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생적 정서 함양을 위한 통일교육의 유교 윤리적 고찰 = The confucian investigation on reunification education for cultivating commensal emo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495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상생(相生)적 정서 함양을 위한 통일교육의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북한 통일교육의 내용적 특성을 상극(相剋)과 상생(相生)의 개념적 준거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상극은 반공, 멸공, 승공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그리고 상극은 화해, 화합, 포용, 동반자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쓰였다. 사실 그 동안 남북한의 통일교육은 부정, 비판, 대결, 투쟁, 경쟁, 쟁취, 승리 등의 개념을 위주로 하는 상극 지향적 통일교육 일변도로 이루어졌다. 남한에서는 반공, 멸공, 승공으로 대변되는 통일교육을 주로 실시해 왔으며, 반면 북한에서는 적화, 대결, 공격, 혁명으로 대변되는 상극적 가치 범주 중심의 통일교육을 행하였다. 다음은, 상생 지향적 통일교육의 대안적 방안의 하나로 유교 윤리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유교윤리는 상극(相剋)보다는 상생(相生)을 지향하는 도덕철학의 성격이 강하다. 이에 유교윤리를 상생적 통일교육 모색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의 하나로서 해석할 경우 어떤 함의를 지닐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상생(相生)적 정서 함양을 위한 통일교육의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북한 통일교육의 내용적 특성을 상극(相剋)과 상생(相生)의 개념적 준거에 의거하여 분석하...

      본 연구에서는 상생(相生)적 정서 함양을 위한 통일교육의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북한 통일교육의 내용적 특성을 상극(相剋)과 상생(相生)의 개념적 준거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상극은 반공, 멸공, 승공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그리고 상극은 화해, 화합, 포용, 동반자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쓰였다. 사실 그 동안 남북한의 통일교육은 부정, 비판, 대결, 투쟁, 경쟁, 쟁취, 승리 등의 개념을 위주로 하는 상극 지향적 통일교육 일변도로 이루어졌다. 남한에서는 반공, 멸공, 승공으로 대변되는 통일교육을 주로 실시해 왔으며, 반면 북한에서는 적화, 대결, 공격, 혁명으로 대변되는 상극적 가치 범주 중심의 통일교육을 행하였다. 다음은, 상생 지향적 통일교육의 대안적 방안의 하나로 유교 윤리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유교윤리는 상극(相剋)보다는 상생(相生)을 지향하는 도덕철학의 성격이 강하다. 이에 유교윤리를 상생적 통일교육 모색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의 하나로서 해석할 경우 어떤 함의를 지닐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tried to make review on various methods which we could improve commensal emotions in reunification education. Teachers or researchers who are taking responsibility for reunification education need to clearly recognize importance of commensal emotions in the education according to its approaches such as educational theory, politics, ethics or moral philosophy and pedagogy. For that,I analyzed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light of the conceptual perspective of symbiosis and antipathy. Here, antipathy implies to oppose communism, to annihilate communism, to win against communism, and symbiosis implies peaceful settlement, harmony, toleranc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fact, the re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oncentrated on carrying out mutually contradictory education during the past time. The main reasons why the existing education of reunification could not have received deep supports from students and people were derived from them. That is, they are rooted in lack of conceptual recognition on emotional approach in educational approach of reunification education at the school education. In the future, re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educated in such way as fostering commensal emotions which are subject to provide a vitality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From these kinds of viewpoints, I considered the alternative from an educational approach for realizing it in light of confucian ethics in the reunification education.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tried to make review on various methods which we could improve commensal emotions in reunification education. Teachers or researchers who are taking responsibility for reunification education need to clearly recognize importance of com...

      In this paper I tried to make review on various methods which we could improve commensal emotions in reunification education. Teachers or researchers who are taking responsibility for reunification education need to clearly recognize importance of commensal emotions in the education according to its approaches such as educational theory, politics, ethics or moral philosophy and pedagogy. For that,I analyzed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light of the conceptual perspective of symbiosis and antipathy. Here, antipathy implies to oppose communism, to annihilate communism, to win against communism, and symbiosis implies peaceful settlement, harmony, toleranc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fact, the re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oncentrated on carrying out mutually contradictory education during the past time. The main reasons why the existing education of reunification could not have received deep supports from students and people were derived from them. That is, they are rooted in lack of conceptual recognition on emotional approach in educational approach of reunification education at the school education. In the future, re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educated in such way as fostering commensal emotions which are subject to provide a vitality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From these kinds of viewpoints, I considered the alternative from an educational approach for realizing it in light of confucian ethics in the reunification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상극과 상생의 범주에서 본 남북한의 통일교육
      • Ⅲ. 상생적 감성 함양의 통일교육과 유교윤리의 대안적 함의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상극과 상생의 범주에서 본 남북한의 통일교육
      • Ⅲ. 상생적 감성 함양의 통일교육과 유교윤리의 대안적 함의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