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화신 관념을 통해 본 郭象의 성인관 = A Study on Guo Xiang’s View of the Sage Examined Through the Notion of 化身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10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西晉 시기 『장자』주석가이자 관료였던 郭象의 성인관에 보이는 화신 관념의 흔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의 성인관의 성격과 특징을 고찰해 보는 데에 있다. 초월적 존재가 중생구제를 위해서 肉化하여 지상에 강림한다는 의미의 화신은 여러 종교적 전통들 속에 상당히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관념으로 크게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나는 모든 존재와 현상의 원인으로서의 초월적 존재를 상정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초월적 존재의 지상강림은 중생구제라는 목적지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화신은 道敎와 佛敎 문헌을 제외하고 중국의 전통적 문헌에서는 살펴보기 힘든 관념이다. 하지만 ‘迹’과 ‘所以迹’의 개념을 통해 성인을 여행자(遊者)에 비유하고 역사적 흐름 속에서 변화하여 지상에 현신하는 존재로 상정하는 곽상의 성인관을 통해서 화신 관념과의 유사성을 확인하게 된다. 곽상의 성인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여 나타난다는 점에서 화신 관념과 형식적인 동일성이 있으나, 그 성격과 특징에 있어서는 대조적이다. 우선, 곽상의 성인은 초월적 존재가 아니다. 곽상은 조물자의 존재를 거부하고 有爲의 영역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는데, 그의 사상 체계 속에서 만물은 그 생성과 존재에 있어서 자발적으로 작용하는 ‘自然之理’를 따르며, 모든 존재와 현상의 원인자는 物 그 자체이다. 둘째, 화신으로서의 성인은 목적지향성을 지니지 않는다. 다른 종교적 전통에서 초월자의 지상강림은 중생구제라는 목적을 지닌 반면, 곽상에게 있어 성인은 만물이 자신의 性에 맞게 자연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 존재일 뿐이다. 곽상의 성인관은 기존의 유가와 도가의 성인관과는 분명 다른 것으로, 儒·道의 조화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고자 했던 의도에서 비롯되었는데, 이후 格義佛敎의 시대에 儒·佛의 조화를 기도하면서, 부처를 유가적 성인과 동일시했던 불교도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西晉 시기 『장자』주석가이자 관료였던 郭象의 성인관에 보이는 화신 관념의 흔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의 성인관의 성격과 특징을 고찰해 보는 데에 있다. 초월적 ...

      본 논문의 목적은 西晉 시기 『장자』주석가이자 관료였던 郭象의 성인관에 보이는 화신 관념의 흔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의 성인관의 성격과 특징을 고찰해 보는 데에 있다. 초월적 존재가 중생구제를 위해서 肉化하여 지상에 강림한다는 의미의 화신은 여러 종교적 전통들 속에 상당히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관념으로 크게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나는 모든 존재와 현상의 원인으로서의 초월적 존재를 상정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초월적 존재의 지상강림은 중생구제라는 목적지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화신은 道敎와 佛敎 문헌을 제외하고 중국의 전통적 문헌에서는 살펴보기 힘든 관념이다. 하지만 ‘迹’과 ‘所以迹’의 개념을 통해 성인을 여행자(遊者)에 비유하고 역사적 흐름 속에서 변화하여 지상에 현신하는 존재로 상정하는 곽상의 성인관을 통해서 화신 관념과의 유사성을 확인하게 된다. 곽상의 성인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여 나타난다는 점에서 화신 관념과 형식적인 동일성이 있으나, 그 성격과 특징에 있어서는 대조적이다. 우선, 곽상의 성인은 초월적 존재가 아니다. 곽상은 조물자의 존재를 거부하고 有爲의 영역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는데, 그의 사상 체계 속에서 만물은 그 생성과 존재에 있어서 자발적으로 작용하는 ‘自然之理’를 따르며, 모든 존재와 현상의 원인자는 物 그 자체이다. 둘째, 화신으로서의 성인은 목적지향성을 지니지 않는다. 다른 종교적 전통에서 초월자의 지상강림은 중생구제라는 목적을 지닌 반면, 곽상에게 있어 성인은 만물이 자신의 性에 맞게 자연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 존재일 뿐이다. 곽상의 성인관은 기존의 유가와 도가의 성인관과는 분명 다른 것으로, 儒·道의 조화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고자 했던 의도에서 비롯되었는데, 이후 格義佛敎의 시대에 儒·佛의 조화를 기도하면서, 부처를 유가적 성인과 동일시했던 불교도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Guo Xiang’s view of the Sage through the notion of 化身. The notion of 化身 which means the descent of a deity to the earth in a flesh form is a common concept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Avatāra in Hindu tradition, incarnation in Christian tradition, and Nirmāṇakāya in Buddhist tradition are all terms that represent this notion. These terms have two main characteristics in a broad sense. One is to presume the God as the first Cause of all beings and phenomena. The other is that the descent of a deity through the embodiment is a purpose- oriented behavior of Gods, which means the Salvation or enlightment for all peopl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idea of 化身 in Chinese traditional texts except for Taoist and Buddhist Texts. But we are able to find out the similarity to the idea of 化身 which is seen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through Guo Xiang’s view of the Sage in his Zhuangzi-commentary, which tries to compare the Sage to a traveler and interpret it as a earthly existence in the course of history. Formally, Guo Xiang’ view of the Sage is identified with the idea of 化身 in other religious tradition. However, they differ in their characters and features. First, the Sage in the Zhuangzi-commentary of Guo Xiang is not a God of the first Cause for all beings and phenomena. In the Guo Xiang’s philosophical system, all beings follow the law of nature in a spontaneous manner and are content with their nature. Second, the Sage in the Zhuangzi-commentary of Guo Xiang is not purpose-oriented like Gods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While the descent of God to the earth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is aimed at the Salvation or enlightment for all people, the Sage of Guo Xiang rejects absolutely any artificial and unnatural behaviors. Meanwhile, by means of the study on Guo Xiang’s view of the Sage, we could assure that Guo Xiang tried to harmonize Confucianism and Daoism.
      번역하기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Guo Xiang’s view of the Sage through the notion of 化身. The notion of 化身 which means the descent of a deity to the earth in a flesh form is a common concept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Avatāra in Hindu...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Guo Xiang’s view of the Sage through the notion of 化身. The notion of 化身 which means the descent of a deity to the earth in a flesh form is a common concept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Avatāra in Hindu tradition, incarnation in Christian tradition, and Nirmāṇakāya in Buddhist tradition are all terms that represent this notion. These terms have two main characteristics in a broad sense. One is to presume the God as the first Cause of all beings and phenomena. The other is that the descent of a deity through the embodiment is a purpose- oriented behavior of Gods, which means the Salvation or enlightment for all peopl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idea of 化身 in Chinese traditional texts except for Taoist and Buddhist Texts. But we are able to find out the similarity to the idea of 化身 which is seen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through Guo Xiang’s view of the Sage in his Zhuangzi-commentary, which tries to compare the Sage to a traveler and interpret it as a earthly existence in the course of history. Formally, Guo Xiang’ view of the Sage is identified with the idea of 化身 in other religious tradition. However, they differ in their characters and features. First, the Sage in the Zhuangzi-commentary of Guo Xiang is not a God of the first Cause for all beings and phenomena. In the Guo Xiang’s philosophical system, all beings follow the law of nature in a spontaneous manner and are content with their nature. Second, the Sage in the Zhuangzi-commentary of Guo Xiang is not purpose-oriented like Gods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While the descent of God to the earth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is aimed at the Salvation or enlightment for all people, the Sage of Guo Xiang rejects absolutely any artificial and unnatural behaviors. Meanwhile, by means of the study on Guo Xiang’s view of the Sage, we could assure that Guo Xiang tried to harmonize Confucianism and Dao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2. 화신 관념에 대하여 3. 郭象의 聖人觀 4. 나오는 말
      • 1. 들어가는 말 2. 화신 관념에 대하여 3. 郭象의 聖人觀 4. 나오는 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