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범죄예방활동의 전이효과와 이익의 확산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placement and Diffusion of Benefit Effects of Crime Prevention Strateg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9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범죄예방활동이 범죄전이효과와 범죄예방이익의 확산효과 중 어떤 효과를 더 크게 나타내는지 검증하여 범죄예방전략에 대한 함의를 찾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해자들이 그들의 범죄가 어떤 장소에서 막히게 되면 다른 장소로 옮겨 가서 범죄를 저지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증적인 연구결과들은 어떤 장소에서 범죄를 막기 위해 상황적 범죄예방수단이 적용되게 되면 범죄전이효과가 반드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들은 범죄전이가 일어날 수 있지만 장소에 기반한 개입의 필연적인 결과는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장소에 기반한 개입은 범죄의 전이보다는 이익의 확산효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증적인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많은 범죄들이 적은 수의 장소들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가 적은 수의 장소에서 범죄를 줄일 수 있다면 전체적인 범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둘째, 범죄에 대한 개입에 의한 전이효과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범죄전이가 나타날 수는 있지만 그것이 범죄예방의 모든 이익을 제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의 범죄의 감소는 인근 지역에서의 범죄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넷째, 일정한 장소에서 행동을 통제할 수 있고 책임을 지고 있는 장소 관리자가 있다. 그들은 그 장소를 통제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 있으며, 물리적 환경을 조직화하고 행동을 규율하고 접근을 통제하면서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관리자들 사이의 협의가 잘 이루어진다면 범죄예방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연구결과들은 장소에 기반한 개입이 최소한 일정한 범죄에 대하여 범죄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범죄예방활동이 범죄전이효과와 범죄예방이익의 확산효과 중 어떤 효과를 더 크게 나타내는지 검증하여 범죄예방전략에 대한 함의를 찾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

      이 연구는 범죄예방활동이 범죄전이효과와 범죄예방이익의 확산효과 중 어떤 효과를 더 크게 나타내는지 검증하여 범죄예방전략에 대한 함의를 찾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해자들이 그들의 범죄가 어떤 장소에서 막히게 되면 다른 장소로 옮겨 가서 범죄를 저지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증적인 연구결과들은 어떤 장소에서 범죄를 막기 위해 상황적 범죄예방수단이 적용되게 되면 범죄전이효과가 반드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들은 범죄전이가 일어날 수 있지만 장소에 기반한 개입의 필연적인 결과는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장소에 기반한 개입은 범죄의 전이보다는 이익의 확산효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증적인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많은 범죄들이 적은 수의 장소들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가 적은 수의 장소에서 범죄를 줄일 수 있다면 전체적인 범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둘째, 범죄에 대한 개입에 의한 전이효과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범죄전이가 나타날 수는 있지만 그것이 범죄예방의 모든 이익을 제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의 범죄의 감소는 인근 지역에서의 범죄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넷째, 일정한 장소에서 행동을 통제할 수 있고 책임을 지고 있는 장소 관리자가 있다. 그들은 그 장소를 통제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 있으며, 물리적 환경을 조직화하고 행동을 규율하고 접근을 통제하면서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관리자들 사이의 협의가 잘 이루어진다면 범죄예방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연구결과들은 장소에 기반한 개입이 최소한 일정한 범죄에 대하여 범죄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of the two theories, once being crime displacement, the other being diffusion, has greater effect and find out implications for crime prevention strategies. Some people believe that if offenders are blocked they will move to another place to commit crimes. However, as empirical research shows, if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measures are used to prevent crime at places, displacement is not inevitable but possible. The studies showed that displacement is possible but it is not necessary result caused by place-based interventions. Also, place-based interventions are more likely to bring about diffusion of benefits rather than displacement. The empirical studies indicat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irst, many crimes occur in a small number of places. If we can reduce crime at the small number of places, we can highly reduce overall crimes. Second, displacement caused by interventions is not a big problem. Various research shows that although displacement is possible it does not remove all prevention benefits. Third, crime reduction in high-crime places can bring about crime reduction in near areas. Various studies prove diffusion of benefits. Fourth, there are place managers who are responsible for controlling behaviors at places. They have legal authorities to control the places. Hence, they organize physical environment, regulate behaviors, control access, and get necessary resources. Thus, crime prevention at places is conducted after agreements of place managers. Finally, various research shows that place-based interventions have an impact on at least a certain crim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of the two theories, once being crime displacement, the other being diffusion, has greater effect and find out implications for crime prevention strategies. Some people believe that if offenders are blo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of the two theories, once being crime displacement, the other being diffusion, has greater effect and find out implications for crime prevention strategies. Some people believe that if offenders are blocked they will move to another place to commit crimes. However, as empirical research shows, if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measures are used to prevent crime at places, displacement is not inevitable but possible. The studies showed that displacement is possible but it is not necessary result caused by place-based interventions. Also, place-based interventions are more likely to bring about diffusion of benefits rather than displacement. The empirical studies indicat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irst, many crimes occur in a small number of places. If we can reduce crime at the small number of places, we can highly reduce overall crimes. Second, displacement caused by interventions is not a big problem. Various research shows that although displacement is possible it does not remove all prevention benefits. Third, crime reduction in high-crime places can bring about crime reduction in near areas. Various studies prove diffusion of benefits. Fourth, there are place managers who are responsible for controlling behaviors at places. They have legal authorities to control the places. Hence, they organize physical environment, regulate behaviors, control access, and get necessary resources. Thus, crime prevention at places is conducted after agreements of place managers. Finally, various research shows that place-based interventions have an impact on at least a certain cr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범죄전이효과와 범죄예방이익의 확산효과 Ⅳ. 결 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범죄전이효과와 범죄예방이익의 확산효과 Ⅳ. 결 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철현, "서울시 강남구의 CCTV 설치가 범죄예방에 미치는 효과 : 첫 신문보도 시점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217-243, 2009

      2 김성언, "상황적 범죄예방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1045-1079, 2009

      3 이윤호, "범죄전이효과와 이익의 확산효과 측정에 관한 소고 :범죄전이지수(WDQ)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249-292, 2009

      4 김준호, "범죄에 대한 합리적 선택이론의 적용 및 평가" 7 : 105-125, 1995

      5 이성식, "범죄기회이론의 출현배경 및 그 주요 논지" 37 : 18-24, 1996

      6 임형진,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수사경찰의 인식: 인천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21 (21): 151-174, 2019

      7 김연수,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 효과분석" 11 : 209-245, 2008

      8 이주락, "가두 방범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천안・아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18 (18): 107-132, 2008

      9 박현호, "WDQ분석을 통한 CCTV의 범죄전이 연구 - 광명시 사례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학회 10 (10): 107-128, 2011

      10 Poyner, B., "Video cameras and bus vandalism" 11 : 44-51, 1988

      1 박철현, "서울시 강남구의 CCTV 설치가 범죄예방에 미치는 효과 : 첫 신문보도 시점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217-243, 2009

      2 김성언, "상황적 범죄예방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1045-1079, 2009

      3 이윤호, "범죄전이효과와 이익의 확산효과 측정에 관한 소고 :범죄전이지수(WDQ)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249-292, 2009

      4 김준호, "범죄에 대한 합리적 선택이론의 적용 및 평가" 7 : 105-125, 1995

      5 이성식, "범죄기회이론의 출현배경 및 그 주요 논지" 37 : 18-24, 1996

      6 임형진,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수사경찰의 인식: 인천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21 (21): 151-174, 2019

      7 김연수,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 효과분석" 11 : 209-245, 2008

      8 이주락, "가두 방범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천안・아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18 (18): 107-132, 2008

      9 박현호, "WDQ분석을 통한 CCTV의 범죄전이 연구 - 광명시 사례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학회 10 (10): 107-128, 2011

      10 Poyner, B., "Video cameras and bus vandalism" 11 : 44-51, 1988

      11 Hidelang, M. S., "Victims of Personal Crime" Ballinger 1978

      12 Cornish, D. B., "Understanding crime displacement : An application of rational choice theory" 25 (25): 933-947, 1987

      13 Mazerolle, L. G., "Third Party Polic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14 Cornish, D. B., "Theory for Practice in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Criminal Justice Press 2003

      15 Eck, J. E., "The threat of crime displacement" 25 : 527-546, 1993

      16 Pease, K., "The kirkholt project : Preventing burglary on a British Public Housing Estate" 2 : 73-77, 1991

      17 Crawford, A., "The Oxford Handbook of Crimin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769-776, 2012

      18 Madensen, T. D., "The Oxford Handbook of Crime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9 Johnson, S. D., "The Oxford Handbook of Crime Preven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0 Eck, J. E., "The Oxford Handbook of Crime Preven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1 Cohen, L. E.,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 A Routine Activity Approach" 46 : 505-524, 1979

      22 Cornish, D. B.,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From Theory into Practice"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86

      23 Sung, Hung-en, "Rational Choice and environmental Deterrence in the Retention of Mandated Drug Abuse Treatment Clients" 51 : 112-131, 2007

      24 Bowers, K., "Measuring the geographical displacement and diffusion of benefit effects of crime prevention activity" 193 : 275-301, 2003

      25 Walters, G. D., "Foundations of Criminal Science: The Use of Knowledge" Praeger 1992

      26 Eck, J. E., "Evidence-Based Crime Prevention" Routledge 2002

      27 Weisburd, D., "Does crime just move around the corner? A controlled study of spatial displacement and diffusion of crime control benefits" 44 : 549-592, 2006

      28 Newman, G. R., "Designing Out Crime from Products: Towards Research-based practice" Lynne Rienner 2011

      29 Lim, H., "Crime-Reduction Effects of Open-street CCTV : Conditionality Considerations" 34 (34): 597-626, 2017

      30 Reppetto, T. A., "Crime prevention and the displacement phenomena" 166-177, 1976

      31 Eck, J. E., "Crime place and pollution: Expanding crime reduction options through a regulatory approach" 11 (11): 281-316, 2012

      32 Sherman, L. W., "Crime and Justice: A Review of Research, Volume 1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33 Barr, R., "Crime and Justice: A Review of Research, Vol. 1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34 Clarke, R. V., "Crime and Justice: A Review of Research (Vol. 1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35 Farrell, G., "Crime Reduction and the Law" Routledge 2006

      36 Hesseling, R. B. P., "Crime Prevention Studies, Vol. 3" Criminal Justice Press 1994

      37 Clarke, R. V., "Crime Prevention Studies, Vol. 2" Willow Tree Press 1994

      38 Clark, R. V., "Building a Safer Society: Strategic Approaches to Crime Preven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9-150, 1995

      39 Madensen, T. D., "Bar management and crime: Toward a dynamic theory of place management and crime hotspots" University of Cincinnati 2007

      40 Guerette, R. T., "Assessing the extent of crime displacement and diffusion of benefits : A systematic review of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evaluations" 47 : 1331-1368,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4 0.58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