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말선초 <관음 지장병립도觀音地藏竝立圖>의 기원과 내포 의미 검토 = A Review on Origin of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觀音地藏竝立圖)>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and its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ddhist paintings named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 were created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resently, there are 4 paintings of 3 types created in the Late Goryeo and 1 painting created in 15C or early Joseon Era. This type of painting is peculiar in that such pattern is not found in Chinese and Japanese Buddhism. The Byeongjon(竝存, coexistence) of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began to appear from the Wei, Jin,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晋南北朝时期). However, in their coexistence of China, the positions of two Bodhisattvas were not constant. In addition, both the Bodhisattva did not stand up, but one of them stood up and the other sat down. By the way,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s> in Korea have the consistent pattern that Kṣitigarbha stands on the left and Avalokiteśvara on the right at all times. First, the pattern of the left-Kṣitigarbha and the right-Avalokiteśvara can be confirmed in <Amita Samjondo(阿彌陀三尊圖)> or <Amita Naeyeongdo(阿彌陀來迎圖)>, where Mahasthama-prapta is substituted by Kṣitigarbha. In other words, this shows the consistency that occurs in the emphasis of ancestor wor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Jujahag in late Goryeo period and the rise of Kṣitigarbha faith due to it as well as its combination with the Mita faith. Furthermore, the posture of standing along(竝立) can also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ir appearance as rescuers in the contemporary painting <Inrowang Bosaldo(引路王菩薩圖)>. Finally, the Byeongnip of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can reflect the universal concept of East-Asian Buddhism as “present-Avalokiteśvara and afterdeath-Kṣitigarbha” that was in vogue since the middle of Tang Dynasty. Therefore, from the view point of Bodhisattva faith in Mahayanist Buddhism,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 can be considered as a solution of Late Goryeo Buddhism that responded to the time demands on the peace in both life and afterlife.
      번역하기

      The Buddhist paintings named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 were created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resently, there are 4 paintings of 3 types created in the Late Goryeo and 1 painting created in 15C or early Joseon E...

      The Buddhist paintings named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 were created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resently, there are 4 paintings of 3 types created in the Late Goryeo and 1 painting created in 15C or early Joseon Era. This type of painting is peculiar in that such pattern is not found in Chinese and Japanese Buddhism. The Byeongjon(竝存, coexistence) of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began to appear from the Wei, Jin,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晋南北朝时期). However, in their coexistence of China, the positions of two Bodhisattvas were not constant. In addition, both the Bodhisattva did not stand up, but one of them stood up and the other sat down. By the way,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s> in Korea have the consistent pattern that Kṣitigarbha stands on the left and Avalokiteśvara on the right at all times. First, the pattern of the left-Kṣitigarbha and the right-Avalokiteśvara can be confirmed in <Amita Samjondo(阿彌陀三尊圖)> or <Amita Naeyeongdo(阿彌陀來迎圖)>, where Mahasthama-prapta is substituted by Kṣitigarbha. In other words, this shows the consistency that occurs in the emphasis of ancestor wor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Jujahag in late Goryeo period and the rise of Kṣitigarbha faith due to it as well as its combination with the Mita faith. Furthermore, the posture of standing along(竝立) can also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ir appearance as rescuers in the contemporary painting <Inrowang Bosaldo(引路王菩薩圖)>. Finally, the Byeongnip of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can reflect the universal concept of East-Asian Buddhism as “present-Avalokiteśvara and afterdeath-Kṣitigarbha” that was in vogue since the middle of Tang Dynasty. Therefore, from the view point of Bodhisattva faith in Mahayanist Buddhism,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 can be considered as a solution of Late Goryeo Buddhism that responded to the time demands on the peace in both life and after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말선초 <관음 지장병립도>는 고려 말기의 불화가 3종 4점, 그리고 조선 초인15C의 불화가 1점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는 동시대 중국과 일본불화에서는확인되지 않는 한국불화만의 특수한 측면이다.
      관음과 지장의 병존竝存은 중국의 위진남북조시대부터 확인된다. 그러나 중국의 병존에서는 좌우에 위치하는 보살이 일정하지 않다. 또 두 보살이 모두 서있지도 않으며, 좌상과 입상이 공존하기도 한다. 즉 병존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이확인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관음 지장병립도>는 ‘좌-지장, 우-관음’과 ‘병립竝立’이라는 동일성이 확인된다. 먼저 좌-지장, 우-관음의 구도는 지장이 세지를 대체하면서등장하는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나 <아미타내영도阿彌陀來迎圖>에서도 확인된다. 즉 이는 고려 후기 주자학의 전래에 따른 조상숭배의 강조와, 이로 인해강력해지는 지장신앙의 대두 및 미타신앙과의 결합 속에서 발생하는 일관성인것이다. 또 병립이라는 서 있는 자세 역시, 동시대의 <인로왕보살도> 등의 구제자적인 모습과 연관해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관음 지장병립도>는중국불교적 요소가 한국적인 변형을 거친 결과라고 하겠다.
      끝으로 관음과 지장의 병립은 ‘현세-관음, 사후-지장’이라는 당나라 중기 이후동아시아 불교의 보편적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므로 대승불교의 보살신앙관점에서, <관음 지장병립도>는 삶과 사후의 평안을 모두 원하는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한, 여말불교의 한 해법이었다고 하겠다. 즉 중국불교에서 선행한 병존의보편인식에 한국적인 시대적 요구가 반영되어 병립이라는 특수성이 완성되는것이다.
      번역하기

      여말선초 <관음 지장병립도>는 고려 말기의 불화가 3종 4점, 그리고 조선 초인15C의 불화가 1점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는 동시대 중국과 일본불화에서는확인되지 않는 한국불화만의 특...

      여말선초 <관음 지장병립도>는 고려 말기의 불화가 3종 4점, 그리고 조선 초인15C의 불화가 1점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는 동시대 중국과 일본불화에서는확인되지 않는 한국불화만의 특수한 측면이다.
      관음과 지장의 병존竝存은 중국의 위진남북조시대부터 확인된다. 그러나 중국의 병존에서는 좌우에 위치하는 보살이 일정하지 않다. 또 두 보살이 모두 서있지도 않으며, 좌상과 입상이 공존하기도 한다. 즉 병존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이확인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관음 지장병립도>는 ‘좌-지장, 우-관음’과 ‘병립竝立’이라는 동일성이 확인된다. 먼저 좌-지장, 우-관음의 구도는 지장이 세지를 대체하면서등장하는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나 <아미타내영도阿彌陀來迎圖>에서도 확인된다. 즉 이는 고려 후기 주자학의 전래에 따른 조상숭배의 강조와, 이로 인해강력해지는 지장신앙의 대두 및 미타신앙과의 결합 속에서 발생하는 일관성인것이다. 또 병립이라는 서 있는 자세 역시, 동시대의 <인로왕보살도> 등의 구제자적인 모습과 연관해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관음 지장병립도>는중국불교적 요소가 한국적인 변형을 거친 결과라고 하겠다.
      끝으로 관음과 지장의 병립은 ‘현세-관음, 사후-지장’이라는 당나라 중기 이후동아시아 불교의 보편적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므로 대승불교의 보살신앙관점에서, <관음 지장병립도>는 삶과 사후의 평안을 모두 원하는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한, 여말불교의 한 해법이었다고 하겠다. 즉 중국불교에서 선행한 병존의보편인식에 한국적인 시대적 요구가 반영되어 병립이라는 특수성이 완성되는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훈, "한국 지장신앙의 원류" 한국사상문화학회 (56) : 343-368, 2011

      2 문상련, "지장신앙의 전개와 신앙의례" 한국정토학회 (15) : 137-194, 2011

      3 한태식, "지장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정토학회 (15) : 9-47, 2011

      4 김복순, "원광법사의 행적에 관한 종합적 고찰" 신라문화연구소 (28) : 255-278, 2006

      5 염중섭, "신라시대 하곡현河曲縣의 문수신앙 전래시기 고찰" 한국국학진흥원 (36) : 197-229, 2018

      6 김아름, "관음·지장병립 도상의 연원과 당·송대의 관음·지장병립상"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5) : 307-333, 2015

      7 "開元釋敎錄 (「大正藏」 55)"

      8 "金剛頂瑜伽最勝祕密成佛隨求即得神變加持成就陀羅尼儀軌 (「大正藏」 20)"

      9 황금순, "觀音·地藏菩薩像의 來世救濟信仰" 미술사연구회 (19) : 59-86, 2005

      10 羽渓了諦, "羽渓博士米寿記念 - 仏教論説選集" 大藏出版社 1971

      1 김태훈, "한국 지장신앙의 원류" 한국사상문화학회 (56) : 343-368, 2011

      2 문상련, "지장신앙의 전개와 신앙의례" 한국정토학회 (15) : 137-194, 2011

      3 한태식, "지장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정토학회 (15) : 9-47, 2011

      4 김복순, "원광법사의 행적에 관한 종합적 고찰" 신라문화연구소 (28) : 255-278, 2006

      5 염중섭, "신라시대 하곡현河曲縣의 문수신앙 전래시기 고찰" 한국국학진흥원 (36) : 197-229, 2018

      6 김아름, "관음·지장병립 도상의 연원과 당·송대의 관음·지장병립상"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5) : 307-333, 2015

      7 "開元釋敎錄 (「大正藏」 55)"

      8 "金剛頂瑜伽最勝祕密成佛隨求即得神變加持成就陀羅尼儀軌 (「大正藏」 20)"

      9 황금순, "觀音·地藏菩薩像의 來世救濟信仰" 미술사연구회 (19) : 59-86, 2005

      10 羽渓了諦, "羽渓博士米寿記念 - 仏教論説選集" 大藏出版社 1971

      11 鄭炳三, "統一新羅 觀音信仰" 서울大學校 人文大學 8 : 1982

      12 "眾經目錄 (「大正藏」 55)"

      13 정성식, "晦軒 安珦의 朱子學 수용과 성격" 동양고전연구소 (17) : 221-245, 2009

      14 유현주, "晦軒 安珦의 朱子學 導入과 敎育的 活動" 한국사상문화학회 (85) : 277-304, 2016

      15 염중섭, "新羅五臺山의 정립에 있어서 文殊信仰과 華嚴" 한국정토학회 29 : 315-348, 2018

      16 呂徵, "新编汉文大藏经目录" 齐鲁书社 1980

      17 "斑鳩古事便覽 (「日本佛敎全書」 117)"

      18 宋本榮一, "敦煌畵拾遺1" 仏教芸術学会 28 : 1956

      19 河原由, "敦煌畵地藏圖資料" 仏教芸術学会 97 : 1974

      20 楊寶玉, "敦煌本佛敎靈驗記校注硏究" 甘肅人民出版社 2009

      21 廉仲燮, "慈藏의 傳記資料 硏究" 東國大學校 2015

      22 小林太市郞, "奈良朝の千手觀音" 仏教芸術学会 25 : 1955

      23 "大明重刊三藏聖教目錄 (C106)"

      24 "大方廣十輪經 (「大正藏」 13)"

      25 "大乘大集地藏十輪經 (「大正藏」 13)"

      26 "地藏菩薩本願經 (「大正藏」 13)"

      27 "地藏菩薩像靈驗記 (X87)"

      28 眞鍋廣濟, "地藏菩薩の硏究" 三密堂書店 1976

      29 金泰訓, "地藏信仰의 韓國的 變容에 관한 硏究" 圓光大學校 2009

      30 張總, "地藏Ⅰ - 經典과 文獻資料 硏究" 東國大學校出版部 2009

      31 朴魯俊, "唐代 五臺山信仰과 不空三藏" 關東大學校 嶺東文化硏究所 3 : 1988

      32 김상범, "唐代 五臺山 文殊聖地와 국가권력" 동양사학회 (119) : 51-84, 2012

      33 "佛說觀無量壽佛經 (「大正藏」 12)"

      34 "佛說地藏菩薩發心因緣十王經 (X1)"

      35 "代宗朝贈司空大辨正廣智三藏和上表制集 (「大正藏」 52)"

      36 "五臺山事蹟記"

      37 염중섭, "五臺山 文殊華嚴 신앙의 특수성 고찰" 한국불교학회 (63) : 7-40, 2012

      38 박부자, "三階敎의 普法普佛思想" 한국불교연구원 (48) : 203-235, 2018

      39 홍재성, "三階敎와 地藏信仰" 韓國淨土學會 5 : 2002

      40 矢吹慶輝, "三階敎の硏究" 岩波書店 1973

      41 "三國遺事 (「大正藏」 49)"

      42 염중섭, "『지장경』의 중국 유행시기와 인도문화권 찬술의 타당성 검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7) : 165-189, 2019

      43 曺福鉉, "『朱子家禮』의 著述과 韓國傳來時期의 社會的 背景 硏究 ―喪葬禮俗의 比較를 中心으로―" 중국사학회 19 : 111-156,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