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의 시차와 공간적 재맥락화 = 염상섭의 러시아 소설 번역이 의미하는 것들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염상섭의 초기 번역 활동에 주목하여 텍스트 선택의 경위와 그 의미를 궁구하고, 이와 염상섭 소설들의 관련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염상섭은 메이지 일본의 문인 후타바테이 시메이를 경유하여 러시아 소설에 접속했다. 시메이의 번역문은 그 문체적 혁신으로 말미암아 일본 문단에서 큰 권위를 확보하고 있었다. 염상섭의 선택에는 그 권위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어 있었으며, 번역태도 역시 저본을 꼼꼼하게 옮겨내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내용적 측면에서는 전혀 다른 방점을 찍으며 번역소설 자체가 자신의 문제의식을 대변하게 했다. 염상섭은 가르쉰의 ?四日間?을 통해서는 조선의 전쟁 체험, 즉 3?1운동의 죽음을 재현했고, 투르게네프의 ?密會?를 통해서는 여성해방이라는 화두를 던졌다. 이는 동시기의 소설 ?萬歲前?이나 ?除夜? 등에도 삽입된 메시지들이었다. 본격적 의미에서 처음으로 세계문학과 조우하며 나온 식민지 조선의 번역들은, 염상섭의 사례와 같이 저본과는 차별화 된 시공간적 조건의 차이와 번역자 개인의 문제의식이 빚어내는 각각의 맥락을 지니고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다른 대상에게도 적용 가능한 방법론의 한 사례로서 일정한 의의를 획득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염상섭의 초기 번역 활동에 주목하여 텍스트 선택의 경위와 그 의미를 궁구하고, 이와 염상섭 소설들의 관련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염상섭은 메이지 일본의 문인 후타바테이 시...

      본 연구는 염상섭의 초기 번역 활동에 주목하여 텍스트 선택의 경위와 그 의미를 궁구하고, 이와 염상섭 소설들의 관련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염상섭은 메이지 일본의 문인 후타바테이 시메이를 경유하여 러시아 소설에 접속했다. 시메이의 번역문은 그 문체적 혁신으로 말미암아 일본 문단에서 큰 권위를 확보하고 있었다. 염상섭의 선택에는 그 권위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어 있었으며, 번역태도 역시 저본을 꼼꼼하게 옮겨내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내용적 측면에서는 전혀 다른 방점을 찍으며 번역소설 자체가 자신의 문제의식을 대변하게 했다. 염상섭은 가르쉰의 ?四日間?을 통해서는 조선의 전쟁 체험, 즉 3?1운동의 죽음을 재현했고, 투르게네프의 ?密會?를 통해서는 여성해방이라는 화두를 던졌다. 이는 동시기의 소설 ?萬歲前?이나 ?除夜? 등에도 삽입된 메시지들이었다. 본격적 의미에서 처음으로 세계문학과 조우하며 나온 식민지 조선의 번역들은, 염상섭의 사례와 같이 저본과는 차별화 된 시공간적 조건의 차이와 번역자 개인의 문제의식이 빚어내는 각각의 맥락을 지니고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다른 대상에게도 적용 가능한 방법론의 한 사례로서 일정한 의의를 획득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noticed in the early translation activity of Yeom Sang-seop, examined his choice of translation text and the meaning it contains. Also, determined the aspects of his novels as an extension of translation activity. Yeom Sang-seop accessed Russian novel through Meiji Japan"s writer, Hutabatei Simei. Simei"s translation was renowned for it"s innovative style of writing in Japan"s literary circles. Yeom Sang-seop"s choice of texts reflected this authorities, and his translation attitude was also very simple and meticulous. But on the side of novel"s content, he tried very different way, and let translated novel represents his critical consciousness by itself. Yeom Sang-seop reenacted the horror of 3?1 independence movements, Chosun"s war experience through V. Garshin"s novel, Four days(四日間), and brought up women"s liberation issue through Turgenev"s Meeting(密會). These messages were also implied in other novels of the same period, such as Mansejeon(萬歲前) and Jeya(除夜). Colony Chosun was in the beginning stage of encountering international literatures in earnest, at that time of the Chosun"s translated literatures would have their own stories consisted of difference of time-space concept condition and translator"s personal concept of history, just like the Yeom Sang-seop"s case. 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example of translation study methodology which is applicable to other objects hereafter.
      번역하기

      This study noticed in the early translation activity of Yeom Sang-seop, examined his choice of translation text and the meaning it contains. Also, determined the aspects of his novels as an extension of translation activity. Yeom Sang-seop accessed Ru...

      This study noticed in the early translation activity of Yeom Sang-seop, examined his choice of translation text and the meaning it contains. Also, determined the aspects of his novels as an extension of translation activity. Yeom Sang-seop accessed Russian novel through Meiji Japan"s writer, Hutabatei Simei. Simei"s translation was renowned for it"s innovative style of writing in Japan"s literary circles. Yeom Sang-seop"s choice of texts reflected this authorities, and his translation attitude was also very simple and meticulous. But on the side of novel"s content, he tried very different way, and let translated novel represents his critical consciousness by itself. Yeom Sang-seop reenacted the horror of 3?1 independence movements, Chosun"s war experience through V. Garshin"s novel, Four days(四日間), and brought up women"s liberation issue through Turgenev"s Meeting(密會). These messages were also implied in other novels of the same period, such as Mansejeon(萬歲前) and Jeya(除夜). Colony Chosun was in the beginning stage of encountering international literatures in earnest, at that time of the Chosun"s translated literatures would have their own stories consisted of difference of time-space concept condition and translator"s personal concept of history, just like the Yeom Sang-seop"s case. 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example of translation study methodology which is applicable to other objects hereaf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염상섭의 저본과 번역태도
      • 3. 후타바테이 시메이라는 권위
      • 4. 텍스트의 시공간적 轉移와 염상섭 소설
      • 국문초록
      • 1. 서론
      • 2. 염상섭의 저본과 번역태도
      • 3. 후타바테이 시메이라는 권위
      • 4. 텍스트의 시공간적 轉移와 염상섭 소설
      • 5.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수(金慶洙), "廉想涉 小說과 飜譯" 어문연구(語文硏究) 35 (2) : 221 ~ 246, 2007

      2 이경돈, "횡보(橫步)의 문리(文理): 염상섭과 산(散)혼(混)공(共)통(通)의 상상" 상허학보 38 : 101 ~ 139, 2013

      3 정우택, "황석우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2008

      4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 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98

      5 한기형, "학문장과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6 레너드 샤피로, "투르게네프 : 아름다운 서정을 노래한 작가" 책세상, 2002

      7 한기형, "초기 염상섭의 아나키즘 수용과 탈식민적 태도- 잡지『삼광』에 실린 염상섭 자료에 대하여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43) : 4 ~ 105, 2003

      8 코모리 요이치, "일본어의 근대" 소명출판, 2003

      9 가라타니 고진,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10 나카무라 미쓰오, "일본 메이지 문학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1 김경수(金慶洙), "廉想涉 小說과 飜譯" 어문연구(語文硏究) 35 (2) : 221 ~ 246, 2007

      2 이경돈, "횡보(橫步)의 문리(文理): 염상섭과 산(散)혼(混)공(共)통(通)의 상상" 상허학보 38 : 101 ~ 139, 2013

      3 정우택, "황석우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2008

      4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 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98

      5 한기형, "학문장과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6 레너드 샤피로, "투르게네프 : 아름다운 서정을 노래한 작가" 책세상, 2002

      7 한기형, "초기 염상섭의 아나키즘 수용과 탈식민적 태도- 잡지『삼광』에 실린 염상섭 자료에 대하여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43) : 4 ~ 105, 2003

      8 코모리 요이치, "일본어의 근대" 소명출판, 2003

      9 가라타니 고진,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10 나카무라 미쓰오, "일본 메이지 문학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11 빌헬름 슈미트본, "오게네쓰의 誘惑" 開闢 (37), 1923

      12 손성준, "영웅서사의 동아시아 수용과 중역의 원본성 : 서구 텍스트의 한국적 재맥락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2012

      13 송하춘, "염상섭의 초기 창작방법론" 현대소설연구 (36) : 59 ~ 73, 2007

      14 이종호, "염상섭의 자리, 프로문학 밖, 대항제국주의 안 ― 두 개의 사회주의 혹은 ‘문학과 혁명’의 사선(斜線)" 상허학보 38 : 11 ~ 60, 2013

      15 장두영, "염상섭의 『만세전』에 나타난 ‘개성’과 ‘생활’의 의미 -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郞)의 『아낌없이 사랑은 빼앗는다(惜みなく愛は奪ふ)-』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日本學硏究 34 : 351 ~ 374, 2011

      16 김윤지, "염상섭문학의 일본 자연주의 수용 양상" 한일어문논집 13, 2009

      17 박헌호, "염상섭과 ‘조선문인회’" 한국문학연구 (43) : 235 ~ 259, 2012

      18 김명훈, "염상섭 초기소설의 창작기법 연구:『진주는 주엇스나』와 『햄릿』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39) : 5 ~ 40, 2013

      19 염상섭, "염상섭 전집" 민음사, 1987

      20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21 최인숙, "염상섭 문학에 나타난 ‘노라’와 그 의미" 한국학연구 (25) : 195 ~ 229, 2011

      22 한기형, "염상섭 문장전집 (Ⅰ권, Ⅱ권)" 소명출판, 2013

      23 이항재, "소설의 정치학-투르게네프 소설 연구" 문원출판, 1999

      24 구니키다 돗포, "무사시노 외" 을유문화사, 2011

      25 가메이 히데오, "메이지문학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26 야마무로 신이치, "러일전쟁의 세기—연쇄시점으로 보는 일본과 세계" 소화, 2010

      27 류석환, "개벽사의 출판활동과 근대잡지"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2007

      28 강명수, "가르쉰의 <붉은 꽃 >과 체호프의 <6호실 >에 드러난 공간과 주인공의 세계" 노어노문학 12 (1), 2000

      29 田山花袋, "長篇小說の硏究" 新詩壇社, 1925

      30 ガルシン, "臆病者と四日間" 曠野社, 1920

      31 川戶道昭, "続明治翻訳文学全集 ≪新聞雜誌編≫5 森田思軒集Ⅰ" 大空社, 2002

      32 小堀洋平, "田山花袋「一兵卒」とガルシン「四日間」 : 「死」、「戦争」、そして「自然」 をめぐる考察" 早稲田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紀要 3 (57), 2011

      33 ツルゲネフ, "猟人日記" 昭文堂, 1909

      34 ツルゲエネフ, "猟人日記" 新潮社, 1918

      35 二葉亭四迷, "片戀 : 外六編" 春陽堂, 1916

      36 二葉亭四迷, "片戀" 春陽堂, 1896

      37 齊藤希史, "漢文脈の近代 -清末=明治の文学圏" 名古屋大学出版会, 2005

      38 이혜령, "正史와 情史 사이: 3ㆍ1운동, 후일담의 시작" 민족문학사연구 (40) : 232 ~ 277, 2009

      39 田山花袋, "東京の三十年" 博文館, 1917

      40 柳田泉, "明治初期飜訳文學の硏究" 春秋社, 1966

      41 森林太郎, "新一幕物" 籾山書店, 1913

      42 島村抱月, "抱月全集 (第2巻)" 天佑社, 1920

      43 투르게네프, "密會" 東明 2 (14), 1923

      44 가르쉰, "四日間" 開闢 (25), 1922

      45 廉想涉, "南邦의 處女" 平文舘, 1924

      46 二葉亭四迷, "カルコ集" 春陽堂, 1908

      47 ガルシン, "あかい花 他四篇" 岩波文庫, 1959

      48 오혜진, "“캄포차 로맨쓰”를 통해 본 제국의 욕망과 횡보의 문화적 기획" 근대서지 (3), 2011

      49 이보영, "Oscar Wilde와 염상섭 -비교문학적 고찰" 인문논총 20, 1990

      50 김경수, "1차 留學時期 廉想涉 文學 硏究" 어문연구(語文硏究) 38 (2) : 293 ~ 319,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