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초·중등의 학습자를 연결할 수 있는 뉴노멀의 언어 및 언어 자료를 활용하여 초·중등 국어과 교육의 연계성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방법: 뉴노멀의 개념 및 뉴노멀의 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16149
한명숙 (공주교육대학교)
2023
Korean
뉴노멀 ; 연계성 ; 국어 자료의 예 ; 언어 자료 ; 국어과 교육 ; 초·중등 연계 ; New Normal ; Curricula Text ; Language Text ; Korean Language Education ; Connectivity ; All Grades
KCI등재
학술저널
151-184(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초·중등의 학습자를 연결할 수 있는 뉴노멀의 언어 및 언어 자료를 활용하여 초·중등 국어과 교육의 연계성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방법: 뉴노멀의 개념 및 뉴노멀의 언�...
목적: 초·중등의 학습자를 연결할 수 있는 뉴노멀의 언어 및 언어 자료를 활용하여 초·중등 국어과 교육의 연계성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방법: 뉴노멀의 개념 및 뉴노멀의 언어와 언어 자료를 구체화하고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언어 자료 활용 실태를 살펴, 초·중등 국어과 교육의 연계 방안을 탐구한다. 결과: 뉴노멀은 21세기 인류의 삶에 새롭게 편입한 새로운 일상이자 새롭게 대두하는 보편성이다. 뉴노멀의 언어는 신조어 및 디지털 매체를 통해 송수신하는 매체언어 자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국어과 교육에서 매체언어 활용은 2007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부터 나타났으며,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이 제시한 ‘국어 자료의 예’를 중심으로 볼 때 뉴노멀의 언어 자료를 수용한 양상 및 초·중등 국어교육 사이의 연계성은 미약하다. 하지만 국어과 교육에 매체언어 자료를 확충 활용함으로써 뉴노멀의 언어 자료로 초·중등의 국어과 교육을 연계할 수 있다. 뉴노멀의 언어 자료는 초·중등 학생의 언어생활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성취기준과도 조응함으로써 학년 군간의 상호 연계성을 구축하는 효율성을 높인다. 결론: 뉴노멀의 언어와 언어 자료를 초·중등 국어교육에 수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부응하고 초·중등 학생의 언어를 상호 연계하는 국어과 교육을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propose a plan to connec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w normal. Methods: (1) Review the literature to define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
Purpose: To propose a plan to connec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w normal. Methods: (1) Review the literature to define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w normal. (2) Analyze the use of media language materials in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linkag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3) Explore ways to link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ith the media language of the new normal. Results: (1) The new normal refers to a new daily life newly incorporated into human life and is universal, and the language of the new normal can be commonly seen in new words and media language materi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digital media. (2) In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acceptance of the new normal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is weak, and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weak. (3) By expanding the use of media language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language textbooks of the new normal. Conclus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t respond to changes in the times by utilizing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w normal and realiz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connects the languag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To propose a plan to link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w normal.
참고문헌 (Reference)
1 천경록, "학교급 간의 국어과 연계성에 대한 교사 인식" 청람어문교육학회 (59) : 159-184, 2016
2 한명숙, "포스트휴먼 독자의 매체문학과 아동문학" 한국아동문학학회 44 (44): 205-241, 2023
3 장지원, "타일러(Tyler)의 교육과정 조직 원리에 근거한 초, 중등 학교급간 음악과 교육과정 연계성 고찰" 한국음악교육학회 44 (44): 221-239, 2015
4 이수진 ; 강현아 ; 남길임, "코로나-19 신어의 수집과 사용 양상 연구 - 주제 특정적 신어의 수집과 사용에 대한 고찰 -" 한국사전학회 (36) : 136-171, 2020
5 강희숙, "코로나-19 신어와 코로나 뉴노멀" 인문학연구원 (61) : 115-138, 2021
6 조성윤, "초-중등 간 연계성 있는 고전 서사 교육을 위한 교과서 검토와 방법 제안" 국어문학회 72 (72): 633-663, 2019
7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11
8 장지원, "제재곡 중심의 초, 중등학교급간 음악교과서 연계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131-146, 2016
9 Buckingham, D., "전자 매체 시대의 아이들" 우리교육 2004
10 Luria, A. R., "인지발달교육" 학문사 1994
1 천경록, "학교급 간의 국어과 연계성에 대한 교사 인식" 청람어문교육학회 (59) : 159-184, 2016
2 한명숙, "포스트휴먼 독자의 매체문학과 아동문학" 한국아동문학학회 44 (44): 205-241, 2023
3 장지원, "타일러(Tyler)의 교육과정 조직 원리에 근거한 초, 중등 학교급간 음악과 교육과정 연계성 고찰" 한국음악교육학회 44 (44): 221-239, 2015
4 이수진 ; 강현아 ; 남길임, "코로나-19 신어의 수집과 사용 양상 연구 - 주제 특정적 신어의 수집과 사용에 대한 고찰 -" 한국사전학회 (36) : 136-171, 2020
5 강희숙, "코로나-19 신어와 코로나 뉴노멀" 인문학연구원 (61) : 115-138, 2021
6 조성윤, "초-중등 간 연계성 있는 고전 서사 교육을 위한 교과서 검토와 방법 제안" 국어문학회 72 (72): 633-663, 2019
7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11
8 장지원, "제재곡 중심의 초, 중등학교급간 음악교과서 연계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131-146, 2016
9 Buckingham, D., "전자 매체 시대의 아이들" 우리교육 2004
10 Luria, A. R., "인지발달교육" 학문사 1994
11 윤정희 ; 나귀옥, "유·초·중·고 지구과학 교육과정에서의 날씨 관련 개념의 연계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281-301, 2007
12 민병곤, "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 현황 고찰"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4) : 133-160, 2014
13 Kant, I., "순수이성비판 서문" 책세상 2002
14 Eping, R. C., "세계 경제가 만만해지는 책 - 새로운 세상을 이해하는 뉴노멀 경제학" 어크로스 2020
15 이병규, "새 일상(New Normal) 시대, 국어교육의 지향"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87-298, 2021
16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17 한명숙, "매체언어의 기호 특성과 국어교육의 과제" 청람어문교육학회 (91) : 179-211, 2023
18 김대행, "매체언어교육론 서설"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7 : 7-44, 1998
19 김재인, "뉴노멀의 철학" 동아시아 2020
20 최규홍, "뉴노멀시대, 초등국어과 교육의 방향"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43-252, 2021
21 최수웅, "뉴노멀 시대의 스토리텔링 전개 양상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557-570, 2021
22 최순화, "뉴노멀 시대의 마케팅-변화는 소비자를 어떻게 사로잡을 것인가" 세종서적 2016
23 Collins, D., "뉴노멀 시대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 경향미디어 2016
24 Hinssen, P., "뉴노멀 -디지털 혁명 제2막의 시작" 흐름출판 2014
25 Vion-Dury, P., "뉴 노멀교양수업-10년 후 정치 〮경제를 바꿀 10가지 핵심 개념" 문예출판사 2020
26 신호철, "국어교육에서 연계성의 개념과 양상 -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1) : 183-212, 2009
27 서영진, "국어과 연계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72) : 1-42, 2021
28 최선희, "교육과정의 ‘종적 연계성’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연구-국어과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23) : 7-40, 2020
29 윤창희, "‘헐, 안물, 핵노잼’…초등학생들이 신조어를 쓰는 이유는?"
30 여경애, "‘코로나19’ 신조어 양상과 사회적 영향 및 방안 연구-2020~2022년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 (13): 1345-1358, 2022
31 대한민국공군, "Les Miserables ROK Air Force Parody Les Militaribles / 공군 레미제라블 '레밀리터리블’"
32 다올미디어, "Les Miserables Daall Media Parody 'Les Schoolzeribles' / 레스쿨제라블"
33 LesKAISTroubles, "Les KAISTroubles : Story of a Typical Engineering Student /레 카이스트러블 : 흔한 공대생의 이야기"
34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10년 후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의 성장 전략" 시간여행 2016
영상광고의 매체양식 결합에 관여하는 은유의 작용 방식 연구
학습 공동체와 국어 교사의 실천적 지식-‘배움의 공동체 연구회’를 중심으로-
제3공간으로 기능하는 디지털 글쓰기 공간에 관한 사례 연구-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중심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교과 프로그램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