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the movement of Korean laborers under the General Assembly of Japanese Labor Unions (hereinafter as “Chongpyong”) mainly in the central region of Japan, which acted as a "legal" labor organiz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ovement of Korean laborers under the General Assembly of Japanese Labor Unions (hereinafter as “Chongpyong”) mainly in the central region of Japan, which acted as a "legal" labor organiz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
This study examines the movement of Korean laborers under the General Assembly of Japanese Labor Unions (hereinafter as “Chongpyong”) mainly in the central region of Japan, which acted as a "legal" labor organiz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s.
The Chongpyong was a nationwide labor organization founded in 1931 in the aftermath of the Great Depression, which had adversely affected the Japanese economy. There were many Korean union members in the union of the central provincial council, known hereinafter as “Chongpyong Jungbu.” In 1932 and 1933, the total number of Korean union members in the Chongpyong Jungbu was two-thirds of the total. In particular, all members of the free labor union of the central region (hereinafter as “Jungbu Jayunojo”) were Korean workers. In 1934, only the Jungbu Jayunojo was in the Chongpyong Jungbu. From 1931 to 1934, the Korean leaders in the Chongpyong Jungbu were actively supporting the Korean workers' rights movement in the central region.
At the end of 1934, the Chongpyong Jungbu was transformed into the National Council of the Japanese Labor Unions (hereinafter as "Jeonpyong"). But in 1935, the union of the central provincial council of the Jeonpyong belonged to unions that were like Chongpyong Jungbu. The Jungbu Jayunojo was also included, and most union members were Korean. In 1935, the Jungbu Jayunojo took the lead in the struggle against the national discrimination remarks of the director of the Ozone registry, which had been a significant problem in Nagoya City.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30년대 전반 일본에서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이하, 총평)의 중부지방평의회(이하, 중부지평) 산하에서 활동한 한인노동자들의 운동을 발굴하여 당해분야 연구에 새로운 페이지...
본 연구는 1930년대 전반 일본에서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이하, 총평)의 중부지방평의회(이하, 중부지평) 산하에서 활동한 한인노동자들의 운동을 발굴하여 당해분야 연구에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총평은 세계대공황의 충격이 미쳤던 1931년에 창립된 합법적인 전국규모 노동단체였고, 그 중부지평의 노동조합에는 다수의 한인조합원이 있었다. 1932년, 33년에 총평 중부지평의 조합원은 전체의 2/3가 한인이었고, 그 중에서도 중부지방자유노조는 전원이 한인노동자였다. 1934년의 총평 중부지평은 중부자유노조로만 유지되었다. 1931년에서 1934년까지 중부자유노조를 비롯한 중부지평의 한인 지도자들은 당해 지역거주 한인 노동자들의 임금차별반대, 실업반대 등의 권익옹호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매년 당해 지방에서 개최된 기념일 행사에서 존재감을 피력했으며, 1934년 4월에는 나고야지방노동조합회의 결성을 주도하였다.
1934년 말 총평이 일본노동조합전국평의회(이하, 전평)로 확대 재편성된 이후에도 중부지방의 소속조합은 총평 시절과 유사한 구성이었으며 조합원도 대부분 한인들이었다. 1935년에 전평 중부자유노조는 파시즘반대운동과 나고야시 오소네 직업소개소장 민족차별발언 항의운동을 주도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열, "한인의 일본이주사 연구-1910년대~1940년대" 논형 2010
2 정혜경, "일제시대 재일조선인민족운동연구" 국학자료원 2001
3 김광열, "일본에서의 한인 사회운동과 민족 차별-1930년대 노동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28) : 199-227, 2015
4 김인덕, "식민지시대 재일조선인운동" 국학자료원 1996
5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6 鄭榮桓, "金斗鎔とプロレタリア国際主義" (33) : 2003
7 朝鮮農會, "農家經濟調査" 1930
8 社会運動通信社, "社会運動通信"
9 內務省 警保局, "社会運動の状況"
10 內務省 警保局 保安課, "特高月報"
1 김광열, "한인의 일본이주사 연구-1910년대~1940년대" 논형 2010
2 정혜경, "일제시대 재일조선인민족운동연구" 국학자료원 2001
3 김광열, "일본에서의 한인 사회운동과 민족 차별-1930년대 노동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28) : 199-227, 2015
4 김인덕, "식민지시대 재일조선인운동" 국학자료원 1996
5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6 鄭榮桓, "金斗鎔とプロレタリア国際主義" (33) : 2003
7 朝鮮農會, "農家經濟調査" 1930
8 社会運動通信社, "社会運動通信"
9 內務省 警保局, "社会運動の状況"
10 內務省 警保局 保安課, "特高月報"
11 朝鮮農會, "朝鮮農業發達史 發達編" 1944
12 大原社会問題研究所, "日本労働年鑑"
13 総務省統計局, "新版日本長期統計総覧 第4巻" 日本統計協会 1987
14 新愛知新聞社, "新愛知"
15 司法省 刑事局, "思想月報"
16 朴慶植, "在日朝鮮人運動史 ー8・15解放前ー" 三一書房 1979
17 外村大, "在日朝鮮人社会の歴史学的研究ー形成・構造・変容ー" 緑陰書房 2004
18 岩村登志夫, "在日朝鮮人と日本労働者階級" 校倉書房 1972
19 김광열, "1930년대 일본 혁신노동조합의 한인조합원 운동-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를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23) : 119-165, 2006
20 김광열, "1930年代 前半 日本勞動組合全國協議會와 韓人勞動者 -나고야(名古屋) 地域의 運動을 中心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22) : 5-42, 2012
두모포왜관 시기와 초량왜관 시기 연례송사 접대 비교 연구 -『接倭式例』(1659)와 『嶺南接倭式例改謄錄』(1732)을 중심으로-
대마도 金鑛詐欺사건과 藤原不比等-신라 黃金의 일본 유입과 관련하여-
일선동조론의 계보학적 검토를 위한 시론-일본사의 탄생과 타자로서의 조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09 | 1.872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