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육상풍력 입지지도 II: 고려대상 지역 지도화 및 민감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3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육상풍력의 보급이 지연되는 가장 큰 원인인 입지애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상풍력 사업성 사전 검토 단계에서 입지적 합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육상풍력 입지지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풍력 입지지도 고도화의 일환으로 산업부, 환경부, 산 림청의 부처간 협의에 따라 풍력자원, 생태·환경 입지요인 24종, 산림 입지요인 21종을 통합하여 육상풍력 입지 적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고려대상 지역 지도를 개발하였다. 고려대상 지역 지도를 분석한 결과 환경·산림 입지 적합성이 모두 상(high)이고 경제성이 확보되는 지역은 조사대상 면적의 4%인 4,032km2로 산정되었으며, 고려대상 지역의 민감도 분석에 의하면 생태·자연도 1등급 및 2등급과 겨울철 조류동시센서스 조사지역의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육상풍력 입지의 사전 검토를 위한 고려대상 지역 지도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육상풍력의 보급이 지연되는 가장 큰 원인인 입지애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상풍력 사업성 사전 검토 단계에서 입지적 합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육상풍력 입지지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

      육상풍력의 보급이 지연되는 가장 큰 원인인 입지애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상풍력 사업성 사전 검토 단계에서 입지적 합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육상풍력 입지지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풍력 입지지도 고도화의 일환으로 산업부, 환경부, 산 림청의 부처간 협의에 따라 풍력자원, 생태·환경 입지요인 24종, 산림 입지요인 21종을 통합하여 육상풍력 입지 적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고려대상 지역 지도를 개발하였다. 고려대상 지역 지도를 분석한 결과 환경·산림 입지 적합성이 모두 상(high)이고 경제성이 확보되는 지역은 조사대상 면적의 4%인 4,032km2로 산정되었으며, 고려대상 지역의 민감도 분석에 의하면 생태·자연도 1등급 및 2등급과 겨울철 조류동시센서스 조사지역의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육상풍력 입지의 사전 검토를 위한 고려대상 지역 지도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ite compatibility, which is the biggest obstacle that delays the dissemination of onshore wind energy, the onshore wind energy siting atlas was developed. This study describes mapping and sensibility analysis of candidate sites based on the site suitability classification of wind resource, 24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21 forestry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ltation betwee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 Forest Service.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 where the suitability of the environmental and forestry is high and economic feasibility is secured is 4,032km2, which is 4% of the surveyed are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first and second classes of ecological zoning map and the wintering-bird simultaneous census survey area have the highest sensitivity. This confirmed the usefulness of the onshore wind energy siting map as key data to review location suitability of onshore wind.
      번역하기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ite compatibility, which is the biggest obstacle that delays the dissemination of onshore wind energy, the onshore wind energy siting atlas was developed. This study describes mapping and sensibility analysis of candi...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ite compatibility, which is the biggest obstacle that delays the dissemination of onshore wind energy, the onshore wind energy siting atlas was developed. This study describes mapping and sensibility analysis of candidate sites based on the site suitability classification of wind resource, 24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21 forestry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ltation betwee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 Forest Service.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 where the suitability of the environmental and forestry is high and economic feasibility is secured is 4,032km2, which is 4% of the surveyed are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first and second classes of ecological zoning map and the wintering-bird simultaneous census survey area have the highest sensitivity. This confirmed the usefulness of the onshore wind energy siting map as key data to review location suitability of onshore wi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 약
      • I. 서 론
      • II. 연구방법 및 자료
      • 2.1 입지분류 체계
      • Abstract
      • 요 약
      • I. 서 론
      • II. 연구방법 및 자료
      • 2.1 입지분류 체계
      • 2.2 풍력자원 분류
      • 2.3 생태·환경 입지분류
      • 2.4 산림 입지분류
      • 2.5 고려대상 지역 지도
      • III. 연구결과 및 토의
      • 3.1 풍력자원 분류
      • 3.2 생태·환경 입지분류
      • 3.3 산림 입지분류
      • 3.4 고려대상 지역 지도화
      • 3.5 고려대상 지역 민감도 분석
      • IV. 결 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환경친화적 풍력단지 평가체계 구축을 통한 입지선정 및 잠재량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17-27, 2014

      2 김현구, "풍력자원지도를 이용한 한반도 풍력자원의 연간 변동성 분석" 한국풍공학회 24 (24): 71-77, 2020

      3 김진영, "육상풍력 입지지도 고도화 및 공공서비스를 위한 해외 사례 조사" 한국풍력에너지학회 11 (11): 14-21, 2020

      4 김현구, "국토환경성평가에 의한 육상 풍력자원 잠재량 산정" 한국환경과학회 22 (22): 717-721, 2013

      5 이정태, "거시적 관점에서 본 남북한 풍력자원 비교평가"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15 (15): 16-23, 2019

      6 IPPC, "Global Warming of 1.5°C, An IPCC Special Report on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f 1.5°C above pre-inductrial levels and related global green house gas emission pathways, in the context of strengthening the global response to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2018

      7 Kim, H. G., "Evaluation of Inland Wind Resource Potential of South Korea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57 : 773-781, 2014

      8 Park, S. G., "Construction of 100m Resolution Onshore Wind Resource Map through NWP-CFD Method" 68-, 2021

      9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 Plan to Activate Onshore wind Energy coexisting with the Environment"

      10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9th Basic Plan for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2020∼2034)" 2020

      1 김은영, "환경친화적 풍력단지 평가체계 구축을 통한 입지선정 및 잠재량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17-27, 2014

      2 김현구, "풍력자원지도를 이용한 한반도 풍력자원의 연간 변동성 분석" 한국풍공학회 24 (24): 71-77, 2020

      3 김진영, "육상풍력 입지지도 고도화 및 공공서비스를 위한 해외 사례 조사" 한국풍력에너지학회 11 (11): 14-21, 2020

      4 김현구, "국토환경성평가에 의한 육상 풍력자원 잠재량 산정" 한국환경과학회 22 (22): 717-721, 2013

      5 이정태, "거시적 관점에서 본 남북한 풍력자원 비교평가"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15 (15): 16-23, 2019

      6 IPPC, "Global Warming of 1.5°C, An IPCC Special Report on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f 1.5°C above pre-inductrial levels and related global green house gas emission pathways, in the context of strengthening the global response to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2018

      7 Kim, H. G., "Evaluation of Inland Wind Resource Potential of South Korea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57 : 773-781, 2014

      8 Park, S. G., "Construction of 100m Resolution Onshore Wind Resource Map through NWP-CFD Method" 68-, 2021

      9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 Plan to Activate Onshore wind Energy coexisting with the Environment"

      10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9th Basic Plan for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2020∼2034)" 2020

      1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5th Basic Plan on Renewable Energy" 2020

      12 Korea Energy Agency, "2020 New and Renewable Energy White Paper"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 0.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