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래형 차량 기술이 주목 받으면서, 사용자경험(UX)의 영향을 크게 받은 자동차는 생활공간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운전 경험에 대한 용어와 정의, 이에 영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71429
-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미래형 차량 기술이 주목 받으면서, 사용자경험(UX)의 영향을 크게 받은 자동차는 생활공간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운전 경험에 대한 용어와 정의, 이에 영향...
최근 미래형 차량 기술이 주목 받으면서, 사용자경험(UX)의 영향을 크게 받은 자동차는 생활공간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운전 경험에 대한 용어와 정의,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사회전반에 걸쳐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의 연령이 높아지고, 동시에 이들이 운전자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운전 경험 전반에 관한 모형과 이를 측정하는 기준은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국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 모델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년운전자의 운전경험 모형을 비교적으로 제시하였다.
● 1차년도 연구: 1차년도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탐색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 모델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조사와 함께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상황 관찰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한 인터뷰 데이터는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상향식 방식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도출한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헌 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하향식 방식을 통해 재구조화 하였다. 운전 경험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공학적 접근’, ‘심리학적 접근’, ‘융합적 접근’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운전 경험을 ‘출발부터 목적지 도착까지의 운전의 전 과정에서, 운전자가 운전 상황을 예상하며 갖게 되는, 개인적 특징 기반에서의 모든 감정과 지각, 인지적 결과를 의미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하였다. 운전 경험을 이루는 요소들을 ‘자동차 내부 UI 요인’, ‘환경적 요인’, ‘사용자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자동차 내부 UI 요인’에는 시각 정보 요소, 청각 정보 요소, 운행 정보 요소, ‘환경적 요인’에는 외부방해 요소, 인적 환경 요소, ‘사용자 관련 요인’에는 습관 요소, 각성 요소, 안전성, 감성이 세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관찰 과정에 관한 분석 결과, 1)차선변경, 2)방향전환, 3)정차, 4)주행의 5가지 모듈을 기반으로 청년운전자 집단과 고령운전자 집단을 비교하여 운전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 2차년도 연구: 2차년도 연구는 기술적 연구와 확증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기술적 연구를 통해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모형 제시하였다. 또한 고령 운전자와 청년 운전자 간의 운전 모형 비교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운전자와 고령 운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는 탐색적, 확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with the attention of future vehicle technology, automobiles that are influenced by user experience (UX) are regarded as living space. However, the concept of term, definition, and constituent factors of driving experience have not been esta...
Recently, with the attention of future vehicle technology, automobiles that are influenced by user experience (UX) are regarded as living space. However, the concept of term, definition, and constituent factors of driving experience have not been established so far. In addition, as the aging of society progresses throughout society, the age of driver’s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proportion of drivers in drivers becomes higher.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re is no model for the overall driving experience and the criteria for measuring it. Therefore,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driving experience of elderly drivers are derived and based on this, a driving experience model of Korean elderly drivers is presented. To this end, the model of driving experience of young drivers is presented comparatively.
The first year was an exploratory study, and it was derived as an exploratory factor influencing the driving experience of older drivers. Based on this, we presented a driving experience model for older Korean drivers.
To do this, we surveyed 18 drivers and observe driving situation and interview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bottom - up method. Factors affecting the driving experience derived through this study 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