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다문화태도를 진단하는 척도를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온 기존의 다문화태도 척도들은 주로 인종.민족에 초점을 둔 협의의 다문화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459431
2015
-
300
학술저널
546-546(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다문화태도를 진단하는 척도를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온 기존의 다문화태도 척도들은 주로 인종.민족에 초점을 둔 협의의 다문화 개...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다문화태도를 진단하는 척도를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온 기존의 다문화태도 척도들은 주로 인종.민족에 초점을 둔 협의의 다문화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당화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종.민족은 물론 종교, 성, 사회경제적 계층 등 광의의 다문화 개념을 포함하며, 인지(know), 감정(care), 행동(act)의 태도 요인을 포괄하는 다문화태도척도(Munroe M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타당화 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태도 척도의 구성요인, 다문화태도 척도의 타당도, 다문화태도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연구내용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Munroe와 Rearson(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18문항에 국내 다문화태도 척도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검토된 7문항을 추가해 최종적으로 25문항을 선정했다. 하위 영역별로는 인지요인 9문항, 감정요인 8문항, 행동요인 8문항이다. 이들 각 문항은 유아교육 및 교육학 전문가 4인에 의해 내용타당도를 검토했고, 영유아교사 25명 대상의 예비검사를 거쳐 수정.보완했다. 본 조사는 서울, 경기도, 강원도의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했으며, 보육교사 435명과 유치원 교사 358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ive 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Cronbach’s α와 Spearman- Brown)을 적용했다. 분석결과는 다문화태도척도의 타당성을 보여주었으며, 이에 대한 시사점과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강강술래 중심의 유아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1)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연구1)
사회적 맥락 속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한 조음장애 유아의 발음 변화
9-예술,명상교육 미국 내 교사와 학생을 위한 명상교육 효과 및 교육방법에 관한 최신 문헌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