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진보적 민족문학론에서 민중 개념의 형성 과정 연구 = A Study of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Minjung in the theory of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4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st the study of the people (Minjung in Korean) was interested in its justification, but now in its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This paper shows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Minjung in the theory of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70s. The concept of Minjung is born and then forgotten. And it is discoursed 'after the event'.
      Firstl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concept of Minjung.
      Secondly, the concept of Minjung was used initially in 1969, yet finds its characteristics in the literature before 1969. It applies its characteristics to Minjung retroactively. It begin with Shin Kyeong-rim's note published in 1973.
      And lastly, the concept of Minjung began as the core concept of the discourse of nation. Minjung is the object of enlightenment primarily, but now becomes its subject. This means that the episteme of Korean literature changes into Minjung-nationalistic one.
      번역하기

      In the past the study of the people (Minjung in Korean) was interested in its justification, but now in its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This paper shows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Minjung in the theory of progressive national...

      In the past the study of the people (Minjung in Korean) was interested in its justification, but now in its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This paper shows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Minjung in the theory of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70s. The concept of Minjung is born and then forgotten. And it is discoursed 'after the event'.
      Firstl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concept of Minjung.
      Secondly, the concept of Minjung was used initially in 1969, yet finds its characteristics in the literature before 1969. It applies its characteristics to Minjung retroactively. It begin with Shin Kyeong-rim's note published in 1973.
      And lastly, the concept of Minjung began as the core concept of the discourse of nation. Minjung is the object of enlightenment primarily, but now becomes its subject. This means that the episteme of Korean literature changes into Minjung-nationalistic o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현, "한반도 민족주의와 권력 담론" 삼인 2001

      2 윤병로, "참다운 민족문학의 정립" 한국학술정보 2001

      3 김명인, "지식인 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민족문학의 구상 『전환기의 민족문학』" 1987.

      4 시인사, "제삼세계와 민중문학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창작과비평』1979.가을호1979

      5 구중서, "제3세계와 라틴아메리카 문학" 1982.

      6 시인사, "인간해방과 민족문화운동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창작과비평』1978.겨울호1979

      7 염무웅, "이 어둠 속의 행진" 『월간중앙』 1972.

      8 이종욱, "역사는 다시 쓰여진다" 2003.9

      9 임규찬, "신문화의 이식과 발전" 『조선일보』1939. 10 11-25, 1993.

      10 "식민지시대 문학의 인식" 1974.

      1 임지현, "한반도 민족주의와 권력 담론" 삼인 2001

      2 윤병로, "참다운 민족문학의 정립" 한국학술정보 2001

      3 김명인, "지식인 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민족문학의 구상 『전환기의 민족문학』" 1987.

      4 시인사, "제삼세계와 민중문학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창작과비평』1979.가을호1979

      5 구중서, "제3세계와 라틴아메리카 문학" 1982.

      6 시인사, "인간해방과 민족문화운동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창작과비평』1978.겨울호1979

      7 염무웅, "이 어둠 속의 행진" 『월간중앙』 1972.

      8 이종욱, "역사는 다시 쓰여진다" 2003.9

      9 임규찬, "신문화의 이식과 발전" 『조선일보』1939. 10 11-25, 1993.

      10 "식민지시대 문학의 인식" 1974.

      11 "시와 톨스토이주의 『시인』1969.10.『상상력과 인간/시인을 찾아서-김현 문학전집③』" 문학과지성사 1991

      12 신승환, "시민문학론에서 근대극복론까지" 창비 2004

      13 채광석, "소시민적 민족문학에서 민중적 민족문학으로" 19861989

      14 창작과비평사,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 『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Ⅰ』" 『창작과비평』1966.겨울호1978

      15 B. Anderson, "상상의 공동체" 나남 2002

      16 이일환, "백낙청론-또 하나의 이상주의자" 한신문화사 1999

      17 김진경, "민중적 민족문학의 정립을 위해 『전환기의 민족문학』" 1987.

      18 시인사, "민중은 누구인가 『뿌리깊은 나무』1979. 4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1979.

      19 한길사, "민중문학의 사상적 의미 『민족의 상황과 문학사상』" 1986.

      20 정과리, "민중문학론의 인식 구조 『문학과 사회』" 1988.봄호.

      21 황종연, "민주화 이후의 정치와 문학" 2004

      22 김지하, "민족의 노래 민중의 노래 『민족의 노래 민중의 노래』" 동광출판사 1970.11.41984

      23 창작과비평사, "민족문학의 현단계 『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Ⅱ』" (봄) : 『창작과비평』19751985

      24 이광호, "민족문학의 역사적 범주에 관하여" 민음사 1995

      25 "민족문학에의 길" 1970.겨울호.

      26 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 강좌" 창작과비평사 1995

      27 문흥술, "민족문학론의 위기와 실체, 그리고 올바른 방향" 2004

      28 신승엽, "민족문학론의 방향 조정을 위해" 소명출판 1999

      29 김주연, "민족문학론의 당위와 한계 『문학과 지성』1979. 봄호 『뜨거운 세상과 말의 서늘함』" 1994

      30 권영민, "민족문학론의 논리와 실천 『한국민족문학론연구』" 1988.

      31 임우기, "민족문학론의 계급론적 관점" 『문학과사회』1988.가을호.

      32 백낙청, "민족문학 개념의 정립을 위해 『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Ⅰ』" 『월간중앙』 1974. 7 1978

      33 홍정선, "민족문학 개념에 대한 역사적 검토" 『문학과사회』1988.가을호.

      34 민음사, "문학과 민중 『문학과 민중』" 『창작과비평』1973.봄호1977.

      35 임헌영, "명칭에 대하여" 1973.

      36 E. Hobsbawm,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37 신경림, "농촌현실과 농민문학 『문학과 민중』" 『창작과비평』1972.여름호1977.

      38 "그 문자와 언어" 『월간문학』1970.

      39 김철, "국민이라는 노예" 삼인 2005

      40 F. Fanon, "검은 피부 하얀 가면" 인간사랑 1998

      41 시민문학론, "『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Ⅰ』" 『창작과비평』1969.여름호1978

      42 강명세 역, "『179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1994.

      43 조정환, "80년대 문학운동의 새로운 전망 『민주주의 민족문학론과 자기비판』 연구사" 1987.6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ross-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58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