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석노, "헌법적 합의에 기초한 한국 학교 시민교육의 과제" 4 (4): 121-152, 2017
2 심성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연구원 (67) : 93-122, 2017
3 영국시민교육자문위원회, "크릭 보고서: 학교 시민교육과 민주주의" 민주화기념사업회 1998
4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5 심성보, "사람다움과 시민다움의 조화를 통한 ‘민주적’ 시민교육의 모색-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크릭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7) : 253-282, 2018
6 Schiele, S., "보이텔스바흐 협약은 충분한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9
7 허프포스트코리아, "보이텔스바하 원칙에 비추어본 세월호 계기수업 논란"
8 설규주,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153-179, 2018
9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교육부 2018
10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 홍석노, "헌법적 합의에 기초한 한국 학교 시민교육의 과제" 4 (4): 121-152, 2017
2 심성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연구원 (67) : 93-122, 2017
3 영국시민교육자문위원회, "크릭 보고서: 학교 시민교육과 민주주의" 민주화기념사업회 1998
4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5 심성보, "사람다움과 시민다움의 조화를 통한 ‘민주적’ 시민교육의 모색-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크릭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7) : 253-282, 2018
6 Schiele, S., "보이텔스바흐 협약은 충분한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9
7 허프포스트코리아, "보이텔스바하 원칙에 비추어본 세월호 계기수업 논란"
8 설규주,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153-179, 2018
9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교육부 2018
10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1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2 정창우,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 도서출판 풀빛 2018
13 중앙일보, "내용은 같은데 보수는 인성교육, 진보는 민주시민교육?"
14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15 장은주, "‘형성적 기획’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방향과 초점" 한국학연구원 (67) : 7-36, 2017
16 Johnson, L., "Towards a framework for critical citizenship education" 21 (21): 56-83, 2010
17 Noddings, N.,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Teachers College Press 2016
18 Rawls, J., "Political Liber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19 Peters, R. S., "Moral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George Allen & Unwin 1981
20 Gallie, W. B.,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s" 56 : 167-198, 1956
21 Halstead, J. M., "Citizenship and Moral Educatio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