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효과성 검증 방법 = A Study on the Way to Verify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of South Korea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8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activated in all branches in the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of South Korea. Specially moral education has taken core role for character education. Because moral education has well organized system as follows: theory and practice, university and curriculum to train teachers for moral education.
      Current moral education has shown some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morality. This problem could also be brought in character education. Verification of teaching is a very important course of action in school education. It must be devoted to make foundation to start next stages. In measuring the morality, even the moral psychology has taken very important position, its role has been limited to make solid base the academic position. In Korea, moral psychology must be the found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or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propose that teachers for character education can deal with process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as follows: (1) Identif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related character construct, (2)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and implementation, and (3) Analysis of results and suggesting educational implications. Each steps has been shown with specific examples.
      Based on thes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ncept of moral competence will be used in moral education. Moral competence can imply to give construct factor which is very important source in measuring the morality.
      번역하기

      The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activated in all branches in the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of South Korea. Specially moral education has taken core role for character education. Because moral education has well organized system as follows: the...

      The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activated in all branches in the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of South Korea. Specially moral education has taken core role for character education. Because moral education has well organized system as follows: theory and practice, university and curriculum to train teachers for moral education.
      Current moral education has shown some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morality. This problem could also be brought in character education. Verification of teaching is a very important course of action in school education. It must be devoted to make foundation to start next stages. In measuring the morality, even the moral psychology has taken very important position, its role has been limited to make solid base the academic position. In Korea, moral psychology must be the found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or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propose that teachers for character education can deal with process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as follows: (1) Identif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related character construct, (2)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and implementation, and (3) Analysis of results and suggesting educational implications. Each steps has been shown with specific examples.
      Based on thes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ncept of moral competence will be used in moral education. Moral competence can imply to give construct factor which is very important source in measuring the mor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국의 초・중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은 범교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덕과 교육은 학교 인성교육의 핵심 교과 역할을 수행한다. 왜냐하면 이론과 실천, 양성기관과 교육과정 등에서 모든 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행 도덕과 교육의 일반적인 경향이 그러하듯이, 인성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효과 검증은 향후 교육을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성 측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주로 도덕 심리학 분야에서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의 도덕 심리학적 조류는 또 하나의 교과 이론에 안주하고 있다. 도덕 심리학에 대한 이해는 도덕과 교육에서 효과성 검증을 위한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현장 교사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검증 절차를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이 도덕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의 효과를 검증해 볼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의 절차에 따라 화면을 통해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단계를 제시한다. ①도덕과 성취기준 분석 및 관련 인성 구인 추출, ②측정 문항 선정 및 측정 실행, ③측정 결과 분석 및 향후 교육 시사점 도출의 단계.
      본 연구는 향후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 측정 면에서의 과제를 제시한다. 현행 도덕과 교육은 국가 교육과정 설계상에서 효과 측정을 위한 명확한 구인을 설정하는 데 제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덕적 역량 개념을 도덕과 교육과정 속에 포함하기를 제안한다.
      번역하기

      현재 한국의 초・중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은 범교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덕과 교육은 학교 인성교육의 핵심 교과 역할을 수행한다. 왜냐하면 이론과 실천, 양성기관과 교...

      현재 한국의 초・중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은 범교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덕과 교육은 학교 인성교육의 핵심 교과 역할을 수행한다. 왜냐하면 이론과 실천, 양성기관과 교육과정 등에서 모든 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행 도덕과 교육의 일반적인 경향이 그러하듯이, 인성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효과 검증은 향후 교육을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성 측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주로 도덕 심리학 분야에서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의 도덕 심리학적 조류는 또 하나의 교과 이론에 안주하고 있다. 도덕 심리학에 대한 이해는 도덕과 교육에서 효과성 검증을 위한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현장 교사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검증 절차를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이 도덕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의 효과를 검증해 볼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의 절차에 따라 화면을 통해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단계를 제시한다. ①도덕과 성취기준 분석 및 관련 인성 구인 추출, ②측정 문항 선정 및 측정 실행, ③측정 결과 분석 및 향후 교육 시사점 도출의 단계.
      본 연구는 향후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 측정 면에서의 과제를 제시한다. 현행 도덕과 교육은 국가 교육과정 설계상에서 효과 측정을 위한 명확한 구인을 설정하는 데 제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덕적 역량 개념을 도덕과 교육과정 속에 포함하기를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용린, "한국인의 도덕성 발달 진단: 한국판 도덕판단력 검사의 개정 및 재표준화" 집문당 2011

      2 교육부, "학교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2013년 정책연구개발사업" 2013

      3 박균열, "중등 도덕과에서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통일교육 교수학습방법" 통일연구원 25 (25): 51-88, 2016

      4 Martin, D. W., "심리학 실험법"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0

      5 김민식, "심리학 실험법"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0

      6 김윤경,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도덕과 교육 활동의 효과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1) : 53-81, 2018

      7 박균열, "도덕적 판단력 도구 MJT의 한국적 표준화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49-275, 2014

      8 박균열, "도덕적 역량 검사도구(MCT)의 구성원리를 활용한 통일 · 안보의식측정도구 개발 기초 연구"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0 (60): 67-92, 2017

      9 Lind, G.,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 양서각 2017

      10 Rest, J. R., "도덕발달 이론과 연구: 도덕 판단력, 행동, 문화 그리고 교육" 학지사 2008

      1 문용린, "한국인의 도덕성 발달 진단: 한국판 도덕판단력 검사의 개정 및 재표준화" 집문당 2011

      2 교육부, "학교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2013년 정책연구개발사업" 2013

      3 박균열, "중등 도덕과에서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통일교육 교수학습방법" 통일연구원 25 (25): 51-88, 2016

      4 Martin, D. W., "심리학 실험법"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0

      5 김민식, "심리학 실험법"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0

      6 김윤경,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도덕과 교육 활동의 효과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1) : 53-81, 2018

      7 박균열, "도덕적 판단력 도구 MJT의 한국적 표준화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49-275, 2014

      8 박균열, "도덕적 역량 검사도구(MCT)의 구성원리를 활용한 통일 · 안보의식측정도구 개발 기초 연구"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0 (60): 67-92, 2017

      9 Lind, G.,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 양서각 2017

      10 Rest, J. R., "도덕발달 이론과 연구: 도덕 판단력, 행동, 문화 그리고 교육" 학지사 2008

      11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2 박균열, "도덕 판단력 측정도구 MJT의 특징과 활용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3) : 125-162, 2006

      13 성태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