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태윤, "환경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2001
2 박연호, "현대인간관계론" 박영사 1996
3 박성선,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5 (5): 13-20, 2001
4 오필석,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97-308, 2007
5 임수복,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 확인 및 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 주민 및 공무원의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6 김연귀, "지구과학 천문 영역에서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170-180, 2010
7 정원영, "자연사전시관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반 환경 학습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지연, "웹기반 게시판을 활용한 협력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유형과 지식형성 과정"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9-58, 2005
9 김경철, "예비교사의 구성주의적 토론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97-226, 2010
10 Pennington, D. C., "소그룹 내 행동의 사회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5
1 박태윤, "환경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2001
2 박연호, "현대인간관계론" 박영사 1996
3 박성선,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5 (5): 13-20, 2001
4 오필석,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97-308, 2007
5 임수복,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 확인 및 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 주민 및 공무원의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6 김연귀, "지구과학 천문 영역에서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170-180, 2010
7 정원영, "자연사전시관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반 환경 학습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지연, "웹기반 게시판을 활용한 협력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유형과 지식형성 과정"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9-58, 2005
9 김경철, "예비교사의 구성주의적 토론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97-226, 2010
10 Pennington, D. C., "소그룹 내 행동의 사회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5
11 최창호, "새행정학" 삼미사 1999
12 이현영,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660-670, 2002
13 박다정, "블로그를 활용한 토론학습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1 (1): 7-12, 2009
14 이상수,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0 (20): 63-88, 2004
15 이재성, "다양한 토론 방식을 적용한 <독서와 토론> 수업 모형의 토론 자기 효능감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47-268, 2010
16 도승이, "교실토론상황에서 학생의 감정, 인지, 행동의 상호작용: 근거이론 분석법을 통한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7-40, 2005
17 김현경, "과학고 토론수업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359-372, 2009
18 Newman, D., "The construction zone: working for cognitive change in schoo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9 Baron, R., "Social Psychology" Allyn and Bacon 2000
20 Kempa, R.F., "Learning interactions in group work in science" 13 (13): 341-354, 1991
21 Falk, J. H.,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Altamira press 2000
22 Brown, A. L., "Guided,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acquisition, In Knowing, learning and instruction: essays in honor of Robert Glaser"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93-451, 1989
23 Stahl, G., "Group cognition: computer support for building collaborative knowledge" The MIT Press 2006
24 Borun, A., "Families are learning in science museums" 39 : 123-138, 1996
25 Jacobson, S. K., "Conservation education and outreach techniqu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6 Henri, F., "Computer conferencing and content analysis, In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computer conferencing" Springer-Verlag 1992
27 Laat, M., "Complexity, theory and praxis : research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tutoring processes in a networked learning community" 31 : 7-39, 2003
28 Vye, N. J., "Complex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y individuals and dyads" 15 (15): 435-484, 1998
29 Wals, A. E. J.,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school culture and lifelong learning, In Lifelong learning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eter Lang 121-133, 1997
30 Edwards, D., "Common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Routledge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