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프랜차이즈기업 직원들이 지각하는 심리적 자본과 내재적 직무동기,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Intrinsic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Franchise Employe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8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f franchise employees on intrinsic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verify the hypotheses, I collected 186 data from franchise employe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erived by means of SPSS version 23.0.0 statistics package and Amos 2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s: First Self efficacy, hope, resili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had meaningful effect on intrinsic job motivation. but optimism of psychological capital had not meaningful effect on intrinsic job motivation. Second, Self efficacy, hope, resili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had not meaningful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optimism had meaningful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Intrinsic job motivation had meaningful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To put it concretely, Intrinsic job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Intrinsic job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f franchise employees on intrinsic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verify the hypotheses, I collected 186 data from franchise employees and statis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f franchise employees on intrinsic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verify the hypotheses, I collected 186 data from franchise employe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erived by means of SPSS version 23.0.0 statistics package and Amos 2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s: First Self efficacy, hope, resili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had meaningful effect on intrinsic job motivation. but optimism of psychological capital had not meaningful effect on intrinsic job motivation. Second, Self efficacy, hope, resili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had not meaningful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optimism had meaningful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Intrinsic job motivation had meaningful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To put it concretely, Intrinsic job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Intrinsic job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분야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조직에 대하여 지각하는 심리적 자본이 자신들의 직무동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프랜차이즈 본부의 경영진에게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프랜차이즈 본부에 근무하는 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2019년 2월 11일부터 2019년 3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0부의 설문지 중 응답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14부를 제외한 186부의 유효표본에 대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심리적 자본의 4개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희망, 탄력성은 내재적 직무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낙천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자본의 자기효능감, 희망, 탄력성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낙천성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직무동기는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내재적 직무동기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직의도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 본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분야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조직에 대하여 지각하는 심리적 자본이 자신들의 직무동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분야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조직에 대하여 지각하는 심리적 자본이 자신들의 직무동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프랜차이즈 본부의 경영진에게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프랜차이즈 본부에 근무하는 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2019년 2월 11일부터 2019년 3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0부의 설문지 중 응답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14부를 제외한 186부의 유효표본에 대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심리적 자본의 4개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희망, 탄력성은 내재적 직무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낙천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자본의 자기효능감, 희망, 탄력성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낙천성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직무동기는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내재적 직무동기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직의도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 본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동,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 고객지향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23-46, 2018

      2 김기성,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20 (20): 1-27, 2016

      3 박종철, "호텔기업의 지적자본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6 (36): 217-236, 2012

      4 정규엽, "호텔·외식·관광 마케팅" 연경문화사 2013

      5 김형섭,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19 (19): 12-224, 2005

      6 여인주, "호텔 종사원들의 고용불안정성에 대한 지각과 조직신뢰,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외식경영학회 16 (16): 237-260, 2013

      7 허정,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심리적 자본이 내재적 직무동기, 혁신행동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419-440, 2015

      8 권기준, "호텔 레스토랑 종사원이 지각하는 직무착근도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4 (14): 21-40, 2012

      9 정민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직무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10 (10): 201-220, 2012

      10 유민봉, "한국인사행정론" 문영사 2000

      1 김경동,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 고객지향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23-46, 2018

      2 김기성,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20 (20): 1-27, 2016

      3 박종철, "호텔기업의 지적자본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6 (36): 217-236, 2012

      4 정규엽, "호텔·외식·관광 마케팅" 연경문화사 2013

      5 김형섭,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19 (19): 12-224, 2005

      6 여인주, "호텔 종사원들의 고용불안정성에 대한 지각과 조직신뢰,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외식경영학회 16 (16): 237-260, 2013

      7 허정,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심리적 자본이 내재적 직무동기, 혁신행동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419-440, 2015

      8 권기준, "호텔 레스토랑 종사원이 지각하는 직무착근도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4 (14): 21-40, 2012

      9 정민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직무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10 (10): 201-220, 2012

      10 유민봉, "한국인사행정론" 문영사 2000

      11 이규태, "특1급 호텔 식음료 직원의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다차원적 관계 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347-364, 2012

      12 권기준, "조직후원인식이 신뢰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체인레스토랑 VIPS 직원들을 대상으로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153-170, 2009

      13 김성필, "이벤트 종업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직무착근도(job embeddedness)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6 (6): 27-44, 2008

      14 한혜숙, "외식산업 종사원의 내재적 직무동기가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4 (24): 175-198, 2015

      15 양필석,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내재적 직무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8 (18): 149-172, 2011

      16 박상하,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가치가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6 (16): 99-120, 2009

      17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 0" 법문사 2011

      18 Christian, M. S., "Work engagemen : A quantitative review and test of its relations with task and conceptual performance" 64 (64): 89-136, 2011

      19 Locke, E. A., "What should we do about motivation theory? Six recommendations for the rwenty-first century" 29 (29): 388-403, 2004

      20 Deci, E. 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11): 227-268, 2000

      21 Luthans, F.,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23 : 695-706, 2002

      22 Griffin, M., "Side-bets and reciprocity as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orrectional officers" 33 (33): 611-625, 2005

      23 Wildes, V. J., "Should I stay or should I go? Motivation to work in foodservice" 11 (11): 286-294, 2008

      24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25 Stajkovic, A. D., "Self-efficacy and work-related performance: A mea-analysis" 44 : 580-590, 1998

      26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08

      27 Luthans, F.,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8 Price, J. L., "Professional Turnover ; The case of Nurses" SP medical and scientific 1981

      29 Porter, L. W.,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o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80 : 151-176, 1973

      30 O'Reilly Ⅲ, C.,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attachment : The effects of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on pro-social behave" 71 (71): 492-499, 1986

      31 Osborn, R. N., "Organization Theory; An Integrative approach" John Wiley and Sons Inc 15-, 1986

      32 Avey, J. B.,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 attitude, behavior and performance" 22 (22): 127-152, 2011

      33 Seligman, M. E. P, "Learned optimism" Pocket books 1998

      34 Parsons, E., "Job motivation and satisfaction: Unpacking the key factors for charity shop managers" 13 (13): 121-131, 2006

      35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85

      36 Dermody, M. B., "Identifying job motivation factors of restaurant servers: insight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recruitment and retention strategies" 5 (5): 1-14, 2004

      37 Salazar, J., "Food service employee satisfaction and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food safety" 4 (4): 93-108, 2005

      38 Luthans, F.,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33 (33): 321-349, 2007

      39 Angle, H., "Dual commitment and labor management relationship climates" 29 (29): 31-50, 1986

      40 Avey, J. B., "Can positive employees help positive organizational chang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emotions on relevant attitudes and behaviors" 44 (44): 48-70, 2008

      41 Saks, A. M.,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engagement" 21 (21): 600-619, 2006

      42 Mathieu, J. E.,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108 (108): 171-194, 1990

      43 Meyer, J. P.,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1 : 61-89, 1991

      44 Anold, H. J., "A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job turnover" 67 : 350-360,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