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ㆍ일 한자어 접미사 「-風」의 의미적 결합관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1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접미사 「-風」이 결합하는 연체수식구조의 용례를 통하 여 후행어기 N2의 의미 분포와 접미사 「-風」의 의미 범주를 관련지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어와 한국어의 용례를 각각 추출하여 N2의 의미 분포를 분석한 결과 「요리」「인 물」「음악」항목이 양국 간 빈도 수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일부 용례를 제시하여 한국어와 일본어 속에서 「-風」이 어떠한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차이점을 지니는지 비교 대조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요리 항목에 있어서는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높은 결합도를 보였으며 「-風」 의 의미 범주 또한 ①양식, 분위기를 첨가하는 용법과 ②비유적인 용법 등 다양하게 나 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인물 항목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가 공통적으로 「-風」이 비유의 용법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악 항목에서는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높은 결 합도를 보였으며 이는 특정 가수나 곡명에 「-風」을 붙이는 구조가 일본어에서는 드물 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아직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의 「-風」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 이며 유사한 의미 범주를 가지고 있는 양국의 「-風」에 대한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접미사 「-風」이 결합하는 연체수식구조의 용례를 통하 여 후행어기 N2의 의미 분포와 접미사 「-風」의 의미 범주를 관련지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

      본고는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접미사 「-風」이 결합하는 연체수식구조의 용례를 통하 여 후행어기 N2의 의미 분포와 접미사 「-風」의 의미 범주를 관련지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어와 한국어의 용례를 각각 추출하여 N2의 의미 분포를 분석한 결과 「요리」「인 물」「음악」항목이 양국 간 빈도 수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일부 용례를 제시하여 한국어와 일본어 속에서 「-風」이 어떠한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차이점을 지니는지 비교 대조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요리 항목에 있어서는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높은 결합도를 보였으며 「-風」 의 의미 범주 또한 ①양식, 분위기를 첨가하는 용법과 ②비유적인 용법 등 다양하게 나 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인물 항목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가 공통적으로 「-風」이 비유의 용법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악 항목에서는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높은 결 합도를 보였으며 이는 특정 가수나 곡명에 「-風」을 붙이는 구조가 일본어에서는 드물 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아직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의 「-風」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 이며 유사한 의미 범주를 가지고 있는 양국의 「-風」에 대한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ed to contemplate the semantic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 suffix 「fu」 in terms of semantic combination from the adnominal modifier constructions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Analyzing semantic categories of the following base(N2) from examples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it was verified that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erms of frequency of items of food, person and music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this three items as the cent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fu」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were attempted to compare. As a result, in the fields of food, the degree of combination in Japanese were higher than Korean. Also, it was determined that semantic categories of 「fu」 are shown in two different usage, ①adding the form or atmosphere, ②metaphorical expression. In the fields of person, 「fu」 is used in the usage of metaphorical expression in comm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the fields of music, the degree of combination in Korean were higher than Japanese. This is assumed that the structures combining 「fu」 with the specific singers or title of songs are rarely appear. It has not been studied on 「fu」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eaningful attempt in terms of comparative study on 「fu」 that have the similar semantic categories.
      번역하기

      This study started to contemplate the semantic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 suffix 「fu」 in terms of semantic combination from the adnominal modifier constructions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Analyzing semantic categories of the following b...

      This study started to contemplate the semantic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 suffix 「fu」 in terms of semantic combination from the adnominal modifier constructions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Analyzing semantic categories of the following base(N2) from examples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it was verified that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erms of frequency of items of food, person and music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this three items as the cent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fu」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were attempted to compare. As a result, in the fields of food, the degree of combination in Japanese were higher than Korean. Also, it was determined that semantic categories of 「fu」 are shown in two different usage, ①adding the form or atmosphere, ②metaphorical expression. In the fields of person, 「fu」 is used in the usage of metaphorical expression in comm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the fields of music, the degree of combination in Korean were higher than Japanese. This is assumed that the structures combining 「fu」 with the specific singers or title of songs are rarely appear. It has not been studied on 「fu」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eaningful attempt in terms of comparative study on 「fu」 that have the similar semantic catego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선행연구 검토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1. 서론
      • 2. 선행연구 검토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4.1. 요리 항목의 경우
      • 4.2. 인물 항목의 경우
      • 4.3. 음악 항목의 경우
      • 5.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荒川清秀, "-性 -式 -風" 明治書院 5 (5): 85-91, 1986

      2 노명희, "접미사 부류의 탈문법화 양상" 반교어문학회 (35) : 129-164, 2013

      3 이양혜, "국어 의존명사의 접사화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8 (8): 117-139, 2001

      4 노명희, "구에 결합하는 접미한자어의 의미와 기능" 한국어의미학회 13 : 69-96, 2003

      5 山下喜代, "日本語学習のための辞書─「漢語接辞用法辞典」の構想" 早稲田大学日本語学会 14 : 96-107, 2005

      6 林慧君, "日本学研究叢書6 現代日本語造語の諸相" 臺大出版中心 77-111, 2013

      7 景山太郎, "文法と語形成" ひつじ書房 1993

      8 阪倉篤義, "接辞とは" 明治書院 5 (5): 4-10, 1986

      9 鈴木英夫, "接辞、接頭語接尾語" 明治書院 9 (9): 52-56, 1990

      10 山下喜代, "字音接尾辞「式風的」の意味─プロトタイプとスキーマ─" 青山学院大学日本文学会 41 : 130-142, 2011

      1 荒川清秀, "-性 -式 -風" 明治書院 5 (5): 85-91, 1986

      2 노명희, "접미사 부류의 탈문법화 양상" 반교어문학회 (35) : 129-164, 2013

      3 이양혜, "국어 의존명사의 접사화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8 (8): 117-139, 2001

      4 노명희, "구에 결합하는 접미한자어의 의미와 기능" 한국어의미학회 13 : 69-96, 2003

      5 山下喜代, "日本語学習のための辞書─「漢語接辞用法辞典」の構想" 早稲田大学日本語学会 14 : 96-107, 2005

      6 林慧君, "日本学研究叢書6 現代日本語造語の諸相" 臺大出版中心 77-111, 2013

      7 景山太郎, "文法と語形成" ひつじ書房 1993

      8 阪倉篤義, "接辞とは" 明治書院 5 (5): 4-10, 1986

      9 鈴木英夫, "接辞、接頭語接尾語" 明治書院 9 (9): 52-56, 1990

      10 山下喜代, "字音接尾辞「式風的」の意味─プロトタイプとスキーマ─" 青山学院大学日本文学会 41 : 130-142, 2011

      11 山下喜代, "字音形態素「〜風」について" 青山学院大学日本文学会 28 : 151-162, 1998

      12 林慧君, "字音形態素 風 の接尾辞的用法 ─日中対照分析を通して─" 台灣日本語文学会 30 : 319-343,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9 0.4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