환기 분석" 한국풍공학회 23 (23): 181-187, 2019
3 Sandberg, M., "What is ventilation efficiency?" 16 (16): 123-135, 1981
4 Favarolo, P., "Temperature-driven single-sided ventilation through a large rectangular opening" 40 (40): 689-699, 2005
5 Jiang, Y., "Study of natural ventilation in buildings by large eddy simulation" 89 (89): 1155-1178, 2001
6 Ministry of Land, "Regulation about standard of equipment of structure" 2020
7 Han, H., "On the definition of ventilation effectiveness" 28 : 38-47, 1999
8 ANSI, "Measuring Air-Change Effectiveness" ANSI/ASHRAE 2002
9 Ministry of Land, "Guidelines fo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Road Tunnel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2020
10 Bartak, M.,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local mean age of air" 773-779, 2001
1 이승수, "밀폐 선실 공간의 공기질에 미치는 환기 영향 전산해석" 한국풍공학회 9 (9): 97-102, 2005
2 손현아, "다종물질이송 전산해석기법을 이용한 양돈사 환기 분석" 한국풍공학회 23 (23): 181-187, 2019
3 Sandberg, M., "What is ventilation efficiency?" 16 (16): 123-135, 1981
4 Favarolo, P., "Temperature-driven single-sided ventilation through a large rectangular opening" 40 (40): 689-699, 2005
5 Jiang, Y., "Study of natural ventilation in buildings by large eddy simulation" 89 (89): 1155-1178, 2001
6 Ministry of Land, "Regulation about standard of equipment of structure" 2020
7 Han, H., "On the definition of ventilation effectiveness" 28 : 38-47, 1999
8 ANSI, "Measuring Air-Change Effectiveness" ANSI/ASHRAE 2002
9 Ministry of Land, "Guidelines fo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Road Tunnel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2020
10 Bartak, M.,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local mean age of air" 773-779, 2001
11 Allocca, C., "Design analysis of singlesided natural ventilation" 35 (35): 785-795, 2003
12 Song, D. S., "A Proposal of Indoor Air-conditioning system with Natural Ventilation" 7 (7): 109-116, 2003
13 Kim, Y. D., "A Experimental Study on Natural Ventila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of Apartment Buildings" 4 (4): 165-173, 2000
육상풍력 입지지도 II: 고려대상 지역 지도화 및 민감도 분석
육상풍력 입지지도 I: 풍력자원 분류지도 개발 및 자원의 적합성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 | 0.7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