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후 영국의 보편적 복지국가의 발전 조건과 전환 = Conditions of Development, Institutionaliz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Postwar British Welfare St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913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포괄적이고 보편적 성격을 갖는 복지제도를 발전시켰으며, 이를 지탱할 수 있는 질적 성장과 산업 경쟁력의 경제적 기반을 필요로 했다. 그러나 전후 영국의 경...

      영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포괄적이고 보편적 성격을 갖는 복지제도를 발전시켰으며, 이를 지탱할 수 있는 질적 성장과 산업 경쟁력의 경제적 기반을 필요로 했다. 그러나 전후 영국의 경제 전략과 정책은 공급중시 전략보다 재정지출 확대를 통한 수요촉진 및 경기대응 전략에 치중하여, 경제의 효율성 및 생산성 제고, 질 높은 교육, 노사관계 개혁, 규제개혁 등을 달성하지 못했다. 복지국가 발전에 핵심적인 정치사회적 조건이 충족된 환경에서 시작된 영국의 보편적 복지국가는 1950~60년대의 누적된 경제의 비효율과 저생산성으로 인해 1970년대의 경제위기를 겪게 되었고, 이에 따른 정치사회적 위기로 인해 체제 수준의 복지국가 제도화에 실패했다. NHS와 같은 보편적 의료서비스제도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이후 국가 복지제도는 약화되었고, 낮은 수준의 선별적 소득보장과 시장화된 사회서비스라는 자유주의적 복지국가로의 전환이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지국가의 주요 이론적 가설인 권력자원론과 복지동맹론이 영국 복지 국가의 형성기를 설명하는 데는 유용하나 제도화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본주의적 축적이라는 경제적 조건은 복지국가의 제도화와 지속에 중요한 필요조건임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Labour government built the universal welfare system of social benefits and services on the basis of the Beveridge plan. The postwar British welfare state encompassed all typical risks of income security and protected t...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Labour government built the universal welfare system of social benefits and services on the basis of the Beveridge plan. The postwar British welfare state encompassed all typical risks of income security and protected the entire population with a state guaranteed same standard of living and a universal social service of the National Health Service, among others. The postwar British welfare state, in combination with Keynesian general economic policy, resulted in a less productive social policy, a less effective regulation policy and an inadequate adjustment of the British economy to the changing global economy. The comparatively low productivity of the British industry and its declining competitiveness were mainly the result of failures in the area of public support for productivity. The 1970s was a decade of crisis with the longstanding economic crisis eventually leading to a socio-political crisis in which the state appeared to be ungovernable and was effectively bankrupt in 1976. Since the 1980s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 of the production of welfare in Britain has been changed toward the distributory power of the markets and means-tested and minimum benefits. British experience shows that power resources and class coalition theories can explain the formation of the welfare state but no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welfare sta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수, "제3의 길과 포스트대처리즘 : 서유럽이 갈 길인가"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6 (26): 60-78, 2002

      2 김기덕, "영국의 소득분배 변화에 관한 연구: 세계의 사회복지 1" (31) : 168-187, 1996

      3 김수완, "영국의 공적연금개혁: 복지국가의 전략적 선택과 평가" 11 (11): 233-274, 2004

      4 김인춘, "영국의 경험 : 양당제와 자유주의의 사회화" (20) : 166-203, 1994

      5 원석조, "영국복지국가의 성립 배경에 관한 연구" 10 : 9-42, 2000

      6 권혁주, "영국복지 개혁의 소득재분배 효과 : 쎄처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1979-1991)" 32 (32): 27-43, 1998

      7 최진우, "영국과 유럽통합: EU 사회정책과 영국의 對 EU 정책의 변화와 연속성" 한국유럽학회 29 (29): 97-124, 2011

      8 오영달, "영국 정치제도 발전의 역사적 배경, In 유럽 정치" 백산서당 217-248, 2004

      9 고세훈, "영국 정치와 국가복지 : 신(New) 자유주의에서 신(Neo) 자유주의로" 집문당 2011

      10 유현석, "영국 정치 경제의 구조와 흐름, In 유럽 정치" 백산서당 269-298, 2004

      1 김현수, "제3의 길과 포스트대처리즘 : 서유럽이 갈 길인가"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6 (26): 60-78, 2002

      2 김기덕, "영국의 소득분배 변화에 관한 연구: 세계의 사회복지 1" (31) : 168-187, 1996

      3 김수완, "영국의 공적연금개혁: 복지국가의 전략적 선택과 평가" 11 (11): 233-274, 2004

      4 김인춘, "영국의 경험 : 양당제와 자유주의의 사회화" (20) : 166-203, 1994

      5 원석조, "영국복지국가의 성립 배경에 관한 연구" 10 : 9-42, 2000

      6 권혁주, "영국복지 개혁의 소득재분배 효과 : 쎄처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1979-1991)" 32 (32): 27-43, 1998

      7 최진우, "영국과 유럽통합: EU 사회정책과 영국의 對 EU 정책의 변화와 연속성" 한국유럽학회 29 (29): 97-124, 2011

      8 오영달, "영국 정치제도 발전의 역사적 배경, In 유럽 정치" 백산서당 217-248, 2004

      9 고세훈, "영국 정치와 국가복지 : 신(New) 자유주의에서 신(Neo) 자유주의로" 집문당 2011

      10 유현석, "영국 정치 경제의 구조와 흐름, In 유럽 정치" 백산서당 269-298, 2004

      11 강원택, "영국 사회정책의 변화 : 신노동당과 ‘일을 위한 복지’, In 세계화와 복지국가: 사회정책의 대전환" 나남출판 177-202, 2001

      12 김윤태, "영국 복지국가의 전환: 사회정책의 한계와 가능성"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 171-196, 2005

      13 노서경, "영국 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 비평사 2000

      14 신정완, "스웨덴의 시스타 사이언스 시티(Kista Science City)의 성공 요인: 산업정책 및 지역발전정책의 변화와 스웨덴 모델의 효과를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1) : 175-201, 2012

      15 김인춘, "스웨덴모델, 독점자본과 복지국가의 공존" 삼성경제연구소 2007

      16 유모토 켄지, "스웨덴 패러독스 : 선진복지 대한민국을 위한 단 하나의 롤 모델" 김영사 2011

      17 김성수, "산업정책과 복지정책의 조화와 갈등: 독일 생산체제의 세계화 대응" 서울행정학회 14 (14): 2004

      18 홍기빈, "비그 포르스, 복지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 책세상 2011

      19 고세훈, "복지와 노동(권력): 이론, 경쟁력 담론, 한국적 함의" 2012

      20 김영순, "복지동맹 문제를 중심으로 본 보편적 복지국가의 발전 조건: 영국·스웨덴의 비교와 한국에의 함의" 한국정치학회 46 (46): 337-358, 2012

      21 김수완, "복지국가 재편의 경로의존성 : 공적연금 제도구조와 급여관대성 및 지출수준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433-461, 2011

      22 강원택, "보수정치는 어떻게 살아남았나: 영국 보수당의 역사" 동아시아연구원 2008

      23 김상수, "보수와 진보 : 이념을 넘어선 영국의 현실 정치" 책세상 2008

      24 이강국, "민영화정책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영국 대처정권의 정책경험이 주는 시사점"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5 박윤영, "노무현 정부의 주거정책 성격"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2) : 45-78, 2011

      26 이준구, "경제학 원론 2" 법문사 1998

      27 찰스 P.킨들버거, "경제강대국흥망사 :1500-1990" 까치글방 2004

      28 조영훈, "‘제 3의 길’ 복지정책과 영국복지국가의 변화" 국제지역학회 8 (8): 234-253, 2004

      29 Clayton, Richard, "Welfare-State Retrenchment Revisited: Entitlement Cuts, Public Sector Restructuring, and Inegalitarian Trends in Advanced Capitalist Societies" 51 (51): 67-98, 1998

      30 Connell, Andrew, "Welfare Policy under New Labour: The Politics of Social Security Reform" I.B. Tauris 2011

      31 Galal, Ahmed, "Welfare Consequences of Selling Public Enterprises: An Empirical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2 Margarita Estevez-Abe, "Varieties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3 Thelen, Kathleen, "Varieties of Capitalism: Trajectories of Liberalization and the New Politics of Social Solidarity" 15 : 137-159, 2012

      34 Kohl, Jürgen, "Trends and Problems in Postwar Public Expenditure Development in Western Europe and North America, In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s in Europe and America" Transaction Books 307-344, 1981

      35 Jessop, Bob, "Towards a Schumpeterian Workfare State? Preliminary Remarks on Post-Fordist Political Economy" 40 : 7-40, 1993

      36 Lowe, Rodney, "The Welfare State in Britain since 1945" Palgrave Macmillan 1993

      37 Gough, Ian, "The United Kingdom, In Can the Welfare State Compete?: A Comparative Study of Five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Palgrave Macmillan 1991

      38 Riddel, Peter, "The Thatcher Decade: How Britain Has Changed During the1980s" Basil Blackwell 1989

      39 Delsen, Lei, "The Swedish Model: Partially Relevant for Other European Countries" 1990

      40 Peck, Jamie, "The Social Regulation of Uneven Development:‘Regulatory Deficit,’ England’s South East, and the Collapse ofThatcherism" 27 (27): 15-40, 1995

      41 Ringen, Stein, "The Possibility of Politics: A Study in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2 Foot, Paul, "The Politics of Harold Wilson" Penguin 1975

      43 Jessop, Bob, "The Politics of Flexibility: Restructuring State and Industry in Britain, Germany and Scandinavia" Edward Elgar 1991

      44 Fine, Ben, "The Peculiarities of the British Economy" Lawrence and Wishart 1985

      45 Hennock, E. P., "The Origin of the Welfare State in England and Germany,1850-1914: Social Policies Compar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46 Pontusson, Jonas, "The Limits to Social Democracy: Investment Politics in Swede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47 Gamble, Andrew, "The Free Economy and the Strong State: The Politics of Thatcherism" Palgrave Macmillan 1988

      48 Thane, Pat, "The Foundations of the Welfare State" Longman 1996

      49 Leys, Colin, "The Formation of British Capital" (160) : 114-120, 1986

      50 Eichengreen, Barry, "The European Economy since 1945: Coordinated Capitalism and Beyon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51 Polland, Sidney, "The Development of the British Economy, 1914-1967" Edward Arnold 1969

      52 Korpi, Walter, "The Democratic Class Struggle" Routledge 1983

      53 Thompson, Grahame, "The Conservative’s Economic Policy" Croom Helm 1986

      54 Atkinson, A.B., "The Changing Distribution of Earnings in OECD Count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55 Glyn, Andrew, "The British Economic Disaster" Pluto Press 1980

      56 Goldthorpe, John H., "The Affluent Worker in the Class Structure" CambridgeUniversity Press 1969

      57 Marshall, Thomas H., "Social Policy in the Twentieth Century, 5th edition" Hutchinson 1985

      58 Glyn, Andrew, "Social Democracy in Neoliberal Times: The Left and Economic Policy since 1980"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59 Card, David, "Seeking a Premier Economy: The Economic Effects of British Economic Reforms, 1980-200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

      60 Rhodes, Martin, "Restructuring the British Welfare State: Between Domestic Constraints and Global Imperatives, In Welfare and Work in the Open Economy, Vol. II: Diverse Response to Common Challenges" Oxford University Press 19-68, 2000

      61 Armstrong, Mark, "Regulatory Reform: Economic Analysis and British Experience" MIT Press 1994

      62 O’Higgins, Michael, "Public/Private Interaction and Pension Provision, In Public/Private Interplay in Social Protection: A Comparative Study" M. E. Sharpe 99-148, 1986

      63 Boix, Carles, "Political Parties, Growth and Equality: Conservative and Social Democratic Economic Strategies in the World Ec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64 Jones, Catherine, "Patterns of Social Policy: An Introduction to Comparative Analysis" Tavistock Publications 1985

      65 Clark, Tom, "Long-Term Trends in British Taxation and Spending" The Institute for Fiscal Studies 2002

      66 Deakin, Simon, "Labour Law during and after Neoliberalism" 2012

      67 Clarke, Simon, "Keynesianism, Monetarism and the Crisis of the State" Edward Elgar 1988

      68 Hall, Peter A., "Governing the Economy: The Politics of State Intervention in Britain and Fra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69 Burk, Kathleen, "Goodbye, Great Britain: The 1976 IMF Crisis" Yale University Press 1992

      70 Overbeek, Henk, "Global Capitalism and National Decline: The Thatcher Decade in Perspective" Unwin Hyman 1990

      71 Clark, Ian, "Employer Resistance to the Fordist Production Process:‘Flawed Fordism’ in Post-War Britain" 15 (15): 28-52, 2001

      72 Marklund, Staffan, "Dual Welfare: Segmentation and Work Enforcement in the Swedish Welfare System" University of Umea 1987

      73 Majone, Giandomenico, "Deregulation or Re-regulation?: Regulatory Reform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Pinter 1990

      74 Jessop, Bob, "Conservative Regime and the Transition to Post-Fordism: The Cases of Great Britain and West Germany, In Capitalist Development and Crisis Theory: Accumulation, Regulation, and Spatial Restructuing" Palgrave Macmillan 261-299, 1989

      75 Halsey, A. H., "Change in British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76 Ryner, J. Magnus, "Capitalist Restructuring, Globalisation and the Third Way: Lessons from the Swedish Model" Routledge 2002

      77 Pfaller, Alfred, "Can the Welfare State Compete?: A Comparative Study of Five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Palgrave Macmillan 1991

      78 Bean, Charles, "British Economic Growth since 1945: Relative Economic Decline... and Renaissance?, In Economics Growth in Europe since 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1-172, 1994

      79 Coates, David, "Britain in the 1970s: Economic Crisis and the Resurgence of Radicalism, In Politics, Policy and the European Recession" Palgrave Macmillan 141-166, 1982

      80 Jessop, Bob, "Authoritarian Populism: Two Nations and Thatcherism" (147) : 33-60, 1984

      81 Pelling, Henry, "A Short History of the Labour Party" Palgrave Macmillan 1976

      82 Marr, Andrew, "A History of Modern Britain" Palgrave Macmillan 2007

      83 김보영, "1980/90년대 영국 보수당 정부 사회서비스 개혁에 대한 재조명: 정치사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67-19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