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모형 포장가속시험기를 이용한 실용화 연구  :  (Long-term Performance Test Evaluated by A Small-Scaled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Fac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47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using the scaled KALES (Korea Accelerated Pavement Loading and Environmental Simulator) allows a rapid assessment of variation in pavement distress condition on the long term performance for material behaviors under laboratory controlled condition. This facility consists of carts and guidance units which simulate a truck on the road. The major consideration in the decision to construct a scaled down accelerated testing facility involved manufacturing of a large scaled KALES in the near future from current experience, coupled with the need to search for productivity through new materials, processes and practices necessary to contain the costs of maintaining and rehabilitating the aging Korean expressway network. To operate the scaled KALES in the controlled laboratory, a test building was built in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in July 28th of 2000. In the first year, two series of accelerated tests has been peformed using the scaled KALES. As a first test, two experimental studies were peformed for evaluation of two different rehabilitation metfods for constraining asphalt concrete overlay against reflection cracking and effect of sub-structure system placed on the steel plate. Currently, this facility is being operated intended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two different patching material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under operation to study the whitetopping method. new building about 413㎡ was constructed to house the scaled KALES. It consists two test pits which is 6m×2m×1m to test various pavement systems including different soil types. And pipes to connect gages and wires were imbedded inside the test pits and underneath the floor to the operation room. The scaled KALES is still under modification.
      번역하기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using the scaled KALES (Korea Accelerated Pavement Loading and Environmental Simulator) allows a rapid assessment of variation in pavement distress condition on the long term performance for material behaviors under labora...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using the scaled KALES (Korea Accelerated Pavement Loading and Environmental Simulator) allows a rapid assessment of variation in pavement distress condition on the long term performance for material behaviors under laboratory controlled condition. This facility consists of carts and guidance units which simulate a truck on the road. The major consideration in the decision to construct a scaled down accelerated testing facility involved manufacturing of a large scaled KALES in the near future from current experience, coupled with the need to search for productivity through new materials, processes and practices necessary to contain the costs of maintaining and rehabilitating the aging Korean expressway network. To operate the scaled KALES in the controlled laboratory, a test building was built in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in July 28th of 2000. In the first year, two series of accelerated tests has been peformed using the scaled KALES. As a first test, two experimental studies were peformed for evaluation of two different rehabilitation metfods for constraining asphalt concrete overlay against reflection cracking and effect of sub-structure system placed on the steel plate. Currently, this facility is being operated intended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two different patching material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under operation to study the whitetopping method. new building about 413㎡ was constructed to house the scaled KALES. It consists two test pits which is 6m×2m×1m to test various pavement systems including different soil types. And pipes to connect gages and wires were imbedded inside the test pits and underneath the floor to the operation room. The scaled KALES is still under modif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에 걸쳐 개발된 모형 포장가속시험기는 단기간 내 포장재료 및 보수공법의 공용성 평가를 실험실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써, 실제차량을 모사하여 제작된 시험차량이 시험포장도로를 주행하면서 도로의 파손효과를 재현할 수 있는 시험시설이다. 모형 시험기를 제작한 목적은 첫째 모형시험기의 운용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ㆍ개선하여 향후 도로기술연구원 내에 설치될 Full-scale 포장가속시험기 제작에 만전을 기하자는 목적과, 둘째 제한된 범위이긴 하지만 모형시험기를 이용하여 포장 보수재료 및 공법의 공용성 평가 등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7월 28일에 도로공사 내 모형 포장가속실험등을 준공하여 그 후 모형 시험기를 이용하여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모형 포장가속시험기를 관리하기 위해서 도로공사 내 413㎡면적의 모형 포장가속실험동을 건립하였다. 실험동 내에는 포장체를 모사하여 실험할 수 있는 길이 6m×너비 2m×깊이 1m 규모의 피트(pit) 2개소를 설치하였으며 운용실에서 모형 포장가속시험기의 운용 및 피트 시설에 매설된 실험용 게이지의 계측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1차년 도에는 모형 포장가속시험기를 사용하여 총 2차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다. 1차년도 실험에는 「노면반사균열 억제공법 비교평가」와 「교면포장에 미치는 강상판 하부구조의 영향 연구」를 수행하였고 현재 2차년도 실험으로 콘크리트포장 「부분단면 보수재료의 공용성 평가」와 「whitetopping 공법 평가」를 실험하였다.
      번역하기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에 걸쳐 개발된 모형 포장가속시험기는 단기간 내 포장재료 및 보수공법의 공용성 평가를 실험실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써, 실제차량을 모사하여 제작된 시험차...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에 걸쳐 개발된 모형 포장가속시험기는 단기간 내 포장재료 및 보수공법의 공용성 평가를 실험실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써, 실제차량을 모사하여 제작된 시험차량이 시험포장도로를 주행하면서 도로의 파손효과를 재현할 수 있는 시험시설이다. 모형 시험기를 제작한 목적은 첫째 모형시험기의 운용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ㆍ개선하여 향후 도로기술연구원 내에 설치될 Full-scale 포장가속시험기 제작에 만전을 기하자는 목적과, 둘째 제한된 범위이긴 하지만 모형시험기를 이용하여 포장 보수재료 및 공법의 공용성 평가 등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7월 28일에 도로공사 내 모형 포장가속실험등을 준공하여 그 후 모형 시험기를 이용하여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모형 포장가속시험기를 관리하기 위해서 도로공사 내 413㎡면적의 모형 포장가속실험동을 건립하였다. 실험동 내에는 포장체를 모사하여 실험할 수 있는 길이 6m×너비 2m×깊이 1m 규모의 피트(pit) 2개소를 설치하였으며 운용실에서 모형 포장가속시험기의 운용 및 피트 시설에 매설된 실험용 게이지의 계측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1차년 도에는 모형 포장가속시험기를 사용하여 총 2차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다. 1차년도 실험에는 「노면반사균열 억제공법 비교평가」와 「교면포장에 미치는 강상판 하부구조의 영향 연구」를 수행하였고 현재 2차년도 실험으로 콘크리트포장 「부분단면 보수재료의 공용성 평가」와 「whitetopping 공법 평가」를 실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 1 장 서론
      • 1.1 연구배경
      • 1.2 연구내용
      • 제 2 장 모형 포장가속시험기 소개 및 Full-scale포장가속시험기 제작 시 개선방안
      • 2.1 서 론
      • 2.2 기구부
      • 2.3 제어부
      • 2.4 기구부 재제작
      • 2.5 Full-scale 포장가속실험동 건설시 고려사항
      • 제 3 장 실용화 실험
      • 3.1 실험계획(1차 년도)
      • 3.2 노면반사균열 억제공법 실험
      • 3.3 교면포장 강상판 하부구조 영향 연구
      • 3.4 부분단면 보수재료 및 건설폐기물 활용공법 평가
      • 3.5 실험계획(2차 년도)
      • 3.6 고성능 강성포장재료(Whitetopping) 공법실험
      • 3.7 콘크리트포장 부분단면 모수재료의 공용성 실험
      • 제 4 장 온도조건 모사 시설 및 경제성 분석
      • 4.1 온도조건 모사 시설
      • 4.2 경제성 분석
      • 제 5 장 결론
      • 5.1 결론
      • 5.2 향후 추진계획
      • 참고문헌
      • Appendix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