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교과 프로그램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Learner Perception of Comparison and Program Learning Activit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6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진행된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 인식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다변화하는 시대에 인공지능을 연계한 교육 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학습자들이 Chat GPT와 뤼튼을 활용한 학습 활동을 수행하게 한 후, 이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배경 지식을 가진 학습자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한 팀별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인식 조사 분석 결과, 학습자는 인공지능 활용한 학습 활동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이러한 활용이 학습자 간 학업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현재 대학 교육은 인공지능 AI를 접목한 다양한 교수 및 학습 방안의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의 경험이 축적되어 인공지능을 바람직하게 활용하는 기준에 대한 모색 등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진행된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 인식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다변화하는 시대에 인공지능을 연계한 교육 방...

      목적: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진행된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 인식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다변화하는 시대에 인공지능을 연계한 교육 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학습자들이 Chat GPT와 뤼튼을 활용한 학습 활동을 수행하게 한 후, 이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배경 지식을 가진 학습자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한 팀별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인식 조사 분석 결과, 학습자는 인공지능 활용한 학습 활동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이러한 활용이 학습자 간 학업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현재 대학 교육은 인공지능 AI를 접목한 다양한 교수 및 학습 방안의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의 경험이 축적되어 인공지능을 바람직하게 활용하는 기준에 대한 모색 등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s of learning activities carried ou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y referring to learner perception analysis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educational methods link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diversified era. Method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learners were asked to perform learning activities using Chat GPT and Rüthen, and then an awareness survey was conducted on this. Learners with diverse backgrounds participated in team activit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earners’ perceptions about thi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perception survey analysis, learners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learning activit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use can also help strengthen academic communication capabilities between learners. Conclusion: Currently, university education is at a time whe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corpo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I should be tested. I hope that experience in thes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ll be accumulated, and that various attemp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such as searching for standards for the desirabl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s of learning activities carried ou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y referring to learner perception analysis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edu...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s of learning activities carried ou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y referring to learner perception analysis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educational methods link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diversified era. Method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learners were asked to perform learning activities using Chat GPT and Rüthen, and then an awareness survey was conducted on this. Learners with diverse backgrounds participated in team activit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earners’ perceptions about thi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perception survey analysis, learners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learning activit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use can also help strengthen academic communication capabilities between learners. Conclusion: Currently, university education is at a time whe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corpo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I should be tested. I hope that experience in thes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ll be accumulated, and that various attemp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such as searching for standards for the desirabl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나연, "한국국학진흥원 개발 고문헌 AI 자동번역 프로그램과 활용 전망" 인문콘텐츠학회 (69) : 75-113, 2023

      2 전상훈, "챗GPT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 (주)다빈치하우스-미디어숲 2023

      3 이은령, "인공지능번역 결과를 활용한 팀 기반 단계적 번역 글쓰기 교수·학습" 프랑스학회 (103) : 81-106, 2023

      4 김혜은 ; 조영환 ; 박지희, "영어 작문에서 학습자와 인공지능 번역기 간 상호작용 유형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9 (29): 201-228, 2023

      5 남민우,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챗GPT 교수-학습 활용 가이드&사례" 1-70, 2023

      6 전현주, "‘기계번역’ 관련 국내 번역학 연구동향 분석" 융합영어영문학회 8 (8): 85-121, 2023

      7 "Wtrn"

      8 OpenAI, "ChatGPT (Mar 14 version) [Large language model]"

      9 최나래, "Chat GPT와 교육, 학술논문 초록 분석을 통한 핵심 키워드와 연구동향 탐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7 (27): 69-72, 2023

      10 윤옥한, "Chat GPT 등장과 교양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23 (23): 86-96, 2023

      1 박나연, "한국국학진흥원 개발 고문헌 AI 자동번역 프로그램과 활용 전망" 인문콘텐츠학회 (69) : 75-113, 2023

      2 전상훈, "챗GPT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 (주)다빈치하우스-미디어숲 2023

      3 이은령, "인공지능번역 결과를 활용한 팀 기반 단계적 번역 글쓰기 교수·학습" 프랑스학회 (103) : 81-106, 2023

      4 김혜은 ; 조영환 ; 박지희, "영어 작문에서 학습자와 인공지능 번역기 간 상호작용 유형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9 (29): 201-228, 2023

      5 남민우,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챗GPT 교수-학습 활용 가이드&사례" 1-70, 2023

      6 전현주, "‘기계번역’ 관련 국내 번역학 연구동향 분석" 융합영어영문학회 8 (8): 85-121, 2023

      7 "Wtrn"

      8 OpenAI, "ChatGPT (Mar 14 version) [Large language model]"

      9 최나래, "Chat GPT와 교육, 학술논문 초록 분석을 통한 핵심 키워드와 연구동향 탐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7 (27): 69-72, 2023

      10 윤옥한, "Chat GPT 등장과 교양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23 (23): 86-96, 2023

      11 박성수, "CHAT GPT" 케이미라클모닝 2023

      12 전혜원 ; 이선혜, "AI 기계번역을 활용한 교양강좌 영작문 수업 사례"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7 (7): 19-34, 20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