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본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A Study o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from the View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8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2015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review is a controversial task. This is becaus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recently emerged as the hottest issue in Korea's political and educational sectors. In various perspectives of democratic civil education (Beutelsbacher Konsens, Crick’s Report, etc.), this study reviews and evaluates the 2015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curriculum or with the curriculum of other subjects, if necessary. The Moral Subject can and shoul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y utilizing the know-how of developing and teaching a separate subject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past and strengthening and systemizing elements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2015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review is a controversial task. This is becaus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recently emerged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2015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review is a controversial task. This is becaus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recently emerged as the hottest issue in Korea's political and educational sectors. In various perspectives of democratic civil education (Beutelsbacher Konsens, Crick’s Report, etc.), this study reviews and evaluates the 2015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curriculum or with the curriculum of other subjects, if necessary. The Moral Subject can and shoul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y utilizing the know-how of developing and teaching a separate subject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past and strengthening and systemizing elements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토는 논쟁적인 과업이다. ‘민주시민교육’이 최근 한국의 정치 및 교육 분야에서 가장 뜨거운 쟁점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의 다양한 관점(보이텔스바흐 합의, 크릭 보고서 등)에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필요한 경우 이전 교육과정이나 다른 교과의 교육과정과 비교하면서) 검토하여 평가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덕과는 과거 민주시민교육만을 위한 과목을 개발하여 가르친 노하우를 활용하고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반영되어 있는 민주시민교육 관련 요소들을 강화하고 체계화하여 민주시민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토는 논쟁적인 과업이다. ‘민주시민교육’이 최근 한국의 정치 및 교육 분야에서 가장 ...

      본 연구의 목적은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토는 논쟁적인 과업이다. ‘민주시민교육’이 최근 한국의 정치 및 교육 분야에서 가장 뜨거운 쟁점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의 다양한 관점(보이텔스바흐 합의, 크릭 보고서 등)에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필요한 경우 이전 교육과정이나 다른 교과의 교육과정과 비교하면서) 검토하여 평가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덕과는 과거 민주시민교육만을 위한 과목을 개발하여 가르친 노하우를 활용하고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반영되어 있는 민주시민교육 관련 요소들을 강화하고 체계화하여 민주시민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석노, "헌법적 합의에 기초한 한국 학교 시민교육의 과제" 4 (4): 121-152, 2017

      2 심성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연구원 (67) : 93-122, 2017

      3 영국시민교육자문위원회, "크릭 보고서: 학교 시민교육과 민주주의" 민주화기념사업회 1998

      4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5 심성보, "사람다움과 시민다움의 조화를 통한 ‘민주적’ 시민교육의 모색-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크릭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7) : 253-282, 2018

      6 Schiele, S., "보이텔스바흐 협약은 충분한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9

      7 허프포스트코리아, "보이텔스바하 원칙에 비추어본 세월호 계기수업 논란"

      8 설규주,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153-179, 2018

      9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교육부 2018

      10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 홍석노, "헌법적 합의에 기초한 한국 학교 시민교육의 과제" 4 (4): 121-152, 2017

      2 심성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연구원 (67) : 93-122, 2017

      3 영국시민교육자문위원회, "크릭 보고서: 학교 시민교육과 민주주의" 민주화기념사업회 1998

      4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5 심성보, "사람다움과 시민다움의 조화를 통한 ‘민주적’ 시민교육의 모색-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크릭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7) : 253-282, 2018

      6 Schiele, S., "보이텔스바흐 협약은 충분한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9

      7 허프포스트코리아, "보이텔스바하 원칙에 비추어본 세월호 계기수업 논란"

      8 설규주,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153-179, 2018

      9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교육부 2018

      10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1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2 정창우,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 도서출판 풀빛 2018

      13 중앙일보, "내용은 같은데 보수는 인성교육, 진보는 민주시민교육?"

      14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15 장은주, "‘형성적 기획’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방향과 초점" 한국학연구원 (67) : 7-36, 2017

      16 Johnson, L., "Towards a framework for critical citizenship education" 21 (21): 56-83, 2010

      17 Noddings, N.,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Teachers College Press 2016

      18 Rawls, J., "Political Liber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19 Peters, R. S., "Moral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George Allen & Unwin 1981

      20 Gallie, W. B.,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s" 56 : 167-198, 1956

      21 Halstead, J. M., "Citizenship and Moral Education" Routled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