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대학 부속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7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연령이 31세 이상이 41명으로 42.3%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 에서 30세 이상이 44%를 차지한 것과 비슷한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Rhu(1996)의 연구에...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연령이 31세 이상이 41명으로 42.3%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 에서 30세 이상이 44%를 차지한 것과 비슷한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Rhu(1996)의 연구에서 28.4%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직 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전문직으로서의 발전에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보여진다. 최종학력은 전문 대학이 45.4%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연구에서 47.83%을 차지한 것과는 비슷한 결과였으나 Rhu(1996)의 연구에서 전문대학이 73.2%와 Park(1997)의 연구에서 66.7%를 차지한 것과 비교해 볼 때는 많이 감소되었다. 이 는 간호사들이 학사학위 취득기회나 대학원의 진학 기회가 넓어지고 있으며 일반간호사에게도 학사학위 이상을 필요로 하는 현대 간호교육과 실무의 영향이라고 사료된다. 이는 자기발전의 기회가 되며 전문직 발전에도 중요한 계기가 되므로 계속교육은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상태에서는 미혼과 기혼이 거의 비슷하게 차지하고 있어 결혼이 간호직을 수행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고 있으며 결혼후에도 계속적으로 간호직을 수행할 수 있어 전문직으로서 그 자리를 굳건히 하고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근무병동은 내, 외과병동이 59.8%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결과와 비슷하였으며 내, 외과 병동이 가장 큰 주요부서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근무경력은 10년 이하가 73.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10년 이후에는 간호직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승진의 기회가 적고 경력이 많아지면 퇴직을 하게되는 행정상의 결과라고 사료된다. 월급여은 300만원 미만이 67명으로 69.1%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근무경력이 10년이하가 대부분(73.2%)을 차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현 근무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이상이 35.1%를 차지하여 Kim(1998)의 연구에서 41.94% 보다는 낮은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이다가 거의 과반수(46.4%)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에서 47.57%와 비슷하였다. 이는 만족도가 정확히 구분되지않은 상태에서 현 근무형태에 연구대상자 스스로가 적응해가는 것으로 사료된다. 현근무부서에 대한 만족여부는 대부분(68.0%)이 만족하지 않고 있었는데, 이는 간호인사관리에서 간호사들을 근무부서에 배정할 때 간호사의 의사나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행정적으로 배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만족 영역별 점수를 비교해 볼 때 전문적 위치, 대인관계, 자율성순으로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에서 전문적 위치, 자율성, 대인관계 순으로 만족하고 있었던 것과 비슷한 결과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Lym 등(2001)의 연구와 Rhu(1996)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였다. 그리고 필수적 직무, 보수 및 승진, 행정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던 것은 Han과 Moon(1996)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직무만족 정도의 평균점수는 2.95점으로 나타났는데 Whang, Jeoung과 Joung(1998)의 연구에서 평균점수 2.88점과 유사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해 보면, 전문적 위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은 업무에 있어서 숙련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며, 자신들이 행하는 간호행위에 전문성과 관련된 자신감과 확신의 결과라고 사료된다. 또한 보수 및 승진 과 행정 영역이 만족도가 가장 낮은것은 근무경력이 높아져도 보수와 승진의 폭이 크지 않고 변화가 없기 때문이며 간호사들이 행정에 참여하는 기회가 적고 직원복지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며 문제발생시 행정체계가 잘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만족 문항별 점수를 비교해 볼 때 전체 39문항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필수적 직무 영역의 ‘근무하는 동안에 대체로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로 4.15점으로, 그 다음은 대인관계 영역의 ‘동료간호사들은 내가 바라는 만큼 친절하지도 사교적이지도 않다’로 4.05점으로, 전문적 위치영역의 ‘내가 하는 일은 중요하다는 점에 추호의 의심도 없다’ 로 4.01점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Choi과 Kim(2000), Kim(1998), 그리고 Joo(200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는 Herzberg(1977)의 만족요인으로 제시한 성취감, 안정감, 도전감, 책임감, 성장과 발전, 일 그자체의 성질을 반영해주는 항목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39문항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문항이 필수적 직무 영역의 ‘근무하는 동안에 대체로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 문항인 것이 상이하였다. 이는 최근 병원평가로 인하여 직접간호 제공기회가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낮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필수적 직무 영역의 ‘환자와 접촉할 시간이 많다면 휠씬 더 좋은 간호를 할 수 있을 것임’이 2.08점으로 가장 낮았고 그다음으로는 행정영역의 ‘행정직 정책 결정과정에 간호사를 위해 참여할 기회 충분히 있다’가 2.11점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중 특이한 것은 필수적 직무 영역의 ‘근무하는 동안에 대체로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 문항은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시에 같은 영역인 필수적 직무 영역의 ‘환자와 접촉할 시간이 많다면 휠씬 더좋은 간호를 할 수 있을 것임’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최근 병원평가로 인하여 직접간호 제공기회는 많아졌지만 직접간호제공시간은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연령이 직무만족도와의 차이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연령이 더 많은 군이 적은 연령군보다 직무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것은 Kim(1998)과 Park(2002)의 연구에서 연령이 많은 간호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았다고 보고한 연구결과들과 동일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영역별 직무만족 차이검증에서 보수 및 승진 영역에서 연령은 20-30세 군과 31-40세군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평균점수를 비교해 볼때 가장 젊은 층이 보수 및 승진영역에 만족을 더 가졌고 그다음으로는 연령층에서 가장 많은 군이 그다음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간 연령군이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장 젊은 층은 처음 시작하는 직장에 대한 의욕과 정열이 있고 가장 많은 연령군은 나이가 많은 상태에서도 일할 수 있다는 의욕과 감사로 인해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중간 연령군은 자신들의 의욕과 업적에 비해서 보수 및 승진의 기회가 없음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현 근무형태 만족도에서는 매우 만족하는 군과 불만족군, 매우 불만족군과의 차이때문인것으로 나타났는데 매우 만족해하는 군이 보수 및 승진영역에서도 가장 높게 만족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Park(2002)의 연구결과와 동일하였다. 경제여건은 약간 넉넉하다고 생각하는 군이 보수 및 승진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결과에서 매우 넉넉하다고 한 군이 보수 및 승진 영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가진 것과는 상이결과였다. 이상의 보수 및 승진영역에서 연구결과를 볼때 현 근무형태 만족도를 높힐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여 적용할 때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필수적 영역에서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그 외병동보다 필수적 직무에 대해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결과 유사한 것으로써 이는환자의 생명과 보다 직결되는 직무를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자율성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Kim(1998), Kim(2005) 그리고 Park(2002)의 연구에서 여러 특성이 자율성영역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과는 상이한 결과였다. 전문적 위치영역에서는 현 근무형태 만족도에 대해서 매우 만족하는 군과 불만족군, 매우 불만족하는 군과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1998)과 Kim(2005)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이었다.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연령이 가장 많은 군이, 월급여는 가장 많이 받고있는 군이 현 근무형태 만족도는 매우 만족해하는 군이 대인관계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Park(200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연령이 더 높고 월급은 더 많이 받고 현 근무형태에 대해서 매우 만족해하는 간호사는 대인관계에서 더 만족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정영역에서도 현 근무 형태에 대해서 매우 만족해하는 군이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여러 가지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 중에서 현 근무형태에 대한 만족도가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영역별 만족도에 가장 폭넓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현 근무형태에 대해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전체 결과를 통하여 직무만족도가 낮은 직무영역의 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접간호제공기회가 많아짐과 동시에 그에 적절하게 직접간호제공시간도 많이 주어지도록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방법을 구체적으로 강구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호사의 행정 영역의 참여기회를 높이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전문성과 관련된 자신감과 확신을 가지고 고객만족을 위한 확대된 역할수행을 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직무만족도를 높이기위해서는 현 근무형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and analyze abou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basic data to develop the professionals and improve productivities, effectiveness in nursing practice. Methods: Desig...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and analyze abou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basic data to develop the professionals and improve productivities, effectiveness in nursing practice. Methods: Design was the descriptive survey study. Sample were 97 nurses in K university hospital, and convenient sampling was used. Measures were job satisfaction of nurse for job satisfaction tool modified by Kim, S.N.(1998) and developed by Slavitt(1978).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05 to June 2005, and analyzed using SPSS PC+12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job. F-test, t-test, and x2 test were used for verification of differences. Results: 1. Scores in categories of job satisfaction were ranked for professional position(3.25), interpersonal relationship(3.19), autonomy(3.08), necessary job(2.88), payment and promotion(2.79), and administration(2.50) in order.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3.343, p=.040) and satisfaction for current job(F=10.331, p=.000) in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job. Conclusions: On the findings, authors suggest that more opportunities for direct nursing practice, appropriate time for the practice, and the intervention improving satisfaction for current job are need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