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그릿과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it of Teens and Self-directe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348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South Korean teens in order to gain an understanding of grit, which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research,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Korean learners' sel...

      This study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South Korean teens in order to gain an understanding of grit, which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research,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Korea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also clarified the process by which learners are involved in selecting effective goal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o provide cognitive efficacy for learners to encourage efforts to achieve their goals.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the period of 4 weeks, and was mainly targeted at the middle-school and high-school boys and girls in Daejeon, Sejong and Cheonan by using 376 collected survey questionnair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d Sobel-test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for the data analysis. The hypothesis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it of teen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the grit of teen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Third, academic self-efficacy of teen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Fourth,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teen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ens'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릿과 자기조절 학습 간의 영향력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그릿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습자의 자율적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또...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릿과 자기조절 학습 간의 영향력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그릿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습자의 자율적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습자가 스스로의 자기주도 학습을 위해 효과적인 목표 선정에 관여하고 목표 성취를 위한 노력 유발에 학습자 내적인 효능감을 제공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 중·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1일부터 4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76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그릿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청소년의 그릿은 자기주도 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 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그릿과 자기주도 학습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은, "한국형 그릿(Grit) 특성에 대한 고찰: 높은 그릿집단의 다차원적 유형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4 (24): 131-151, 2018

      2 하혜숙,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한국상담학회 18 (18): 371-388, 2017

      3 나동진, "학업 성취의 사회적 목표와 학업 성취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 불안의 매개 효과" 교육종합연구원 6 (6): 131-152, 2008

      4 주희진,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237-259, 2011

      5 황매향,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301-319, 2017

      6 김미숙, "초·중·고 학생의 그릿(Grit)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및 성별·학년별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97-322, 2015

      7 임순선,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발달의 통합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0 (10): 1-26, 2013

      8 이현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47-355, 2013

      9 임현희, "청소년용 학업적 그릿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95-523, 2018

      10 하영숙,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4) : 153-180, 2013

      1 김정은, "한국형 그릿(Grit) 특성에 대한 고찰: 높은 그릿집단의 다차원적 유형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4 (24): 131-151, 2018

      2 하혜숙,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한국상담학회 18 (18): 371-388, 2017

      3 나동진, "학업 성취의 사회적 목표와 학업 성취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 불안의 매개 효과" 교육종합연구원 6 (6): 131-152, 2008

      4 주희진,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237-259, 2011

      5 황매향,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301-319, 2017

      6 김미숙, "초·중·고 학생의 그릿(Grit)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및 성별·학년별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97-322, 2015

      7 임순선,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발달의 통합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0 (10): 1-26, 2013

      8 이현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47-355, 2013

      9 임현희, "청소년용 학업적 그릿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95-523, 2018

      10 하영숙,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4) : 153-180, 2013

      11 조선화,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7) : 145-169, 2019

      12 이수진, "중·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업노력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1045-1077, 2012

      13 주영주, "영재학생의 그릿(꾸준한 노력, 지속적 관심), 교사지원, 부모지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영재교육만족도에 대한 예측력 검증" 특수교육연구소 15 (15): 29-49, 2016

      14 임효진, "그릿, 내-외재가치, 수업참여, 인지조절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교육종합연구원 27 (27): 235-256, 2018

      15 이서정, "고등학생의 마인드셋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 포기 여부에 따른 다집단분석" 교육연구소 19 (19): 59-87, 2018

      16 유영란,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67-385, 2015

      17 심미정,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28-337, 2012

      18 이승주,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69-276, 2018

      19 A. L. Duckworth, "True grit" 26 (26): 1-3, 2013

      20 F. R. Rusch,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post-high school placement, and coordinated support constructing new transition bridges to adult life" 32 (32): 53-59, 2009

      21 M. H. Yang,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22 H. E. Ki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self-confidence, mastery goal orientation, grit and stress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erforming arts" Jeonju University 2018

      23 L. Corno,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18 (18): 88-108, 1983

      24 Y. M. Lee, "The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elf efficacy and test anxie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38 : 57-75, 2015

      25 R. E. Wood, "The relation of self-efficacy and grade goals to academic performance" 47 (47): 1013-1024, 1987

      26 G. E. Spear, "The organizing circumstance : Environmental determinants in self-directed learning" 35 (35): 1-10, 1984

      27 R. M. Baron,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9, 1986

      28 S. C. Ha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7

      29 S. C. Ha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7

      30 D. H. Cho, "The effects of self-directed cooperative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 according to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1

      31 A. Y. Kim,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grit scale for adolescents" 39 : 95-123, 2001

      32 E. L. Usher, "Sources of academic and self-regulatory efficacy beliefs of entering middle school students" 31 (31): 125-141, 2006

      33 D. H. Schunk,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5-99, 1994

      34 B. J. Zimmerman,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29 (29): 663-676, 1992

      35 A. Bandura, "Self-evaluative and self-efficacy mechanisms governing the motivational effects of goal systems" 45 (45): 1017-1028, 1983

      36 F. Pajares,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66 (66): 543-578, 1996

      37 A. Bandur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38 H. Long, "Self-directed learning by the elderly : Review of dissertation abstracts" 19 : 1-7, 1993

      39 P. C. Candy,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Jossey-Bass 1991

      40 P. R. Pintri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on student motivational beliefs and self-regulated learning" 1990

      41 M. R. West, "Promise and paradox : Measuring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and the impact of schooling" 38 (38): 148-170, 2016

      42 P. R. Pintrich,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43 D. H. Schunk, "Modeling and attributional effects on children's achievement : A self-efficacy analysis" 73 (73): 93-105, 1981

      44 B. A. Greene, "Influences on achievement : Goals, perceived ability, and cognitive engagement" 21 (21): 181-192, 1996

      45 G. Hackett,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 Vol.2" 419-452, 1992

      46 J. H. Kim, "Grit: To prove potential as a skill, as a result of sexuality, as a result of studying" Sum & Parkes 92-113, 2013

      47 A. L. Duckworth,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1087-1101, 2007

      48 A. L. Duckwort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91 (91): 166-174, 2009

      49 A. Bandura,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41 (41): 586-598, 1981

      50 N. S. Kim,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Education Science History 1995

      51 K. Natale,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their parents' causal attributions to ability and effort : A longitudinal study" 30 (30): 14-22, 2009

      52 B. J. Zimmerman,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 An overview" 41 (41): 64-70, 2002

      53 T. Y. Park, "An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coaching program on academic self-efficacy in adolescents" 8 (8): 91-107, 2015

      54 M. M. Chemers,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 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93 (93): 55-64, 2001

      55 B. J. Zimmerman,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81 (81): 329-339, 1989

      56 M. S.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between the only child and sibling child"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