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957년 발간된 『백합화』찬양집에 관한 연구로서 교술성(敎述性), 유동성(流動性), 접근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957년 경주성서학원 학생들이 교회에서 활용하기 위해 제작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98392
이혜정 (영남신학대학교)
2022
Korean
찬양집 ; 한국개신교 ; 창가 ; 민요 ; 콘트라팍타 ; 경주성서학원 ; 개신교가사 ; hymnbook ; Korean Protestantism ; Changga ; folk songs ; Contrafacta ; Gyeongju Bible School ; Protestant Gasa
KCI등재
학술저널
37-62(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57년 발간된 『백합화』찬양집에 관한 연구로서 교술성(敎述性), 유동성(流動性), 접근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957년 경주성서학원 학생들이 교회에서 활용하기 위해 제작한 ...
본 연구는 1957년 발간된 『백합화』찬양집에 관한 연구로서 교술성(敎述性), 유동성(流動性), 접근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957년 경주성서학원 학생들이 교회에서 활용하기 위해 제작한 찬양집 『백합화』는 당시 유행하는 찬양곡을 모아 편집한 형태이다. 신학생들은 정규 예배시간에 부르는 찬송가 이외에 다양한 교회활동에 활용할 수 있고 좀 더 친숙하게 부를 수 있는 찬양집을 원했다.
필자는 『백합화』의 연구의의를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백합화』의 수록곡들은 한국인이 창작한 가사들로 한국인들의 신앙의식과 시대인식이 드러나 있다. 즉 한국개신교의 무형의 문화유산으로서 한국인의 토착화된 신앙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둘째, 노래를 통해 전통문학과 전통음악이 근대에 와서 여러갈래가 혼재되고 상호영향을 받아 변화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백합화』에는창가 (唱歌), 민요(民謠), 잡가(雜歌)의 영향이 나타나고 콘트라팍타(Contrafacta)의방식으로 친숙한 곡조에 가사를 붙여 부르는 형태를 활용하고 있다. 곡조는 찬송가를 비롯하여 민요, 동요, 서양곡조, 일본곡조 등을 사용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Baekhaphwa』 hymnbook published in 1957 focusing on its didacticness, flexibility, and accessibility. The hymnbook 『Baekhaphwa』, which was produced by students of Gyeongju Bible School in 1957 for use in churches, is a ...
This study examines the 『Baekhaphwa』 hymnbook published in 1957 focusing on its didacticness, flexibility, and accessibility. The hymnbook 『Baekhaphwa』, which was produced by students of Gyeongju Bible School in 1957 for use in churches, is a compilation of hymn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Bible School students wanted a hymnbook that could be used for various church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hymns sung during regular worship events and from which they could sing the hymns more familiarly.
We summarized the research significance of 『Baekhaphwa』 into two parts. First, the lyrics in 『Baekhaphwa』 are created by Koreans, revealing Koreans’ religious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the times. In other words,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Korean Protestantism, they offer insights into the indigenous beliefs of Koreans. Second, the songs make it possible to take a look at how traditional literature and music have changed in modern times, with various branches of songs mixed and mutually influenced. 『Baekhaphwa』 shows the traces of being influenced by Changga (a form of Korean traditional poetry), folk songs, and Japga (miscellaneous songs), and utilizes the form of singing by attaching lyrics to familiar tunes in the manner of Contrafacta. The tunes used hymns, folk songs, nursery rhymes, Western tunes, and Japanese tune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지식산업사 2016
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20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2020
4 서정민, "한국 성서·찬송가 100년" 기독교문사 1987
5 조숙자, "한국 성결교회의 초기 찬송가『복음가』『부흥성가』연구" 한국기독교학회 (26) : 347-379, 2002
6 이상일, "한국 복음성가의 역사 고찰 : 1950년대 이후 1990년대까지" 長老會神學大學校 神學大學院 1996
7 박병훈, "한국 근대 신종교가사 연구-시운과 도덕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8 문옥배, "한국 교회음악 수용사" 예솔출판사 2004
9 안명준, "피어선의 사람들: 평택대 정체성 찾기" 퍼플 2021
10 오소운, "찬송가 4000년 약사(略史)" (유)성서원 2017
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지식산업사 2016
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20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2020
4 서정민, "한국 성서·찬송가 100년" 기독교문사 1987
5 조숙자, "한국 성결교회의 초기 찬송가『복음가』『부흥성가』연구" 한국기독교학회 (26) : 347-379, 2002
6 이상일, "한국 복음성가의 역사 고찰 : 1950년대 이후 1990년대까지" 長老會神學大學校 神學大學院 1996
7 박병훈, "한국 근대 신종교가사 연구-시운과 도덕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8 문옥배, "한국 교회음악 수용사" 예솔출판사 2004
9 안명준, "피어선의 사람들: 평택대 정체성 찾기" 퍼플 2021
10 오소운, "찬송가 4000년 약사(略史)" (유)성서원 2017
11 전재강, "찬불가류 불교 가사의 지향적 주제와 다층적 갈래 성격" 우리문학회 (37) : 385-421, 2012
12 박종천, "조선 후기 종교가사의 문화적 이해" 한국종교학회 78 (78): 33-58, 2018
13 김혜영, "연경좌담(蓮莖座談)에 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2
14 고민정, "앵산 전도가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0
15 함복희, "시집살이 민요 스토리텔링의 치유적 효과 - 강원지역 민요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23) : 189-220, 2009
16 하경숙 ; 구사회, "숫자노래의 전승 맥락과 새로운 근대가사 <數字歌>의 문예적 검토" 동양고전연구소 (43) : 213-238, 2020
17 양재훈, "산상수훈과 한국적 재구현 -개신교 가사『연경좌담』(1923) 중 “산샹보훈가” 연구-" 한국신학정보연구원 13 (13): 175-202, 2019
18 전재강, "불교 가사 형성의 발생학적 정황" 우리문학회 (31) : 205-237, 2010
19 경주성서학원, "백합화" 경주성서학원 1957
20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근대문화유산 음악분야 목록화 조사 보고서" (주)계문사 2010
21 이혜정, "경주성서학원의 초기 역사와 신학교육" 53 : 55-80, 2020
22 김영철, "개화기 시가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미학" 한국시학회 (35) : 39-71, 2012
23 권오만, "개화기 시가 연구" 새문사 1989
24 이복규, "개신교가사에 대하여" 온지학회 (18) : 225-248, 2008
25 이복규, "개신교가사 21편의 원문" 41 : 283-326, 2007
26 이혜정, "강신명 목사의 『아동가요곡선 300곡』(1940)에 관한 연구-동요창작과 동요보급의 배경을 중심으로-" 56 : 189-214, 2021
27 이혜정, "『백합화』 찬양집의 발굴과 의의" 47 : 239-259, 2017
28 문성보, "‘콘트라팍타’로 만들어진 기념비적 찬송가들" 120-129, 2016
29 유재헌, "Gospel Hymns 복음성가" 기독교대한수도원 1975
현대 한국 종교에서의 순례지 조성을 둘러싼 갈등 -성역화, 순례길, 공공성지-
교회 생활 속에서의 여성행위성 -도시 교회의 액체 종교성을 활용하는 여성노인들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