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d ‘East Asian Discourse’. And this study tried to make the result as Methodology of Canon Study. Since 1990 years, ‘East Asian Discourse’ had been spread vigorously in the South Korea and China and Japan. Various attempts th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73122
허정 (동아대학교)
2010
Korean
동아시아론 ; 중심과 주변 ; 서구중심주의 ; 오리엔탈리즘 ; 정전연구 ; 창조적 결합 ; East Asian Discourse ; Center and Margin ; Eurocentrism ; Orientalism ; a Study of Canon ; Combine creatively
KCI등재
학술저널
215-241(27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East Asian Discourse’. And this study tried to make the result as Methodology of Canon Study. Since 1990 years, ‘East Asian Discourse’ had been spread vigorously in the South Korea and China and Japan. Various attempts tha...
This study analyzed ‘East Asian Discourse’. And this study tried to make the result as Methodology of Canon Study. Since 1990 years, ‘East Asian Discourse’ had been spread vigorously in the South Korea and China and Japan. Various attempts that was discussed in ‘East Asian Discourse’ are related with problem about ‘Center and Margin’. And, Various attempts that was discussed in ‘East Asian Discourse’ are related with problem that do ‘How will we think margin department’. And, Various attempts that was discussed in ‘East Asian Discourse’ are related with problem that do ‘How will we dissolve Eurocentrism’. Important thing is that this attempts are not different from viewpoint of Canon Study. That is, ‘a Study of Canon’ must study (centrism of canon) it critically. And ‘a Study of Canon’ must dig margin department's works newly. And ‘a Study of Canon’ must dissolve Eurocentrism of canon. So, ‘East Asian Discourse’ and ‘a Study of Canon' are sharing same viewpoint. Specially, ‘East Asian Discourse’ gives much reference standpoints about part that was unexhausted in ‘a Study of Canon’. In ‘a Study of Canon’ field, discussion that ‘How will we change system of power failure?’ is lacking. By the way, discussion that ‘How will we change system of power failure?' consisted vigorously in ‘East Asian Discourse’. So, if we expropriate ‘East Asian Discourse’ as methodology of Canon Study, discussion of canon's study may become rich so much. At this point justly, ‘East Asian Discourse’ and ‘a Study of Canon' may combine creatively. This study analyzed ‘East Asian Discourse’ variously in these intention. And, this study wished to accommodate the result, as methodology of Canon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낙청,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비평사 15-61, 1998
2 박상수, "한국발 ‘동아시아론’의 인식론 검토 : 동아시아 연구, ‘초국가적 공간’으로부터 접근하자"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73-100, 2010
3 조동일,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 문학" 지식산업사 30-39, 1999
4 아리프 딜릭, "포스트모더니티의 역사들" 창비 426-, 2005
5 김소영, "트랜스 아시아’ 영화 in:동아시아의 오늘과 내일" 논형 40-44, 2009
6 배긍찬, "탈중심의 동북아와 한국의 ‘균형자’ 역할" 창작과비평사 (가을) : 16-50, 2005
7 백낙청, "첫째날 토론 in: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387-418, 2000
8 정문길, "책을 펴내며 in: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6-10, 2000
9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정전 형성의 패러다임과 비평적 전망 in: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17-52, 2002
10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3-456, 2002
1 백낙청,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비평사 15-61, 1998
2 박상수, "한국발 ‘동아시아론’의 인식론 검토 : 동아시아 연구, ‘초국가적 공간’으로부터 접근하자"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73-100, 2010
3 조동일,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 문학" 지식산업사 30-39, 1999
4 아리프 딜릭, "포스트모더니티의 역사들" 창비 426-, 2005
5 김소영, "트랜스 아시아’ 영화 in:동아시아의 오늘과 내일" 논형 40-44, 2009
6 배긍찬, "탈중심의 동북아와 한국의 ‘균형자’ 역할" 창작과비평사 (가을) : 16-50, 2005
7 백낙청, "첫째날 토론 in: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387-418, 2000
8 정문길, "책을 펴내며 in: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6-10, 2000
9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정전 형성의 패러다임과 비평적 전망 in: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17-52, 2002
10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3-456, 2002
11 백영서, "진정한 동아시아의 거처 in: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19~20세기" 11-26, 1997
12 이매뉴얼 월러스틴, "지식의 재구조화와 분석단위의 전이 in:지역연구의 역사와 이론" 문화과학사 84-88, 1998
13 이성규, "중화 사상과 민족주의 in: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문학과지성사 107-153, 1995
14 이정남, "중국의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5 (15): 165-189, 2010
15 백영서, "중국에 ‘아시아’가 있는가? in: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55-73, 2000
16 백영서, "주변에서 동아시아를 본다는 것 in:주변에서 본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13-36, 2004
17 최원식, "제국 이후의 동아시아" 창비 13-289, 2009
18 존 길로리, "정전 in:문학연구를 위한 비평용어" 한신문화사 303-325, 1994
19 아리프 딜릭, "전지구적 자본주의에 눈뜨기" 창작과비평사 140-, 1998
20 다케우치 요시미, "일본과 아시아" 소명출판 140-169, 2004
21 이매뉴얼 월러스틴, "유럽적 보편주의―권력의 레토릭" 창비 56-57, 2008
22 함재봉, "유교 자본주의 민주주의" 전통과현대 39-144, 2000
23 찐야오지, "유가 윤리와 경제 발전 in: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문학과지성사 391-420, 1995
24 윤여일, "옮긴이 후기―사상이 살아가는 법 in:다케우치 요시미라는 물음" 그린비 381-396, 2007
25 송무, "영문학에 대한 반성" 민음사 121-378, 1997
26 아리프 딜릭, "역사와 대립되는 문화인가? in 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80-112, 2000
27 김기봉, "역사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 만들기" 푸른역사 21-101, 2006
28 아리프. 딜릭, "아시아-태평양권이라는 개념 in: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문학과지성사 41-72, 1995
29 이와부치 고이치, "아시아를 잇는 대중문화" 또 하나의 문화 22-98, 2004
30 쑨거, "아시아라는 사유공간" 창비 31-58, 2003
31 쑨거, "아시아 담론과 ‘우리들’의 딜레마 in:주변에서 본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271-284, 2004
32 권명아, "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 책세상 100-162, 2009
33 조(한)혜정,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또 하나의 문화 96-278, 1998
34 정재서, "서사와 이데올로기 in: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문학과지성사 154-169, 1995
35 최원식, "생산적 대화를 위하여" 창작과비평사 392-443, 1997
36 이정훈, "비판적 지식담론의 자기비판과 동아시아론― 쑨꺼의 다케우치 요시미론에 관한 일고찰"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41) : 1-29, 2007
37 류준필, "분단체제론과 동아시아론" 아세아문제연구소 52 (52): 38-72, 2009
38 박명규, "복합적 정치공동체와 변혁의 논리" 창작과비평사 (봄) : 8-26, 2000
39 한사오꿍, "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387-418, 2000
40 가라타니 고진, "미술관으로서의 역사 in: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299-321, 2002
41 백낙청, "미래를 여는 우리의 시각을 찾아" 창작과비평사 79 (79): 6-56, 1993
42 에드워드 사이드, "문화와 제국주의에 대한 성찰" 열음사 76-93, 1995
43 에드워드 사이드, "문화와 제국주의" 문예출판사 21-42, 2005
44 최원식, "문학의 귀환" 창작과비평사 377-430, 2001
45 레이 초우, "디아스포라의 지식인" 이산 78-, 2005
46 강상중, "둘째날 토론 in: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421-432, 2000
47 최원식,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문학과 지성사 11-26, 1997
48 백영서, "동아시아의 귀환" 창작과비평사 18-21, 2000
49 한경구, "동아시아의 경영문화 in: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355-382, 2000
50 이욱연, "동아시아론의 지형학" 철학문화연구소 45 (45): 180-194, 2000
51 백영서, "동아시아론과 근대적응ㆍ근대극복의 이중과제" 창비 139 (139): 31-51, 2008
52 정종현, "동아시아' 담론의 문제와 가능성-30년대 '동양'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9 : 39-69, 2002
53 공성진, "동아시아 상생(相生) 구조의 가능성 in:동아시아 연구" 살림 207-222, 1999
54 이동연, "동아시아 담론형성의 갈래들―비판적 검토" 문화과학사 52 (52): 98-118, 2007
55 김광억, "동아시아 담론의 실체―그 분석과 해석" 살림 162-176, 1999
56 김광억, "동아시아 담론의 실체―그 분석과 해석" 살림 162-176, 1999
57 김경일, "동아시아 국가에서 세계화와 타자의식"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3-29, 2002
58 최장집, "동아시아 공동체의 이념적 기초: 공존과 평존를 위한 공동의 의미지평" 아세아문제연구소 47 (47): 93-122, 2004
59 김형찬, "동아시아 공동체와 한국철학의 정체성" 예문동양사상연구원 14 : 187-204, 2006
60 김경일, "대동아공영권의 ‘이념’과 아시아의 정체성 in:동아시아의 지역질서" 창비 207-261, 2005
61 백영서, "대담―아시아는 ‘방법’이다 in:제국의 눈" 창비 269-300, 2003
62 쑨거, "다케우치 요시미라는 물음" 그린비 62-371, 2007
63 함동주, "다케우치 요시미―‘이상’으로서의 아시아, ‘실재’로서의 아시아" 문화과학사 27 (27): 211-224, 2001
64 백지운, "다케우찌 요시미라는 아포리아" 창비 136 (136): 310-313, 2007
65 윤성호, "누가 민족문학을 두려워하랴? - 트랜스내셔널리즘 시대의 민족문학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5) : 439-462, 2009
66 박성창, "글로컬 시대의 한국 문학" 민음사 125-153, 2009
67 사까이 나오키, "국민주의의 포이에시스" 창비 47-71, 2003
68 하루오 시라네, "교과과정의 역사적 변천과 경합하는 정전 in: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399-444, 2002
69 성민엽, "같은 것과 다른 것―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 살림 223-245, 1999
70 이정훈, "‘실천’으로서의 ‘동아시아’ 혹은 ‘내셔널 히스토리’의 저편"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35) : 1-16, 2005
71 고재광, "‘동아시아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강대학교 2000
72 백낙청, "21세기 한국과 한반도의 발전전략을 위해 in:21세기의 한반도 구상" 창작과비평사 13-32, 2004
한국 신종교사상에 나타난 ‘이상세계관’ 고찰 - 증산교의『천지개벽경』을 중심으로 -
光武ㆍ明治시기 兩京체제 추진과 君主이미지 활용 비교연구
20세기 전반기 달라이 라마의 이미지 변화 - 전쟁과 자연재해와 관련하여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3-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n Cultur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37 | 0.629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